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image]
古代 그리스 靑銅 투구. 대한민국 보물 제904호.
국립중앙박물관 유물 설명
1936 베를린 올림픽의 마라톤 우승자인 손기정이 우승의 부상으로 받은 청동제 투구. 현재 보물 제90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한국 보물 중 외국에서 제작된 것으로는 4번째 보물이자[1] , 한국의 국가 지정문화재 중에서 구체적인 유입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는 유일하게 서양에서 제작된 문화재다.[2] 이후 손기정이 1994년 국가에 기증해서 국립중앙박물관 2층 기증전시관에 전시되어 있다. 서구의 유물로는 처음으로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다.
본래 마라톤은 마라톤 전투의 승리를 알리기 위해 40km를 달려온 병사 페이피데스의 전설을 모티브로 한 종목이라, 1900 파리 올림픽부터 마라톤 우승자에게 고대 그리스의 유물을 부상으로 주는 관행이 있었다. 이 관행은 그리스에서 고대 유물의 반출을 금지한 후에 폐지되었는데, 이것이 베를린 올림픽 직전에 폐지되었기에 대놓고 수여하기가 머쓱한 상황이 되었다.
게다가 IOC에서도 '''아마추어 우승자에게 메달 이외의 부상을 수여하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라 적극적으로 손기정 선수에게 전달할 생각이 없었고[3] , 일본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런 상황이다보니 손기정 선수 본인도 이 투구가 자신에게 수여되었다는 것을 모른 채 그냥 귀국해버렸고, 홀로 남겨진 투구는 베를린의 한 박물관으로 옮겨지게 된다.
시간이 흘러 1975년, 베를린 올림픽 제패 40주년 기념전시회를 열기 위해 자료를 정리하던 손기정 선수가 우연히 베를린 올림픽 이후에 일본 임원으로부터 받은 사진첩을 보면서 자신에게 수여되었어야 했던 투구를 보게 된다. 그렇게 이 투구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고, 당시 독일에서 무역회사를 운영하던 노수웅 씨가 1년 6개월의 탐문 끝에 이 투구가 베를린의 샤로텐부르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음을 안 이후 10여 년의 협상을 1986년에 이르러서야 유물을 기증했던 그리스의 언론사 브라디니 측의 주선 하에 1936 베를린 올림픽 개최 50주년을 맞아 손기정 선수의 품에 안길 수 있었다.
[image]
돌려받았을 때 찍은 사진을 보면 투구를 한번 써보려고 덮어써 보기도 했다. 근데 손기정의 두골이 고대 투구의 주인보다 커서 그런지 머리가 들어가지 않았다.(…) 장두형인 서양인과 단두형인 동양인의 두상 차이도 있겠지만 이 투구가 만들어진 시기는 기원전 8세기로 추정되는데, 학자들이 기원전 7세기에 조성된 고대 공동묘지의 유골을 조사해 본 결과 그 시절 그리스인 남자의 평균 키는 162~165cm 정도로 손기정의 키 170cm보다 훨씬 작았던 것도 한몫 했을 것이다.[4]
손기정의 외손자인 이준승 現 손기정기념재단 이사장에 의하면 당초에는 손기정의 자택에서 보관했었다고 한다. 혹여 도둑이라도 들어서 훔쳐갈까봐 투구를 애지중지했는데, 이를 보던 가족들의 의견에 따라 국가에 기증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맡고 있다.
이 투구는 기원전 8세기 경의 코린토스 양식으로 제작된 투구로, IOC에서 제작한 레플리카(복제품)가 아니라 제우스를 모신 신전 유적지에서 1875년에 출토된 '''진품 유물'''이다. 그것도 '''코린토스 양식 중 가장 초기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학술적인 가치도 대단히 높고, 보존상태도 매우 뛰어나다. 그래서 그리스 전쟁사를 연구하는 세계 학자들이 '''한국 국립중앙박물관에 와서'''(...) 이 투구를 조사하기도 한다.
1. 개요
古代 그리스 靑銅 투구. 대한민국 보물 제904호.
국립중앙박물관 유물 설명
2. 내용
1936 베를린 올림픽의 마라톤 우승자인 손기정이 우승의 부상으로 받은 청동제 투구. 현재 보물 제90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한국 보물 중 외국에서 제작된 것으로는 4번째 보물이자[1] , 한국의 국가 지정문화재 중에서 구체적인 유입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는 유일하게 서양에서 제작된 문화재다.[2] 이후 손기정이 1994년 국가에 기증해서 국립중앙박물관 2층 기증전시관에 전시되어 있다. 서구의 유물로는 처음으로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다.
본래 마라톤은 마라톤 전투의 승리를 알리기 위해 40km를 달려온 병사 페이피데스의 전설을 모티브로 한 종목이라, 1900 파리 올림픽부터 마라톤 우승자에게 고대 그리스의 유물을 부상으로 주는 관행이 있었다. 이 관행은 그리스에서 고대 유물의 반출을 금지한 후에 폐지되었는데, 이것이 베를린 올림픽 직전에 폐지되었기에 대놓고 수여하기가 머쓱한 상황이 되었다.
게다가 IOC에서도 '''아마추어 우승자에게 메달 이외의 부상을 수여하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라 적극적으로 손기정 선수에게 전달할 생각이 없었고[3] , 일본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런 상황이다보니 손기정 선수 본인도 이 투구가 자신에게 수여되었다는 것을 모른 채 그냥 귀국해버렸고, 홀로 남겨진 투구는 베를린의 한 박물관으로 옮겨지게 된다.
시간이 흘러 1975년, 베를린 올림픽 제패 40주년 기념전시회를 열기 위해 자료를 정리하던 손기정 선수가 우연히 베를린 올림픽 이후에 일본 임원으로부터 받은 사진첩을 보면서 자신에게 수여되었어야 했던 투구를 보게 된다. 그렇게 이 투구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고, 당시 독일에서 무역회사를 운영하던 노수웅 씨가 1년 6개월의 탐문 끝에 이 투구가 베를린의 샤로텐부르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음을 안 이후 10여 년의 협상을 1986년에 이르러서야 유물을 기증했던 그리스의 언론사 브라디니 측의 주선 하에 1936 베를린 올림픽 개최 50주년을 맞아 손기정 선수의 품에 안길 수 있었다.
[image]
돌려받았을 때 찍은 사진을 보면 투구를 한번 써보려고 덮어써 보기도 했다. 근데 손기정의 두골이 고대 투구의 주인보다 커서 그런지 머리가 들어가지 않았다.(…) 장두형인 서양인과 단두형인 동양인의 두상 차이도 있겠지만 이 투구가 만들어진 시기는 기원전 8세기로 추정되는데, 학자들이 기원전 7세기에 조성된 고대 공동묘지의 유골을 조사해 본 결과 그 시절 그리스인 남자의 평균 키는 162~165cm 정도로 손기정의 키 170cm보다 훨씬 작았던 것도 한몫 했을 것이다.[4]
손기정의 외손자인 이준승 現 손기정기념재단 이사장에 의하면 당초에는 손기정의 자택에서 보관했었다고 한다. 혹여 도둑이라도 들어서 훔쳐갈까봐 투구를 애지중지했는데, 이를 보던 가족들의 의견에 따라 국가에 기증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맡고 있다.
이 투구는 기원전 8세기 경의 코린토스 양식으로 제작된 투구로, IOC에서 제작한 레플리카(복제품)가 아니라 제우스를 모신 신전 유적지에서 1875년에 출토된 '''진품 유물'''이다. 그것도 '''코린토스 양식 중 가장 초기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학술적인 가치도 대단히 높고, 보존상태도 매우 뛰어나다. 그래서 그리스 전쟁사를 연구하는 세계 학자들이 '''한국 국립중앙박물관에 와서'''(...) 이 투구를 조사하기도 한다.
3. 기타
4. 바깥고리
- 한국어 위키백과 :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 국립중앙박물관 선정 우리 유물 100선 : 손기정 기증 청동투구
- e뮤지엄 :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 KBS 천상의 컬렉션 :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 두산백과 : 그리스고대청동투구
5. 보물 제904호
1936년 손기정이 베를린 올림픽 경기대회 마라톤 경기에서 우승한 기념으로 받은 높이 21.5㎝의 그리스의 청동투구이다. 기원전 6세기경 그리스의 코린트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1875년 독일의 고고학자에 의해 올림피아에서 발굴되었다.
형태를 보면 머리에 썼을 때 두 눈과 입이 나오고 콧등에서 코끝까지 가리도록 만들어졌으며, 머리 뒷부분은 목까지 완전히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눈과 입의 노출을 위해 도려낸 부분과 목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윤곽선을 따라 실을 꿸 수 있도록 구멍이 있는 것으로 보아 원래 투구 안쪽에 천을 대어 머리에 썼을 때 완충 효과를 생각했던 것 같다.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자에게 부상으로 수여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손기정에게 전달되지 않고, 베를린 박물관에 보관되어 오던 것을 그리스 부라딘 신문사의 주선으로 우리나라에 돌아오게 되었다.
[1] 첫번째는 보물 제393호 전등사 범종. 원래 태평양 전쟁 중 일본 제국이 녹여서 사용하려던 철제품(중국 종이라 철로 된 종) 중 하나였는데 해방 후 부천 병기창에서 발견되었다. 명문을 통해 1097년 주조되어 중국 하남성에 있는 절인 숭명사의 종이었다는 사실까지는 알아냈지만 어떻게 한국으로 건너왔는지 자세한 경로는 알 수 없으며, 2019년 현재 전등사에서 보관하고 있다. 두번째 보물은 보물 제440호인 통영 충렬사 팔사품 일괄이다. 명나라의 만력제가 이순신 장군 사후 하사했다는 설과 임진왜란 당시에 명나라 수군 도독이던 진린이 이순신의 가족에게 선물한 것이라는 설이 있는데, 일단 어느 쪽이든 명나라에서 만들어진 것은 정설로 받아들여진다. 세번째 보물은 보물 제668-4호인 권응수 장군 유물 장검으로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의 장수를 죽이고 노획한 일본도로 일본에서 제작된 검이다.[2] 물론 보물 제635호인 경주 계림로 보검 역시, 동로마 제국 시기의 트라키아 지방(오늘날의 불가리아 일대)에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다만 그리스 청동 투구와는 달리 유입의 경로가 확실하지 않을 뿐이다. 또한 제작된 지역을 특정하기 어렵지만 이외에도 로마 제국이 통치하던 그리스나 시리아와 같은 동부 지중해 지역에서 제작되어 한국으로 수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로만글라스 국보-보물도 있다. 국보 제193호로 지정된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보물 제620호 천마총 유리잔, 보물 제624호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등이 그러하다.[3] 이는 지금도 그렇다. IOC는 2020년 현재까지도 아마추어 정신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때문에 메달 이외에는 그 어떤 부상도 주지 않으며, 때문에 본문의 투구를 포함해서 여태껏 선수들에게 주어진 부상은 개최국에서 수여한 것이다. 2008 베이징 올림픽 당시의 옥메달이나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당시의 운석 금메달, 그리고 1936 베를린 올림픽 당시에 주어진 본문의 청동 투구도 모두 각각 중국, 러시아, 나치 독일 정부에서 수여한 것이다.[4] 흔히 160cm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이 아니다. 손기정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