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303

 




1. 2009년~2015년 사이에 운행했던 303/303-1번
1.1. 노선 정보
1.2. 개요
1.3. 역사
1.4. 특징
2. 일평균 승차량
2.1. 연계 철도역
3. 그 전에 운행했던 303번
3.1. 1기
3.2. 2기
3.2.1. 개요
3.2.2. 노선
3.2.3. 역사
3.2.4. 특징
4. 관련 문서


1. 2009년~2015년 사이에 운행했던 303/303-1번



1.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3번
기점
대구 북구 산격2동(유통단지회차지)
종점
대구 북구 산격2동(유통단지회차지)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22:23
막차
22:23
평일배차
16분
주말배차
16분
운수사명
경북교통, 한일운수
인가대수
7대
노선
종합유통단지 - 신암보성아파트 - 동대구역 - 범어역 - 대구은행역 - 중앙로역 - 실내체육관 - 종합유통단지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3-1번
기점
대구 북구 산격2동(유통단지회차지)
종점
대구 북구 산격2동(유통단지회차지)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22:14
막차
22:14
평일배차
17분
주말배차
17분
운수사명
삼천리버스, 한일운수
인가대수
7대
노선
종합유통단지 - 실내체육관 - 중앙로역 - 대구은행본점 - 범어역 - 동대구역 - 신암보성아파트 - 종합유통단지

1.2. 개요


대구광역시 북구 대구종합유통단지 전자관(3)에서 중구 봉산동 반월당역(0)을 거쳐 다시 대구종합유통단지 전자관(3)로 돌아오는 경북교통, 삼천리버스, 한일운수 소속의 간선버스.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폐선되었다.
303번 전체 정류장 목록
303-1번 전체 정류장 목록

1.3. 역사


2009년 1월 17일 대구-경산 무료환승제가 시작되자 경산시 시계외노선들을 감편한 분량으로 849-1번[1]과 함께 신설된 노선이다.[2] 개통 당시에는 303번, 303-1번 모두 각각 인가대수 9대, 배차간격 14분이었으나, 이용객이 적은 관계로 계속 감차되어 각각 7대로 줄어들었다. 따라서 공휴일과 평일 다이어가 동일했다.
8월 1일 개편으로 폐지하고 서쪽(종합유통단지~반월당) 구간은 같이 폐지되는 704번과 통합하여 304번이 그대로 운행하고 있다. 신암보성아파트 구간은 가창1번이 간선으로 전환되는 413번이 양방향으로 운행하므로, 304번과 413번이 양쪽으로 나눠서 일부 구간을 대체 중이다.

1.4. 특징


이용객이 많은 노선은 아니어서 감차되긴 했지만 수요는 주로 반월당역에서 복현오거리 사이에서 발생했는데, 경명여자중고고 앞길, 대구실내체육관 뒷편 등 북구의 대중교통 음영 지역을 거치면서 시내로 '''한 번에''' 갈 수 있었다. 거기다 신암보성아파트를 거친다는 것만 제외하면 복현오거리~동대구역 구간에서도 814번937번의 수요 분담이 가능하다. 그리고 범어네거리에서 좌회전해서 법원으로 가는 유일한 시내버스 노선이었다.[3] 또한 수성구에서 반월당네거리 우회전해서 동성로 한가운데로 들어가는 유일한 노선이기도 했다. 304번으로 통합된 후에도 반월당까지 노선을 유지하기 때문에 북구 지역에서는 여전히 음영 지역으로 다닌다.
303-1번은 경대교로 들어갈 때 도청교에서 U턴했다.
2012년 10월 20일 노선 조정으로 한일운수 소속 차량이 303번, 303-1번에서 각각 1대씩 감차되어 609번에 투입되었다. 303-1번 7대 중 한일운수 1대를 제외하면 6대가 저상버스다.

2.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3번
2014년
2015년
3,198명
3,095명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3-1번
2014년
2015년
2,459명
2,619명

2.1. 연계 철도역



3. 그 전에 운행했던 303번


여담으로 대구에 303번이라는 번호를 가진 노선은 본 노선 이외에도 2개의 노선이 더 있었다.

3.1. 1기


하나는 1998년 개편 전 매곡리~범물1동 구간을 운행했던 좌석버스로 일반버스 3번[4]과 거의 일치했던[5] 노선이었다.[6]
대략적인 노선은 다사읍사무소~계대정문~(달구벌대로 직통)~신남네거리~동산병원~달성네거리~대구역~동인네거리~칠성시장~파티마병원~동대구역~고속터미널~동부정류장[7])~효목네거리~무열대~만촌네거리~신천지타운~범물1동주민센터
한때는 무열대~만촌초교~동원초교~동대구LPG충전소~동부정류장~고속터미널~신천네거리~동인네거리~한일극장~섬유회관~동산병원 분리 구간도 있었고, 도로 공사 등 발생시 동인네거리~삼덕네거리~반월당~계산오거리로 우회하기도 하였다.
좌석버스 303번은 1998년 개편 때 415번으로 번호를 변경한 채 계속 운행하다가 2001년에 514번과 통합되었으며, 514번은 2006년 개편 때 폐선되었다. 현재 하빈면 오지구간만 대구 버스 성서2번으로 운행중

3.2. 2기



3.2.1. 개요


1998년 개편 때 신설되어 2006년 개편 때 폐선된 303번과 303-1번이 있었다.

3.2.2. 노선


검단동주민센터~복현오거리~큰고개오거리~동대구역지하도~신천네거리~(→신천초교→구.KBS/←청구네거리)~MBC네거리~범어네거리~우방궁전맨션~(명덕로 직통~반고개네거리~(1/2분리운행: 비산네거리~서구청~평리네거리~북부정류장~팔달시장/두류네거리~신평리네거리~평리네거리~비산초교~북비산네거리~비산지하도)~원대오거리~북구청~이마트칠성점~북침산네거리~성북교~경북도청~실내체육관~산격종합시장~복현오거리~검단동주민센터

3.2.3. 역사


1998년 5월 5일 개편으로 신설되었다. 109번의 북부정류장 종점 구간이 301번으로 변경되고 만평네거리에서 북부정류장으로 가지 않고 바로 노곡동으로 종점이 변경되어 이 일부 구간을 이어 받았으며 신설 당시에는 서구 지역 분리운행이 없어서 북비산네거리 및 두류네거리 쪽으로 가지 않았고 북부정류장 및 비산네거리를 경유하였다. 서구청 구간은 내선순환선만 경유하고, 외선은 서구청 대신 대평리시장과 평리1동주민센터를 경유하다가, 동년 6월 개편 때 서구청 왕복운행으로 변경되었다.
1999년 1월 3일 서구 지역에서 분리운행 구간이 생겨서, 두류네거리 및 북비산네거리 쪽으로도 운행하게 되었다.[8]
1999년 4월 24일, 외선순환 노선에 303-1이라는 번호가 부여되었다.
2003년 8월(정확한 일자는 미상) 303-1번 감삼네거리 U턴 구간이 폐지되고 두류네거리에서 반고개로 바로 좌회전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사실 2호선 공사로 인해 좌회전이 막혀서 감삼네거리에서 U턴한 것이다.
이후에는 노선 변경이 없었다가 2006년 개편 때 폐선되어, 일부 구간을 직선화(혹은 타 노선에 이관)[9]하고 변경해서 순환2(-1)번이 되었다.

3.2.4. 특징


운행 대수는 두 노선 합해서 22대였다. 개통 초기에는 303번과 303-1번 모두 11대씩 운행하였으나, 서구 지역에서 분리구간 때문에 운행대수를 짝수로 맞춘 것인지는 몰라도 언제부턴가 303번은 12대가 11분 간격, 303-1번은 10대가 14분 간격으로 운행했다.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1시간 46분.
그런데 이 분리운행 구간 때문에 배차간격을 맞추기가 힘들었는데, 훗날 303-1번이 다니는 구간이 된 외선순환[10]이 특히 심했다. 당시에는 2호선 공사로 두류네거리에서 반고개로 좌회전이 불가능해 무려 감삼네거리까지 가서 U턴을 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 구간은 정체가 없을 경우에도 5분은 소요되는데 당시에는 이 구간이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공사 중이었기 때문에 정체가 심했다. 때문에 이 구간을 통과하는데 심할 경우 '''20분'''까지 걸렸을 정도. 이러한 문제는 2003년 8월에 두류네거리에서 반고개 방향 좌회전이 허용되면서 해결되었다. 이 구간 외에도 분리구간에서의 교통량 차이, 신호체계의 차이 등으로 인해 후행 차량이 분리구간에서 선행 차량을 추월하는 경우가 흔했다.
출퇴근 시간에는 승객 수요가 어느 정도 있었으나, 평시에는 공기수송을 면치 못했다. 노선 자체는 나쁜 편은 아니었지만 부도심 간 연결,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을 연결하는 역할이 미약해서 그랬던 듯. 그래도 명덕로 구간에서 구간 수요는 어느 정도 있었고 산격종합시장에서 복현동/검단동을 오가는 수요, 검단동/복현동에서 큰고개역[11] 환승 수요가 어느 정도 있는 편이었다.
동대구역지하도로 갔기 때문에 자연히 복현오거리에서 큰고개역 바로 앞으로 직통했다. 큰고개역에서 도시철도로 환승하는 건 버스-도시철도 간 환승 중 손꼽힐 정도로 개념환승 축에 들어갔는데, 버스 정류장에서 뛰어서 5초 거리에 도시철도역 입구가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환승할인 제도가 없었던 당시에도 검단동/복현동 주민들이 도시철도로 환승하기 위해 이 노선을 많이 이용했다. 2006년 이후에도 마찬가지이긴 하지만, 이제는 큰고개역 앞을 지나가는 버스들이 죄다 아양교역 방향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이런 장점은 묻히고 말았다. 현재 복현오거리에서 동구청역으로는 순환3(-1)번이 가까이 가지만, 그래도 역에서 좀 떨어져 있는 한국전기안전공사 쪽에 정차해서 접근성이 그닥이다.

4. 관련 문서


[1] 849번은 2006년 개편 때 신설되었는데 이 때 개편으로 순환형 간선노선이 되어 849-1번이 신설되었다.[2] 이 때 경산시로 들어가는 시계외노선이 대부분 감편되었는데 사월역에서 영남대학교로 직진하여 수요가 많은 449번, 649번, 구간 수요가 많은 814번, 939번은 감편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오히려 대구스타디움으로 진입하게 된 939번은 배차간격이 다소 길어서 증편되었다. 참고로 당시 309번, 508번, 509번, 518번, 609번, 708번, 719번, 808번, 840번, 980번이 감편되어 356번, 401번, 706번, 836번, 달서1번, 939번에 증편되었으며 303(-1)번, 849-1번 신설에 투입되었다.[3] 지금은 수성4번이 운행한다.[4] 1998년 개편으로 514번으로 변경[5] 시내 구간은 100% 동일했다.[6] 반면 일반버스 5번과 동일한 노선은 반월당을 경유하는 305번이 아니라, 355번이였고, 5번은 한일극장으로 갈때 355번은 명덕네거리로 우회했다. 일반버스 6번도 좌석버스 363번과 비록 동일노선은 아니였지만, 두 노선은 신당네거리~비산네거리까지 구간이 동일했었다.[7] 현재는 구. 동부정류장[8] 사실 이 구간은 두류네거리를 제외하고는 301번의 구 번호인 109번과 유사한 구간이라고 보면 된다. 109번이 원래 북부정류장 종점이였다가, 301번으로 바뀌고 북부정류장 구간을 날리고 만평네거리를 경유하여 노곡동 종점으로 변경되어 운행한 노선이기 때문.[9] 101(-1)번의 침산변전소 ~ 검단네거리 구간, 신천역~동대구초교~동대구역지하도~큰고개역 구간[10] 당시에는 외선순환 구간도 '-1'을 부여하지 않았다. 외선순환 구간에 '-1'이 부여된 건 1999년 4월 24일부터[11] 후에 동구청역으로 이름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