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토마키아

 

'''Γιγαντομαχία / Gigantomachia'''
1. 어원
2. 대중 매체


1. 어원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기가스#s-1 종족과 올림포스 12신전쟁.
티탄들이 타르타로스에 갇혀버리자 이에 분개한 가이아는 여러 괴물들을 만들어내서 공격한다. 이 중에 기가스(복수형: 기간테스)라는 거대한 무리가 있었는데 신들은 이들과 맞서 끝내 이겼다. 기간테스는 상반신은 인간(거인)이고, 하반신은 뱀이라고 한다. 혹은 인간과 같은 모습이지만, 뱀같은 거대한 꼬리가 있는 걸로 묘사되기도 한다.
예언에 의하면 인간의 힘을 빌리지 않으면 승리를 얻을 수 없다고 했기 때문에 제우스헤라클레스를 만들었다. 제우스는 거인들을 번개로 공격하고, 아레스는 산을 던지고, 디오니소스는 지팡이로, 아테나포세이돈은 화산과 섬으로 기가스들을 누르고, 헤라클레스는 활을 쏘아 마침내 패배시켰다.
그냥 에피소드 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지만 사실상 그리스 신화의 '''전반부 엔딩'''이다. 제우스가 인간이나 님프, 다른 여신들을 덮치면서 내세웠던 명분이 기간토마키아에 대비해 자신의 씨를 많이 뿌려 영웅들을 만들어내야 된다는 것이었다. 결국 헤라클레스가 태어났고 시련을 줘서 레벨업 시킨 뒤 죽여서 올림포스에 올라오게 했고, 예언대로 기간토마키아에서 승리한 후 남은 인간 영웅들을 쓸어버린 게 바로 트로이 전쟁. 관점을 달리해보면 그리스 신화의 '''후반부 엔딩'''이라 할 수 있는 트로이 전쟁은 더 이상 쓸모 없어진 인간 영웅들을 말 잘 듣는 몇 명(예를 들어 오디세우스)만 남기고 한꺼번에 없애버리기 위한 신들의 숙청 무대다.[1] 이후 신들의 지배가 굳건해지고 괴물들의 씨가 말라 영웅이 필요없는 평화로운(?) 세상이 찾아온다는 것이 그리스 신화의 엔딩. 전체적인 관점에서 볼 때 오디세우스가 집에 가는 이야기, 아이네이아스로마를 세우는 얘기는 엔딩 후의 에필로그에 불과하다.[2]
북유럽 신화라그나로크와 신화학적으로 유사성이 있다고 한다. 그 쪽은 공멸해버렸고 이 쪽은 결국 신측이 살아남아 버렸지만. 일설에 따르면 춥고 거친 지방인 북유럽의 신화는 운명론적이고 비관적인 그곳 사람들의 인식에 영향을 받아, '''"신조차도 파멸을 피할 수 없다"'''는 인식이 반영된 결과가 라그나로크라고 한다. '''"신들은 결국 최후에 승리한다"'''라 보고 있는 기간토마키아와 대비되는 점.

2. 대중 매체


  • 세인트 세이야 - 소설판 부제이자 작중 언급되는 단어. 세인트 세이야가 그리스 신화를 반영하는 만큼 나오게 된 듯. 본편에서는 언급되지 않지만 소설 기간토마키아나 외전인 에피소드 G, 로스트 캔버스 등에서는 봉인된 티탄족의 부활 조짐이 있을 때마다 세인트들이 해결하는 전개의 내용이 나온다.
  • Fate 시리즈 - 범인류사에서는 알려져 있는 신화처럼 올림포스 신들헤라클레스를 필두로 한 인간 영웅의 조력으로 가까스로 그리스 신들이 승리했다. 이 시점에서는 이미 벨버의 침략으로 진체를 잃어 신령 나부랭이가 되었기에 인간 영웅들의 힘을 빌려야 했던 것. 하지만 그레이트 합체로 세파르를 일찍 퇴치해서 진체를 보존한 성간도시산맥 올림포스 이문대에서는 신대 쇠퇴의 영향도 받지 않았기에 제우스가 기가스들을 양민학살했다고.#참고

[1] 기간토마키아를 앞두고 누적되어 있던 신들 간의 갈등이 기간토마키아가 끝나서 억제요소가 없어지자 트로이 전쟁이라는 무대를 빌려 터져나왔다는 느낌도 있다. 실제로 다른 때와 달리 트로이 전쟁에는 신들이 이상할 정도로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다 끝난 싸움을 자신들 멋대로 판도를 바꿔버리는 건 예사고, 심지어 직접 전쟁터에 끼어들어 신과 인간이 칼을 맞대고 싸우는 황당한 상황까지 벌어진다.[2] 고대 그리스의 역사를 보면, 고대 미노스 문명 이야기도 보이고, 미케네 문명 이야기도 보이고, 테세우스로 상징되는 아테네와 헤라클레스로 상징되는 스파르타의 이야기, 트로이 전쟁에서 이어지는 로마 정신승리가 나오고, 이러고도 부족한 사람들을 위해서 테베 이야기가 조금 더 나오면 끝난다. 실제로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모두 몰락한 이후 마케도니아로마에 최후까지 저항한 그리스의 맹주는 테베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