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수제
期數制
어떤 집단의 가입자를 시기에 따라 구분하여 서열을 매기는 방법의 일종이다. 위계가 발달한 한국에서는 기수를 매기는 것 자체가 서열을 나누는 기준이 될 때가 많다.
대학에서 쓰이는 학번제는 기수제의 일종이다.
계급에 따른 위계가 정해지는 군대에서도 대한민국 육군 병사를 제외한[1]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공군, 대한민국 해병대 병사 및 모든 장교, 부사관은 모두 기수를 가지며 이들은 저마다 기수제가 강하게 작용한다. 병사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4개밖에 없는 계급을 더 세분화하여 병 상호 간의 서열을 나누는 기준이 된다. 아저씨#s-3 관계에 있는 병사 간에는 기수제를 적용하지는 않지만 기수 차이가 많이 나는데 아랫 기수 병사가 거만한 행동을 한다면 윗 기수 병사가 아니꼽게 볼 수도 있다. 부사관 상호 간에는 지휘관이 아니므로 명령계통의 문제는 아니나 업무 상 부딪칠 일이 잦은데 기수는 높은데 계급이 낮은 선배가 기수는 낮으나 계급은 높은 후배를 기수빨로 누르는 경우도 있고 상사가 중사한테 경례하는 일도 있다.[2] 군대 중에서도 기수를 가장 많이 따지는 부대는 단연 해병대.
사회에서는 학교나 동아리, 회사, 공무원, 경찰, 소방, 고속버스 등에서 기수의 폭넓은 영향력을 체험할 수 있다. 한국에서 가장 수평적인 관계인 동창회가 발달한 이유라는 설도 있다.
사법시험(사법연수원)이나 행정고시 등의 국가고시에서 역시 기수제가 강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법조계가 매우 심하다. 어느 정도냐 하면 대한민국 검찰청에서 후배 검사가 선배보다 더 높은 직급으로 승진하면, 그 선배는 싫든 좋든 퇴직하고 변호사를 해야 할 정도이다.[3] 행정고시 출신 공무원 사회에서도 여기에서 자유롭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7급, 9급 출신 공무원 사회에서는 기수 그런거 신경안쓰고 정년까지 버티는 경우가 일반적. 반대로 말하면, 그렇기 때문에 능력이 아무리 좋아도 기수가 낮으면 황금인맥을 가지거나 역대급 공적을 가지지 않는 한 승진시키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 한정으로 나이제도 기수제의 일종으로 취급받는다. 자세한 내용은 나이제 문서로.
1. 개요
어떤 집단의 가입자를 시기에 따라 구분하여 서열을 매기는 방법의 일종이다. 위계가 발달한 한국에서는 기수를 매기는 것 자체가 서열을 나누는 기준이 될 때가 많다.
2. 상세
대학에서 쓰이는 학번제는 기수제의 일종이다.
계급에 따른 위계가 정해지는 군대에서도 대한민국 육군 병사를 제외한[1]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공군, 대한민국 해병대 병사 및 모든 장교, 부사관은 모두 기수를 가지며 이들은 저마다 기수제가 강하게 작용한다. 병사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4개밖에 없는 계급을 더 세분화하여 병 상호 간의 서열을 나누는 기준이 된다. 아저씨#s-3 관계에 있는 병사 간에는 기수제를 적용하지는 않지만 기수 차이가 많이 나는데 아랫 기수 병사가 거만한 행동을 한다면 윗 기수 병사가 아니꼽게 볼 수도 있다. 부사관 상호 간에는 지휘관이 아니므로 명령계통의 문제는 아니나 업무 상 부딪칠 일이 잦은데 기수는 높은데 계급이 낮은 선배가 기수는 낮으나 계급은 높은 후배를 기수빨로 누르는 경우도 있고 상사가 중사한테 경례하는 일도 있다.[2] 군대 중에서도 기수를 가장 많이 따지는 부대는 단연 해병대.
사회에서는 학교나 동아리, 회사, 공무원, 경찰, 소방, 고속버스 등에서 기수의 폭넓은 영향력을 체험할 수 있다. 한국에서 가장 수평적인 관계인 동창회가 발달한 이유라는 설도 있다.
사법시험(사법연수원)이나 행정고시 등의 국가고시에서 역시 기수제가 강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법조계가 매우 심하다. 어느 정도냐 하면 대한민국 검찰청에서 후배 검사가 선배보다 더 높은 직급으로 승진하면, 그 선배는 싫든 좋든 퇴직하고 변호사를 해야 할 정도이다.[3] 행정고시 출신 공무원 사회에서도 여기에서 자유롭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7급, 9급 출신 공무원 사회에서는 기수 그런거 신경안쓰고 정년까지 버티는 경우가 일반적. 반대로 말하면, 그렇기 때문에 능력이 아무리 좋아도 기수가 낮으면 황금인맥을 가지거나 역대급 공적을 가지지 않는 한 승진시키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3. 목록
4. 기타
대한민국 한정으로 나이제도 기수제의 일종으로 취급받는다. 자세한 내용은 나이제 문서로.
[1] 엄밀히 말하면 육군 병도 기수가 존재한다. 흔히 말하는 760기, 900기처럼 (옛 기수부터 세는)누적 수로 세지 않고, 육훈소 18-64기, xx사단 신교대 18-13기처럼 년도를 끊어서 기수를 센다. 하지만 입영 부대가 한 부대로 정해져 있는 타군과 달리 육군은 규모가 규모다 보니 육군훈련소, 다수의 신병교육대로 이곳저곳에서 입대를 하니 기수가 그닥 중요하지 않는 면이 있다. 즉 자대가면 누구는 육훈소 출신, 누구는 아무개 사단 출신, 어디 사단 출신 등이 모여 섞여 있기 때문에 동기제 기준에 따라 선후임 정도만 구분하지 기수가 의미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2] 의무, 군종, 헌병 같은 특수한 병과는 보병보다 진급이 많이 늦다. 이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하는 것이다. 의무병과의 짬이 많은 중사는 짬밥상으로 어지간한 보병 초임원사급이다.[3] 이런 걸 용퇴라고 한다. 말이 좋아 후배들을 위해 자리를 비우고 물러선다는 의미라지만... 조폭들도 검찰 따라서 이런 거 한다 하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