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재현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제21대 국방부 장관.
2. 생애
2.1. 12.12 군사반란 전
1926년 경상남도 마산부에서 태어났다. 창신고등학교 졸업 후 1947년에 육군사관학교 3기로 임관했다. 병과는 포병이었다. 육군포병학교장, 30사단장, 육군군수사령관, 육군본부 감찰감, 육군참모차장 등을 거쳐 1972년에 육군참모총장에 올랐다.[1] 1975년에는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에 올랐다. 1977년 전역했고 이어서 국방장관에 올랐다. 12.12 군사반란 직후인 1979년 12월 14일에 사퇴하였다.
2.2. 군사 반란 이후
12.12 군사반란 당시 국방장관 공관에 있다가 총소리에 놀라서 미8군 사령부로 도피했다. 이러한 국방장관의 본분을 망각한 행적이 후세에 비판받고 있다. 만약 전두환의 쿠데타가 아니고 북한의 침공이었다면 그 피해는 상상을 뛰어넘어 어마무시하였을 것이다.[2] 전두환의 쿠데타 때 쿠데타를 진압하려 애쓴 장태완 장군에게 진압을 명령해 수도 인근 사단들의 지휘권을 일임하였다면 12.12는 진압당했을 것이다.[3]
당시는 계엄상태로 계엄사령관이 모든 상황을 주도하여 관리했기에 아무리 국방장관이라고 하더라도 부대 지휘권을 마음대로 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 전에는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들에서 계엄령이 내려진 부분계엄 상태였기에 국방부 장관이 일선 부대를 지휘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했다.(부분계엄의 경우 명령계통이 대통령-국방장관-계엄사령관으로 이루어지며, 전국계엄의 경우 대통령-계엄사령관으로 명령계통이 확립된다.), 그러나 반란군 지휘부가 하필이면 대한민국 부대들에 대한 기밀방첩 업무를 담당하는 보안사여서 지휘권 이양을 하였더라도 얼마든지 방해할 수 있었다. 물론 그렇다고 도망간 게 칭찬받을 일은 아니지만. 또한 장태완 장군이 모든 진압기회를 놓쳐버린 후에서야 연락해서, 장사령관에게 사실상 무장해제하고 반란군에게 백기투항하라는 것과 다름없는 지시를 내렸다.[4]
2.3. 말년
[image]
그 후에 한국종합화학공업 사장, 한국화학연구원 이사장, 한국비료공업협회장 등을 지냈다. 2019년 9월 25일 세상을 떠났다. 향년 93세. 시신은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3. 기타
- 드라마 제4공화국에서는 국방부에서 숨어 있다 발견된 후 보안사로 끌려온 뒤에 반란군 군 후배들에게 무지막지하게 털린다. 예비역 대장이자 국방 장관이 육사 8기수 아래인 소장 전두환에게 "총소리에 놀라 뒷구멍에 숨어 있는 사람이 서류 내용은 알아 뭐합니까, 빨리 서명하시오."라며 털리고 나는 자네들 편이야라고 뒤늦게 빌붙으려다 5기수 아래인 중장 유학성에게 "잔말말고 서명하시오."라고 털린다.
- 이쪽도 재벌가와 혼맥이 있어 딸 노경선이 허명수 GS건설 부회장(사위)과 결혼하여 슬하에 아들 둘을 뒀다.
[1] 이 때 육군참모총장을 놓고 채명신과 경쟁을 하고 있었다. 대내외적으로 유능한 장군으로 인정받은 채명신이 유력했지만 채명신은 박정희의 유신 쿠데타에 대하여 직언을 하면서 제대로 찍혔고, 결국 박정희는 노재현을 육군참모총장으로 임명한 반면 채명신은 예편시켰다.[2] 그때 당시는 남한과 북한의 전력차이가 거의 나지 않던 시절이다. 국지전은 둘째치고, 전면적 침공전이었다면 국가의 운명이 갈릴 수도 있었던 문제. 게다가 실제 반란 과정에서 노태우가 휴전선 전방의 제9보병사단을 서울로 빼내오는 짓까지 하는 바람에 더 변명의 여지가 없는 일이 되었다. 총체적 난국[3] 수도기계화보병사단만 동원해도 특전사령부 휘하 공수여단이 주력이었던 반란군 정도는 충분히 진압할 수 있다. 장태완 수경사령관이 수도기계화사단, 11사단, 26사단, 9공수여단 등을 동원할 수 있었다면 오히려 반란군이 항복을 검토해야 했을 것이다.[4] 물론 이 시점은 이미 노재현이 계속 숨어있다가 전두환 세력에게 붙잡힌 이후의 얘기지만 그 이전에 도망다니는 와중에 조금씩 사태파악을 하면서 반란군 측에 점점 기울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출처는 장태완 장군의 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