강진석

 

'''전 백산무사단 제2부 외무원
강진석
康晋錫'''

'''출생'''
1890년 12월 29일, [image] 조선 평안도 평양부 용산면 하리[1]#
'''사망'''
불명
'''본관'''
신천 강씨
'''가족'''
아버지 강돈욱, 어머니 위돈신
남동생 강용석, 강창석, 여동생 강반석, 매제 김형직
조카 '''김일성''', 김영주, 김철주
'''경력'''
평양 청년회원
1919년 12월 ~ 1920년 9월 26일
백산무사단(白山武士團) 제2부 외무원
1920년 12월 20일 ~ 1921년 4월 14일
'''서훈'''
건국훈장 애국장
1. 개요
2. 생애
3. 서훈 논란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2012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그러나 '''김일성의 외삼촌'''이라는 점 때문에 현재까지 서훈 박탈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2. 생애


강진석은 1890년 12월 29일 평안도 평양부 용산면 하리에서 태어났다. 이명영 교수의 <김일성 열전>에 따르면, 김일성의 외할아버지 강돈욱에게는 아들로 ‘강진석’ ‘강용석’, ‘강창석’이 있었고 막내 딸로 김일성의 어머니 '''‘강반석’'''이 있었다. 이 중 장남인 강진석은 즉 '''김일성의 큰외삼촌'''이다. 일본 내 지한파 연구자인 와다 하루끼의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에도 강진석은 김일성의 외삼촌으로 기록되었다.
1919년 음력 12월 김용배(金用培)가 평남 평양에서 독립운동 후원을 목적으로 청년회를 조직하자, 강진석은 이에 가입해서 열성적으로 활동했고, 1920년 음력 7월엔 고향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특파원 이춘성(李春成)과 만나 그와 함께 대동군 고평면 송산리에서 박봉욱(朴奉煜)과 홍치룡(洪致龍)으로부터 각각 군자금 150원과 50원을 모집했다. 이후 9월 27일 중국 임강현 모아산(帽兒山)에 가서 그곳에서 백산무사단(白山武士團) 서기로 활동하고 있던 이준삼(李俊三)을 만나 백산무사단에 전격 가입했다.
백산무사단은 '백두산의 무사들'을 뜻하는 말로서 본부 아래 제1,2,3,4,5부를 두고 재무, 경호, 통신, 외무 등의 업무를 관장했다. 강진석은 1920년 12월 20일 백산무사단 제2부 외무원으로 임명되었고, 1921년 2월 27일 이준삼과 함께 군자금을 모집하라는 임무를 맡아 3월 22일 군자금 모집원 사령서와 자동권총 1정, 실탄 25발, 경고문 50매, 군자금 영수증 용지 100매, 여비 30원을 지참하고 출발했다. 그는 이튿날 평안북도 자성군 장토면 호하동에서 신훤[2]을 찾아가서 취지를 설명했고, 신훤은 흔쾌히 그와 함께 하기로 했다.
4월 2일, 강진석은 신훤과 함께 평안북도 자성군 여연면(중강진)에서 양기조(梁基祚)를 찾아가 군자금 100원을 지급받고, 다시 평양으로 이동했다. 4월 14일 평양에 도착한 그는 일행 7명과 함께 염점리 여인숙에 투숙했다. 그러나 일본제국 경찰 평안남도 경찰부와 평양 경찰서는 이들의 정보를 입수하고 전격 체포했다. 그후 1921년 8월 9일 평양 지방법원으로부터 강도, 공갈, 가택침입, 대정8년 제령 제 7호 위반 혐의를 적용해 징역 13년을 선고받고 평양 형무소와 서대문형무소에서 7년 11개월 동안 옥고를 치렀다.
그러다가 1928년 3월 28일 서대문형무소에서 가출옥으로 출소한 강진석의 이후 행적은 알 수 없다. 김일성의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는 강진석이 1942년 사망했다고 기술했지만, 그것이 사실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3. 서훈 논란


2012년, 국가보훈처는 강진석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그러나 2016년 6월 '''강진석이 김일성의 외삼촌'''이었다는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자, '''"6.25 전쟁을 일으키고 무력도발을 서슴지 않는 등 한민족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입힌 자의 외삼촌에게 건국훈장을 서훈하는 게 말이 되느냐"'''는 비판이 쏟아졌다.
특히 민족문제연구소국가보훈처2012년 67주년 광복절을 맞아 애국지사 198명을 포상할 때 강진석을 애국장 수훈자에 포함시킨 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관보와 독립유공자 공훈록 등에 수훈 사실을 포함시켰지만 2016년 애국자 수훈자 명단에는 포함시키지 않은 점을 들어 "최근 1년 사이에 강진석이 김일성의 외삼촌임을 뒤늦게 알고 이를 숨기기 위해 조직적으로 은폐 작업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그간 정부가 북한 정권 참여자는 물론 최고 권력자의 친인척에게도 서훈한 전례가 없었던 점을 감안하면 검증 부실로 인한 '사고'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처는 "지난 2012년 강진석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는데 이후 지난해 9월 '어떻게 김일성의 외삼촌을 서훈 대상자에 포함시킬 수 있느냐'는 민원이 접수돼 내부 검토를 거친 결과 서훈 대상에 해당한다는 결론이 났다. 지금도 서훈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은폐 의혹은 사실이 아니며, 지난해 9월 제기된 민원에 따라 내부 검토 작업을 거치면서 일시적으로 내용을 뺐던 것인데 서훈 유지 결정이 났기 때문에 다시 업데이트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강진석의 건국훈장 서훈에 대한 논란은 좀처럼 가시지 않았고, 박승춘 보훈처장은 '''"김일성 부모에게도 훈장을 검토할 거냐"는 질의에 "검토하겠다"고 답했다가(...)''' 여론의 맹비난을 받았고 당시 야당이었던 민주통합당박승춘 보훈처장의 해임을 촉구했다.
결국 2016년 6월 29일, '''국가보훈처는 강진석의 건국훈장 애국장 서훈을 빠른 시일 내 취소하겠다'''고 밝혔다. #
하지만 이러한 논란에 대해 일각에서는 "강진석이 비록 김일성의 외삼촌이긴 했지만 독립운동을 했던 건 엄연한 사실인데 건국훈장을 추서해놓고 박탈하는 건 지나치지 않느냐", "지금이 어느 때인데 연좌제를 적용하느냐"고 반박했고, 반공주의가 여전히 대한민국을 지배하고 있음이 이번 사건으로 드러났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
2018년 10월, 자유한국당홍문표 의원은 국가보훈처와 행정안전부에서 자료를 받아 확인한 결과 2012년 강진석에게 추서된 건국훈장 애국장이 취소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며, '''“김일성의 친족을 대한민국 정부가 훈장을 서훈 했다는 사실은 목숨 바쳐 나라를 지켜온 애국 순국선열사들에 대한 모욕이며 더욱더 충격인 것은 이런 사실을 알면서도 아직까지 방치한 국가보훈처행정자치부는 어느 나라 조직이고 공무원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
홍문표 의원은 2019년 2월 26일 유관순의 서훈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으로 격상시킨다는 정부의 발표를 환영하면서도 강진석에 대한 건국훈장 서훈을 조속히 박탈할 것을 촉구했다. #
이러한 논란은 북한이 강진석에게 "선생님"이란 칭호를 붙이고 떠받들고 있는 사실 때문에 더 거세진 면도 있다. 김일성대학 초빙교수였던 이서행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에 따르면, 북한에서 '선생'의 이름은 최고 존엄의 표현이며, 김일성 아버지한테도 김형직선생이라고 하듯 외삼촌 강진석도 선생이라고 부른다고 증언했다.# 더군다나 북한에서는 집단성과 동질성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가족이나 김씨일가를 제외하고는 님이라는 호칭을 잘 붙이지 않는다. 때문에 "북한이 떠받드는 김일성의 친족을 우리까지 덩달아 떠받들어야 하느냐"는 비판이 일었다.
강진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적극 협조해 군자금을 모금하다가 오랫동안 옥고를 치르는 등 진정으로 한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 바쳐 헌신한 독립운동가임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3] 그러나 불행히 조카를 잘못 두는 바람에 현재까지 대한민국에서 서훈 박탈 논란에 휩쓸리고 있으니, 사돈인 김형권[4]과 함께 쌍으로 안타까운 인물들이라 할수 있겠다.

[1] 인근의 대치령리와 함께 신천 강씨 집성촌이다.[2] 이분은 해방 이후까지 살아남았고, 2008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3] 그리고 자신의 매제이자 김일성의 아버지인 김형직 역시 독립운동가였는데, 이 사람은 '''철저한 반공주의자'''였다.[4] 이쪽은 김일성의 친삼촌으로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 받았으나 마찬가지로 박탈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