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물대
[image]
↑ 푸른거탑에 등장한 대한민국 육군용 철제 관물대. [1]
官物臺
군대 내 생활관에서 소지품을 보관하기 위해 놓아 둔 선반.
관물대는 육군 용어로, 해군에선 정식 명칭으론 관품함, 은어로는 체스터 또는 체스트라고 부르며[2] , 공군 및 일부 육군 부대는 '''관물함'''이라고 부른다. 국방부에서는 기본적으로 육해공군 상관없이 육군 정식 명칭인 관물대로 통일하도록 하고 있다.
일단 자기 물건을 보관한다는 의미에서 사물함과 같은 의미이만, 관물함은 官物 즉 공공기관의 물건을 넣는 함이므로 개인의 물건을 넣는 사물함과 실제 뜻은 정반대이다.
네이버에서 관물함을 검색하여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민간인이 관물대(관물함)을 실제로 구매한 사례도 있다.'''네이버 관물함 검색결과, 구매 사례
영내 거주하는 군인들이 지급받는 군복, 군장 등 보급품 및 개인 물품을 보관하는 가구의 일종이다. 보통 군복들을 걸어놓는 옷장과 서랍들로 구성되어 있다.
크기는 각 생활관의 크기에 따라 다른데, 생활관의 사정이 우선할수록 관물대의 크기도 커지며, 반대로 열악할수록 관물대의 크기도 작아진다. 최악의 경우엔 나무로 만든 작은 상자가 관물대의 전부일 때도 있다. 인원은 많은데 관물대가 부족하면 한 관물대를 2~3명이 공용하기도 한다.
관물대 정리 상태는 그 군인의 정리정돈 능력을 파악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최소한의 정리는 하는 게 좋다. 가끔 간부가 불시에(굳이 점호시간 말고!) 정리상태를 점검하기도 한다. 잘하면 가점 및 포상, 못하면 감점 및 징계.
매일 세탁할 수 없고 냄새 문제도 있어서 관물함에 세탁물 전용 칸을 할당하여 입었던 옷을 넣어두기도 한다. 물론 짬이 안될 때 이 세탁물들을 짱박아 놨다가 선임이나 간부한테 걸리면 갈굼당하니 되도록이면 세탁물들은 관물대에 넣지 말고 바로 선임의 허락을 받은 뒤 세탁기를 이용해 그때그때 빨래를 해 놓는 게 좋다. 특히 장성급 장교들이 날 잡아서 막사에 왔다가 관물대에 박아둔 세탁물이 장성급 장교들에게 발견되기라도 한다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요즘에야 그래도 동기생활관 등 내무부조리 근절 노력으로 인해 많이 사라지긴 했지만, 예전에는 이 관물대 정리로 선임들이 후임들을 평가하기도 했다. 당연히 정리가 제대로 안 되어 있으면 고문관으로 낙인찍히고, 반대로 정리가 제대로 되어 있으면 특급병사로 인정받는다. 여기서 반복적으로 정리를 안 하면 인간쓰레기 취급 받기도 했다. 거꾸로 말하면 이 정리 상태는 트집잡아서 갈구는 아주 좋은 핑계거리가 되기도 했다. 선임이 후임에게 관물대의 물건들을 다 들어내도록 지시한 뒤 몇 번이고 다시 정리시키는 가혹행위도 성행했다.
여기엔 가족, 여자친구, [3]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 등 사진을 붙여두기도 한다.
관물대에 비치하는 물품의 위치는 고정돼 있도록 지시 받는데 유사시에 물품 위치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테면 야간에 불빛이 들어오지 않는 상황에 비상이 발생했어도 물품의 위치를 숙지하고 있다면 어렵지 않게 꺼내어 장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효율성을 위한 방책이다. 생활관이 이리저리 어질러져 있는 것보다 모든 관물대가 통일성을 갖추고 있다면 보기에도 깔끔할 것이고.
[image]
1960년대부터 사용된 관물대로 최신 관물대랑 비교했을 때 수납공간이 굉장히 좁은 편이다. 요즘이야 신막사로 개편하면서 많이 사라지긴 했지만 간혹 격오지나 시설이 낙후되거나 신교대, 분교대 등 임시 거처 생활관에서 계속 쓰이기도 한다.[4]
대개 부대 내 작업으로 뚝딱 만들 수 있는 단순한 구조지만 그만큼 내구성도, 기능성도 별로다. 게다가 수납공간도 좁기에 수납칸 안에는 빈 더블백, 생필품, 의류,[5] 개인물품 등을 넣어두는데, 대부분 문짝이 없기에 수납칸 윗부분에 1,2칸 간격으로 못을 박고 여기에 나일론 끈 등을 엮는다. 그리고는 수납칸 위 끈에 개인 수건을 걸쳐 안쪽을 가리면서 수건 건조를 동시에 해결하는 식으로 쓴다.
한편 수납칸 위에는 군장 배낭과 여기에 결속되는 장구류들을 (잘 안쓰는) 배낭, (근무로 자주 쓰는) 단독군장 장구류 순으로 탑을 쌓듯 올려둔다. 하지만 잘 쌓아놓지 않으면 사소한 충격으로도 와창창 무너질 수 있기에, 이런 생활관에선 이와 관련된 노하후들이 계속 전래된다.
여담으로 인원 대비 관물대가 부족한 곳에선 이걸 두명이 쓰기도 한다. 반대로 인원보다 관물대가 많다면 분/소대 물품을 저장, 비축하는 용도로 쓰거나 고참이 쓰기도 한다.
[image]
나무 관물대보다 한층 업그레이드된 관물대이다. 옷장과 서랍 등 수납공간이 생겨 나무 관물대처럼 수건으로 가리고 군장 탑을 쌓을 필요도 없다. 다만 사람이 빽빽하게 들어찬 곳에서 주로 사용되기에 나무 관물대보다 좀 나은 수준.
과거에는 이 철제 관물대의 왼쪽 구석에 개인지급 총기(M-16이나 K1, K2)를 보관할 수 있는 칸과 받침대가 있었다. 하지만 잦은 총기 사고 등으로 총기를 생활관 내 총기함에 단체 보관을 하고 잠금장치를 하면서 해당 칸은 쓸모가 없어졌고, 수건 걸이 등으로 쓰였다.
80년대 말부터 보급된 관물대로,[6] 상술한 두 관물대랑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수납 공간이 넓다.
상술한바와 같이 관물대의 총기 보관의 기능이 사라지면서 해당 공간 만큼 더 넓어진 모습이다.
[image]
침대에 맞게 제작된 신형 철제 관물대로, 해공군 부대에서도 종종 보인다. 침대 옆 바닥에 놓는 식이라 전투화를 신은 채 물품을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침대에 맞춰 높게 제작되었기에 (천장이 높고 관물대와 침상 높이가 낮지 않는 한) 침상 위에 올려놓기는 힘들다.
사관생도용 관물대는 옆에 한 칸이 더 있는데 여기에 개인화기를 보관한다. 장교는 병보다 군복무에서 자율성이 높기 때문에 개인화기도 각자 관리한다.
사진은 독도함의 승조원 침실.
좁은 함정 특성상 육상용 캐비닛 같은 것과 2~3층 침대 사이의 공간을 활용한 개인 서랍을 혼용하는 구조가 많다. 체스터(캐비닛의 해군 용어)는 흔들리는 함정 특성상 철저히 바닥과 벽에 고정해 둔다. 체스터에는 대개 잘 안 입고 항상 펴둔 채 보관해야 하는 정복 등을 함께 넣어두고, 일상 피복류나 개인 소지품 등은 서랍을 활용하는 식이다.
육군 부대에서는 소수에만 보급되었고,[7] 해군 육상이나 공군의 신형 생활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종류. 사실상 민간용 가구에 가까운 물건으로, 내구성도 좋고 일반 가정집에서 쓰는 재질이다 보니 철제보다 사용자의 심적 안정도도 높은 편이며, 시각적으로 고급스럽다는 장점도 있다. 게다가 육군 복무/출신자가 우리 건 철제라고 자랑하면 우린 이거 쓴다고 역으로 바르는(?) 경우도 종종 있다.
[image]
침상형 생활관 리모델링 후엔 보통 위와 같은 형태의 목제 관품함을 설치한다. 사진은 옛 대한민국 해군 제주방어사령부.
↑ 푸른거탑에 등장한 대한민국 육군용 철제 관물대. [1]
官物臺
1. 개요
군대 내 생활관에서 소지품을 보관하기 위해 놓아 둔 선반.
관물대는 육군 용어로, 해군에선 정식 명칭으론 관품함, 은어로는 체스터 또는 체스트라고 부르며[2] , 공군 및 일부 육군 부대는 '''관물함'''이라고 부른다. 국방부에서는 기본적으로 육해공군 상관없이 육군 정식 명칭인 관물대로 통일하도록 하고 있다.
일단 자기 물건을 보관한다는 의미에서 사물함과 같은 의미이만, 관물함은 官物 즉 공공기관의 물건을 넣는 함이므로 개인의 물건을 넣는 사물함과 실제 뜻은 정반대이다.
네이버에서 관물함을 검색하여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민간인이 관물대(관물함)을 실제로 구매한 사례도 있다.'''네이버 관물함 검색결과, 구매 사례
2. 상세
영내 거주하는 군인들이 지급받는 군복, 군장 등 보급품 및 개인 물품을 보관하는 가구의 일종이다. 보통 군복들을 걸어놓는 옷장과 서랍들로 구성되어 있다.
크기는 각 생활관의 크기에 따라 다른데, 생활관의 사정이 우선할수록 관물대의 크기도 커지며, 반대로 열악할수록 관물대의 크기도 작아진다. 최악의 경우엔 나무로 만든 작은 상자가 관물대의 전부일 때도 있다. 인원은 많은데 관물대가 부족하면 한 관물대를 2~3명이 공용하기도 한다.
관물대 정리 상태는 그 군인의 정리정돈 능력을 파악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최소한의 정리는 하는 게 좋다. 가끔 간부가 불시에(굳이 점호시간 말고!) 정리상태를 점검하기도 한다. 잘하면 가점 및 포상, 못하면 감점 및 징계.
매일 세탁할 수 없고 냄새 문제도 있어서 관물함에 세탁물 전용 칸을 할당하여 입었던 옷을 넣어두기도 한다. 물론 짬이 안될 때 이 세탁물들을 짱박아 놨다가 선임이나 간부한테 걸리면 갈굼당하니 되도록이면 세탁물들은 관물대에 넣지 말고 바로 선임의 허락을 받은 뒤 세탁기를 이용해 그때그때 빨래를 해 놓는 게 좋다. 특히 장성급 장교들이 날 잡아서 막사에 왔다가 관물대에 박아둔 세탁물이 장성급 장교들에게 발견되기라도 한다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요즘에야 그래도 동기생활관 등 내무부조리 근절 노력으로 인해 많이 사라지긴 했지만, 예전에는 이 관물대 정리로 선임들이 후임들을 평가하기도 했다. 당연히 정리가 제대로 안 되어 있으면 고문관으로 낙인찍히고, 반대로 정리가 제대로 되어 있으면 특급병사로 인정받는다. 여기서 반복적으로 정리를 안 하면 인간쓰레기 취급 받기도 했다. 거꾸로 말하면 이 정리 상태는 트집잡아서 갈구는 아주 좋은 핑계거리가 되기도 했다. 선임이 후임에게 관물대의 물건들을 다 들어내도록 지시한 뒤 몇 번이고 다시 정리시키는 가혹행위도 성행했다.
여기엔 가족, 여자친구, [3]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 등 사진을 붙여두기도 한다.
관물대에 비치하는 물품의 위치는 고정돼 있도록 지시 받는데 유사시에 물품 위치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테면 야간에 불빛이 들어오지 않는 상황에 비상이 발생했어도 물품의 위치를 숙지하고 있다면 어렵지 않게 꺼내어 장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효율성을 위한 방책이다. 생활관이 이리저리 어질러져 있는 것보다 모든 관물대가 통일성을 갖추고 있다면 보기에도 깔끔할 것이고.
3. 종류
- 목제 구형 관물대
[image]
1960년대부터 사용된 관물대로 최신 관물대랑 비교했을 때 수납공간이 굉장히 좁은 편이다. 요즘이야 신막사로 개편하면서 많이 사라지긴 했지만 간혹 격오지나 시설이 낙후되거나 신교대, 분교대 등 임시 거처 생활관에서 계속 쓰이기도 한다.[4]
대개 부대 내 작업으로 뚝딱 만들 수 있는 단순한 구조지만 그만큼 내구성도, 기능성도 별로다. 게다가 수납공간도 좁기에 수납칸 안에는 빈 더블백, 생필품, 의류,[5] 개인물품 등을 넣어두는데, 대부분 문짝이 없기에 수납칸 윗부분에 1,2칸 간격으로 못을 박고 여기에 나일론 끈 등을 엮는다. 그리고는 수납칸 위 끈에 개인 수건을 걸쳐 안쪽을 가리면서 수건 건조를 동시에 해결하는 식으로 쓴다.
한편 수납칸 위에는 군장 배낭과 여기에 결속되는 장구류들을 (잘 안쓰는) 배낭, (근무로 자주 쓰는) 단독군장 장구류 순으로 탑을 쌓듯 올려둔다. 하지만 잘 쌓아놓지 않으면 사소한 충격으로도 와창창 무너질 수 있기에, 이런 생활관에선 이와 관련된 노하후들이 계속 전래된다.
여담으로 인원 대비 관물대가 부족한 곳에선 이걸 두명이 쓰기도 한다. 반대로 인원보다 관물대가 많다면 분/소대 물품을 저장, 비축하는 용도로 쓰거나 고참이 쓰기도 한다.
- 철제 구형 관물대
[image]
나무 관물대보다 한층 업그레이드된 관물대이다. 옷장과 서랍 등 수납공간이 생겨 나무 관물대처럼 수건으로 가리고 군장 탑을 쌓을 필요도 없다. 다만 사람이 빽빽하게 들어찬 곳에서 주로 사용되기에 나무 관물대보다 좀 나은 수준.
과거에는 이 철제 관물대의 왼쪽 구석에 개인지급 총기(M-16이나 K1, K2)를 보관할 수 있는 칸과 받침대가 있었다. 하지만 잦은 총기 사고 등으로 총기를 생활관 내 총기함에 단체 보관을 하고 잠금장치를 하면서 해당 칸은 쓸모가 없어졌고, 수건 걸이 등으로 쓰였다.
- 철제 신형 관물대
80년대 말부터 보급된 관물대로,[6] 상술한 두 관물대랑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수납 공간이 넓다.
상술한바와 같이 관물대의 총기 보관의 기능이 사라지면서 해당 공간 만큼 더 넓어진 모습이다.
- 침대형 관물대
[image]
침대에 맞게 제작된 신형 철제 관물대로, 해공군 부대에서도 종종 보인다. 침대 옆 바닥에 놓는 식이라 전투화를 신은 채 물품을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침대에 맞춰 높게 제작되었기에 (천장이 높고 관물대와 침상 높이가 낮지 않는 한) 침상 위에 올려놓기는 힘들다.
사관생도용 관물대는 옆에 한 칸이 더 있는데 여기에 개인화기를 보관한다. 장교는 병보다 군복무에서 자율성이 높기 때문에 개인화기도 각자 관리한다.
- 함정용 철제 관품함
사진은 독도함의 승조원 침실.
좁은 함정 특성상 육상용 캐비닛 같은 것과 2~3층 침대 사이의 공간을 활용한 개인 서랍을 혼용하는 구조가 많다. 체스터(캐비닛의 해군 용어)는 흔들리는 함정 특성상 철저히 바닥과 벽에 고정해 둔다. 체스터에는 대개 잘 안 입고 항상 펴둔 채 보관해야 하는 정복 등을 함께 넣어두고, 일상 피복류나 개인 소지품 등은 서랍을 활용하는 식이다.
- 목제 신형 관품함
육군 부대에서는 소수에만 보급되었고,[7] 해군 육상이나 공군의 신형 생활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종류. 사실상 민간용 가구에 가까운 물건으로, 내구성도 좋고 일반 가정집에서 쓰는 재질이다 보니 철제보다 사용자의 심적 안정도도 높은 편이며, 시각적으로 고급스럽다는 장점도 있다. 게다가 육군 복무/출신자가 우리 건 철제라고 자랑하면 우린 이거 쓴다고 역으로 바르는(?) 경우도 종종 있다.
[image]
침상형 생활관 리모델링 후엔 보통 위와 같은 형태의 목제 관품함을 설치한다. 사진은 옛 대한민국 해군 제주방어사령부.
4. 관련 문서
[1]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당연히 최말년의 관물대다.(...)[2] 대한민국 해병대도 대한민국 해군의 영향을 받아 이 용어를 쓰는 부대가 있다고 한다.[3] 여군일 경우. 당연하게도 대한민국은 징병제라 여군 병사가 그 누구도 없고 죄다 간부밖에 없다. 미국과 중국 등 모병제의 경우 여군 병사가 많이 있기 때문에 관물대에 남자친구 사진이 걸려있는 경우도 꽤 많이 있다.[4] 심지어 후방 예비대로 빡세게 구르던 육군 17연대도 제2보병사단 시절 2012년 중반까지 이 관물대를 썼었다.[5] 공간이 좁다보니 안 쓸땐 필연적으로 접어놔야 한다.[6] 다만 이미 쓰고 있는 곳보다는 신식 막사나 중요도가 높은 곳 위주로 보급되었기에 최초 보급 시기는 불분명. 실질적으로는 2000년대 이후에나 본격 도입되었다. 당장 위의 목제 관물대도 무려 2010넌대까지 여기저기서 쓰이고 있었으니.[7] 그 중 하나가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이 벌어진 의무대 내 관물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