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프네

 

1.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님프
2.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예언자
3. 인명
3.1. 실존인물
3.2. 가상인물


1.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님프


[image]
아폴론과 다프네, 잔 로렌초 베르니니,
1622~1625년, 243cm, 보르게세 미술관
그리스 로마 신화나이아데스. 페네이오스라는 이름의 강의 남신의 딸이며, 아르테미스를 따라다니던 님프 중 하나. 당연히 아르테미스와 순결 서약을 한 상태다. 아버지 페네이오스는 딸이 결혼해서 자신에게 사위, 손자를 보여주길 바랐다.
태양의 신 아폴론의 '''첫사랑'''. 사실 아폴론이 다프네를 좋아하게 된 건 에로스 때문이다. 아폴론이 괴물 뱀 피톤을 죽였을 때 우쭐해서 자랑을 하며 에로스의 화살을 깔봤고, 이에 에로스가 앙심을 품고 자기 화살에 어디 한 번 당해보라고 아폴론을 쏜 것이다. 아폴론에게 쏜 건 맞은 후 처음으로 본 사람을 사랑하게 되는 금화살인데, 다프네에겐 맞은 후 처음 본 사람을 싫어하게 되는 납화살을 쏴놨다. 그래서 아폴론은 다프네를 보자마자 한눈에 반해 따라다녔지만 다프네는 아폴론을 보고 경멸해서 도망다녔다.
다프네는 당연히 아폴론을 뻥 찼지만 그럼에도 아폴론이 자신을 포기하지 않고 지나치게 쫓아다니자 자신의 아버지인 페네이오스에게 부탁[1]해서 월계수변해버렸다.[2]
아폴론은 다프네가 월계수로 변한 것을 알자, 그는 비록 네가 나를 싫어해서 딱딱한 나무껍질 속에 숨었지만 결코 내 곁을 떠날 수 없게 하겠다면서 그녀의 이파리로 리라를 장식하고 월계관을 만들었다. 올림픽 등 각종 운동 경기에서 승리자에게 월계수 잎으로 만든 관을 씌워주는 것도 아폴론이 다프네를 기리기 위해 만든 전통이라고.[3][4]
이 때문에 그리스어로 월계수는 "다프니(Δάφνη)"로, 라틴어로는 "다프네(Daphne)"라고 부른다. 재미있는 것은 다프네(Daphne)는 월계수와는 아무런 관계 따위 없는 식물인 팥꽃나무속[5]의 학명으로도 쓰이고 있다는 것. 카를 폰 린네 선생께서 이 나무들이 생긴 게 얼핏 보면 월계수와 비슷하다면서 이렇게 이름 붙여 버렸다.[6]
여러모로 에로스의 화살의 위험성을 잘 말해주는 일화.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아빠가 "에로스는 일이 이렇게까지 될 줄은 몰랐겠지. 이 사건의 근본적 원인은 에로스의 복수를 불러일으킨 아폴론의 오만이란다. 능력이 있는 사람일수록 겸손해야지."라는 식의 나름 적절한 결론을 내려준다.
카카오페이지에선 어느 인물이 "사랑을 함부로 보지 말자는 교훈이죠. 그니까 차였다고 밤에 연락 좀 하지 말고 찾아가서 칼 좀 꽂지 말라고 인간들아"라고 했다. 월계수를 따는 건 스토커가 자기 피하려고 자살한 여자 머리카락 잘라간 걸로 비유했다. 그리고 그 만화에선 다프네의 아버지가 서로 불행해지기 전에 여기서 끝내라고 말렸을 때 아폴론은 숲을 태우고 강을 말려버릴 것이라고 협박했다.
펠롭스와 겨룬 것으로 유명한 올륌피아의 왕 오이노마오스에게는 레우킵포스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이 친구도 다프네를 연모했고 못지 않은 악질로 아예 여장을 하고 다프네의 무리에 끼어 다녔다. 그러다 아폴론이 그를 질투해 계략을 써서 목욕 중에 성기를 들키게 만들었고 다프네와 그녀의 동료들 손에 죽었다. 아폴론에게 거의 남성 혐오적 반응을 보인 이유가 여기 있지 않을까(...)

2.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예언자



3. 인명


Daphne
영어권에서는 '대프니' 정도로 발음하며, 여성의 이름으로 사용된다. 가장 유명한 캐릭터로는 스쿠비 두의 대프니 블레이크.

3.1. 실존인물


  • 다프네 킨 - 로건의 로라 (X-23) 을 연기한 아역배우[7]
  • 모드 엘리자베스 다프네 메이 - 윈저 왕조의 일원. 켄트 공작 조지 왕자의 차남인 켄트 공자 마이클의 친손녀로, 조지 5세의 현손녀이다.

3.2. 가상인물



[1] 판본에 따라 그녀가 순결을 맹세했던 아르테미스에게 기도했다는 버전도 존재한다. 정작 아르테미스는 '''아폴론의 쌍둥이 누이'''(...)라는 점이 아이러니 하지만.. [2] 이때 아폴론에게 잡혔다면 강간당했을거란 이야기가 있다. 사실 그리스 신화 속 남신들의 특성을 생각하면 그랬을 듯 하다.[3] 그러나 또 다른 설로는, "월계수 잎을 사용한 것은 파티아의 우승자였고, 올림피아는 올리브 잎을 사용했기에, 물론 근대 올림픽도 올리브 잎을 쓰고, 월계관은 관습적 명칭이다."라는 말도 있다.[4] 아폴론과 직접 관련이 있는 것은 퓌티아 경기이다. 네메아 경기에서는 셀러리를, 이스트모스 경기에선 소나무 가지를 썼다고 한다. 올륌피아에서 야생 올리브를 쓴 것은 이다이오이 닥튈로이들이 첫 신들의 올림픽을 열었을 때 올륌피아 근처에 자생하던 야생 올리브 가지를 꺾어서 승자에게 씌운 것을 유래로 한다.[5] 흔히 천리향이라고 불리우는 서향나무(Daphne odora)등이 속한 속.[6] 팥꽃나무속의 모식종은 Daphne laureola로, 학명 자체가 다프네(월계수) + 월계수 닮은 나무라는 뜻이다(···).[7] 본명은 다프네 킨 페르난데스(Daphne Keen Fernandez)이며, 예명으로 표기가 살짝 다른 Dafne Keen을 사용한다. Keen은 부계 성씨, Fernandez는 모계 성씨이며, 영국인 아버지와 스페인인 어머니를 둔 덕에 영어와 스페인어를 모두 유창하게 구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