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령관

 


  • 한자: 敎育司令官
  • 영어: Education and Training Commander
1. 개요
2. 특성
3. 해당 직위
4. 관련 틀


1. 개요


교육사령부를 지휘하는 사령관으로 보통 육해공 중장이 보임된다. 해공군은 간혹 소장이 보임되기도 한다.

2. 특성


기행부대에서는 군수사령부와 더불어 가장 높은 편이다. 단 육군은 규모가 커서 군수사령관이 중장일 뿐 공군과 해군에서는 소장이 군수사령관이다.[1] 사관학교장과 계급은 같지만 순수 장교만 육성하는 사관학교와 달리 장교 뿐만 아니라, 부사관, 병까지 모두 육성하는 교육사령부 특성상 교육하는 인원은 월등히 많은 편이다. 특히 육군교육사령관은 1년에 20만이 넘는 인원이 자기 휘하 부대에 들락날락한다. 육군에서는 한직으로 취급되어 교육사령관이 되면 더 이상 진급 가능성이 없다고 봐도 된다.
대한민국 해군대한민국 공군의 경우, 2004년 9월말 교육사령관이 중장 보직으로 격상되었다. 다만 해, 공군은 중장의 수가 몇 명 되지 않기 때문에 사고, 비리 등으로 중장 자리에 결원이 생기면 다른 중장 보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급한 교육사령관 보직에 소장이 보임되거나[2] 현 교육사령관을 중장 2차 보직으로 보낸 뒤 소장을 중장으로 진급시켜 교육사령관에 앉히는 경우도 있다.[3] 또한 한직인 육군과는 달리 해/공군에서는 참모총장으로 영전하는 사례도 있다. 해군의 경우 남해일, 정옥근 제독이 교육사령관에서 참모총장으로 진급하였고, 정호섭 제독은 교육사령관 후 2차 중장 보직을 지내다 참모총장이 되었다. 공군은 박종헌 장군처럼 교육사령관을 지낸 뒤 참모총장으로 영전한 사례가 있으며, 이왕근 장군처럼 교육사령관 역임 후 작전사령관이나 참모차장 등 2차 중장 보직을 역임한 뒤 진급하는 일도 있다.
많은 훈련병들의 직속상관관등성명에 들어간다.

3. 해당 직위


  • 미군
    • 미 육군: Commanding General, U.S. Army Training and Doctrine Command ★★★★
    • 미 해군: Commander, Naval Education and Training Command ★★
    • 미 해병대: Commander, Marine Corps Training and Education Command ★★
    • 미 공군: Commander, Air Education and Training Command ★★★
  • 자위대: 자위대/교육훈련을 참고할 것.
    • 육상자위대: 상응할 만한 직책이 없다.[4]
    • 해상자위대: 육자대와 마찬가지로 각 간부학교나 후보생학교는 해상막료장 직속이고 신대원교육대는 각 지방대에 속해 특별히 교육사령관이 없다. 다만 교육항공집단(★★★)처럼 해군 항공대를 양성하는 교육사령부가 있다.
    • 항공자위대: 항공교육집단(航空教育集団)사령관 ★★★

4. 관련 틀





[1] 미군의 경우 군 규모가 크다 보니 교육사령관이나 군수사령관이 모두 육군대장, 공군은 육군과 마찬가지로 군수사령관만 대장이나 교육사령관만 중장, 해군해병대는 교육사령관이나 군수사령관이 소장 하는 일이 많다.[2] 이 경우 한직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도 그냥 한직이 아니다. 공군의 경우 보통 수송기 조종사가 만렙을 찍을 경우 받는 보직 중 하나가 공군교육사령관인데, 15비 단장을 맡은 뒤 교육사령관이 된 노승환 장군이 이런 케이스다 (노 장군의 주기종은 알려진 바가 없지만 15비 단장을 맡았을 정도면 수송기를 탔을 가능성이 높다).[3] 해/공군 사관학교장도 마찬가지로 중/대장 중에 비리 등으로 결원이 발생할 경우 급한 자리에 현 사관학교장을 2차 보직으로 보내고, 상대적으로 덜 급한 자리인 사관학교장으로 1차 보직으로 주는 경향이 강하다. 성일환 대장이 공군사관학교장을 역임한 후 공군참모총장이 되었다.[4] 육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와 간부학교(군사대학), 각 사단별 신대원교육대(신병교육대), 각종 특기학교 등이 있는데 이들은 어떤 사령부 휘하에 모이는 것이 아니라 방위대신 직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