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 시내버스/폐선
1. 1996년 이전 및 개편 조정 당시
2. 1998년 개편 이전 및 개편 당시
2.1. 입석 버스
2.1.1. 2번
2.1.2. 2-1번
2.1.3. 13번
2.1.4. 13-1번
2.1.5. 15번
2.1.6. 31번
2.1.7. 34번
2.1.8. 50번
2.1.9. 66번
2.1.10. 66-1번
2.1.12. 72번
2.1.13. 101번
2.1.14. 120번
2.1.15. 121번
2.2. 좌석 버스
3. 1998 ~ 2006년 사이 폐지된 노선
4. 2006년 개편
5. 2006 ~ 2015년 사이 폐지된 노선
6. 2015년 개편
7. 2017년 상반기 노선 조정
8. 2019년 상반기 노선 조정
9. 2020년 하반기 노선 조정
이 문서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하위 문서이며 한때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였으나 폐선된 버스를 목록으로 정리합니다.
- 버스 형식, 번호 순으로 추가되었다.
- 형간 전환이 되어 번호가 없어진 경우는 제외합니다((예) 좌석버스 105 → 급행버스 급행1, 간선버스 508 → 급행버스 급행5).
- 번호를 유지한 채 노선이 크게 바뀐 경우에는 해당 문서에 추가된다.
- 노선 조정으로 번호가 변경된 노선은 제외합니다. ((예) 106→ 306, 242→521→ 524 , 535→ 503, 910 → 410(-1))
- 지명은 폐선 당시를 기준으로 하되 혼동의 여지가 있는 경우 주석을 달아주세요.
1. 1996년 이전 및 개편 조정 당시
1.1. 입석 버스
1.1.1. 25번
1980년 12월에 경상북도 대구시에서 경상북도 경산군 하양읍을 연결하는 시내일반버스 노선인 25번이 신설 개통되었으며, 신설 당시에는 경북교통만 고정 배차 되었다. 대구직할시 승격 1주년을 기념 하는 1982년 3월에 경상북도 경산군의 제일여객이 정식 참여 함에 따라 대구시 경북교통과 경북 경산군 제일여객의 공동 배차가 되었다.
1996년 9월의 노선 조정에서 시내일반버스 25번을 1994년에 신설된 397번 좌석버스에 운행 구간을 념겨 폐지 하였으며, 따라서 대화교통이 1994년에 신설된 397번(현. 708번) 좌석버스에 공동 배차 하고 있다.
운행 경로 : 칠곡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만평네거리) - 팔달시장 - 대구역 - 평화시장 - 동대구역 - 동대구고속터미널 - 동부정류장 - 반야월구길 - 하양읍 - 대구대
1.1.2. 93번
운행 경로: 구암동 - 팔달교 - 북부정류장 - 원대오거리 - 북구청 - 달성공원 - 서문시장 - 계명네거리 - 대명시장 - 성당시장 - 서부정류장 - 본리네거리 - 죽전네거리 - 호림동
칠곡2지구가 개발되기 전 오지였던 구암동에서 성서공단이 생기기 전 오지였던 호림동을 오갔던 오지노선이었다. 90년대 중반 쯤 폐선된 것으로 추정
2. 1998년 개편 이전 및 개편 당시
2.1. 입석 버스
2.1.1. 2번
[image]
(사진출처 : 뉴스뱅크)[1]
운행 경로 : 범물동 - 동아백화점수성점 - 신천동로 - 대백프라자 - 반월당 - (대구역 / ← 한일극장) - 칠성시장 - 경북도청 - 무림제지 - 노원네거리 - 풍국면 - 북부정류장
2번이라는 번호에서 알 수 있듯이 역사가 상당히 오래되었고 수익도 많았다. 하지만 8~90년대 들어 중복노선이 조금씩 생겨나 수익이 줄어들었고 대체노선이 많아져 1998년 5월 개편 때 폐선.
최초 기점은 세왕교통의 본사였던 파동이었으나, 범물, 지산동 택지개발로 기점이 범물동으로 바뀌었다.
현재 노원네거리에서 동인네거리, 들안길-범물동을 지난다는 점에서 현재의 403번 노선과 유사.
2.1.2. 2-1번
운행 경로 : 남부정류장 - 황금아파트 - 어린이회관 - 대백프라자 - 반월당 - (대구역 / ← 한일극장) - 칠성시장 - 경북대학교 정문 - 복현오거리 - 노원네거리 - 팔달시장 - 북부정류장 - 평리동 - 감삼네거리 - 원화여고 - 본리동(경신교통)
2번의 지선노선으로 1983년에 당시 교통이 불편하던 복현동 지역을 위해 신설된 노선. 당시에는 2번과 마찬가지로 파동까지 다녔다. 이후 어린이회관으로 축소되었다가 다시 황금아파트로 연장되고, 다시 남부정류장으로 연장되었으며, 평리동 구간도 본리동[2] 까지 연장되어 다녔으나 배차간격이 길어서[3] 인기는 많지 않았다. 동북로 개통 전에는 경상여고-성북교-도청-경대북문-복현오거리-경대정문으로 운행하였지만, 동북로 개통 후 경상여고에서 침산교를 거쳐 산격시영아파트-경대정문으로 직전하여 운행하였다. 거듭된 노선 변경으로 폐선 직전에는 2번과의 연관성이 별로 없는 노선이 되었다.
'외곽-외곽-시내-외곽'의 형태로 운행했던 장거리 노선이었다. 여러 차례 개편이 진행된 2020년 현재는 사실상 공중분해된 상태인데, 그나마 순환3(-1)번이 이 노선을 계승하는 구간이 긴 편이다.--
1994년에는 좌석버스도 신설되는데 자세한 사항은 하단의 321번 항목 참조.
2.1.3. 13번
운행 경로 : 동촌유원지 - 동구청 - 동대구역 - 청구고 - 한일극장 - 동산의료원 - 대명시장 - 반고개네거리 - 비산네거리 - 원대오거리 - 팔달시장 - 북부정류장
2.1.4. 13-1번
[image]
(사진출처 : KBS 뉴스 9)
운행 경로 : 동촌유원지 - 동구청 - 동대구역 -청구고- 한일극장 - 동산의료원 - 대명시장 - 반고개네거리 - 비산네거리 - 서구청- 평리네거리 - 북부정류장
13번의 파생노선이다. 13번과 비산네거리에서 북부정류장 사이 운행 경로만 다르다. 13번은 북비산네거리-원대오거리 경유, 13-1번은 서구청-평리네거리 경유의 차이다.
2.1.5. 15번
안심역 - 반야월시장 - 용계역 - 아양교 - KT동대구지사 - 동대구역 - 칠성시장 - 한일극장 - 동산네거리 - 비산네거리 - 새길시장 - 반고개네거리 - 두류네거리 - 감삼네거리 - 성당주공네거리 - 동본리네거리 - 본리네거리 - 달서구청 - 본리동(경신교통)
이와 동일한 좌석 노선인 315번이 있었는데 이쪽은 안심역이 아니고 범물1동 주민센터와 본리동으로 운행하였다가, 대건중고교 종점까지 연장하였다. 이후 15번은 1998년 개편 때 안심에서 경산 진량까지 연장되면서, 한일극장, 반고개, 본리동, 월성지구 구간 등을 156번에게 넘겨주고 폐지 함에 따라 동대구역 편도 회차로 돌리고 경산시 대화교통으로 이관되어 818번으로 운행중[4]
2.1.6. 31번
주요 경유지 : 화원유원지 - 유천교 - 상인네거리 - 서부정류장 - 문화예술회관 - 반고개네거리 - 중부소방서 - 동산의료원 - 한일극장 - 동신교 - 귀빈예식장 - 동대구역 - 동구청 - 동촌 - 반야월
650번, 980번의 전신인 30번,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대부분 중복되는 선형으로 인해 폐선되고 화원유원지는 30번의 서쪽 구간을 계승한 650번에 넘겼다.
특이하게도 성당시장에서 동산의료원으로 갈 때 계명네거리를 경유하지 않고 반고개네거리로 나온 뒤 달구벌대로를 따라 신남네거리까지 나온 뒤 동산의료원으로 들어갔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공사로 반고개네거리 좌회전이 금지되면서 노선이 바뀐 듯.
한편 이 노선의 폐선 이후 성당로에서 동대구역으로 한 번에 가는 노선이 없었는데, 17년 만인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 편으로 805번이 조정되어 기능을 넘겨받았다.
2.1.7. 34번
운행 경로 : 유가읍 - 현풍 - 논공 - 화원 - 월배 - 서부정류장 - 대명시장 - 서문시장
당시 달성공단이 들어서기 전이라 화원을 제외한 달성군 지역은 거의 허허벌판이나 다름없었고[5] 설화동 이남 구간은 시계외요금까지 물었으며, 그나마 수익이 나올 만한 대구시내 구간은 얼마 안되는데다 그마저도 중복노선이 많아 수익이 많지 않았다.
말년에는 334번과 같이 달서구청 경유로 바뀌고 종점도 범물동까지 연장되었으나, 얼마 가지 않아 폐선되었다.
2.1.8. 50번
운행 경로 : 영남공고 - 남부정류장 - 수성구청 - 대구은행본점 - 봉덕시장 - 남구청 - 영대병원 - 경북여고 - 반월당 - (통일로 → 경북도청 → 침산변전소 / ← 시민회관 ←시민운동장 ←명성웨딩) - 경상여고 - 노원네거리 - 만평네거리 - 북부정류장
신설 초기부터 2번에 밀려서 수익이 그다지 많지 않았으나, 등교길 노원동에서 경상여고, 대구여자중학교(현재 대구일중학교), 침산중학교로 가는 버팀목이었다. 나중에는 그 2번마저도 수익이 떨어지는 와중에 이 노선이라고 잘 될 리 없었고, 결국 2번을 따라 1998년 5월 개편 때 폐선.
2.1.9. 66번
운행 경로 : 범물동 - 수성못 - 정화여고 - 어린이회관 - 범어네거리 - 남부정류장 - 동구시장 - 고속터미널 - 동인네거리 - 한일극장 - 서문시장 - 비산동 - 원대동 - 노원네거리 - 만평네거리 - 북부정류장.
상기한 2번, 50번과 같은 이유. 그래도 고속터미널을 지난다는 특징이 있었지만 그 구간 또한 중복노선이 많은 실정이었다.
북부정류장에서 고속터미널을 경유했던 70번과 비교시 노원네거리 경유로 소요시간이 더 걸렸다. 원대오거리에서 동인네거리까지 노선이 같았고, 동인네거리에서 고속터미널까지는 신천교와 동신교를 건너는 차이 정도. 70번은 비산동에서 청구고 가는 수요라도 있었지만,
2.1.10. 66-1번
운행 경로 : 지산동 - 범어네거리 - 남부정류장 - 동구시장 - 고속터미널 - 동인네거리 - 한일극장 - 서문시장 - 비산동 - 원대동 - 노원네거리 - 만평네거리 - 북부정류장
66번에서 범물동 구간을 지산동으로 변경시킨 지선노선. 2번 형제, 50번, 66번 형제의 5노선을 보면 알겠지만 전부 수성구 - 대구 중심가 - 북부정류장을 잇는 노선인데 1998년 5월 개편 때 폐지된 일반 노선 중 이들 노선이 차지하는 비중이 많았던 점을 볼 때 당시 쓸데없이 과도한 노선 중복이 얼마나 심했는지 알 수 있다.
2.1.11. 71번
1980년 12월 71번 시내일반버스 고정배차인 삼천리버스만 운행 하여 첫 대구시 경상북도 경산 노선 신설 되었으며 1981년 12월 71번 시내일반버스 고정배차인 삼천리버스 경북교통만 운행 하여 첫 참여 하여 대구 직할시 승격 기념 정식 노선 참여 개통 되었으며 1982년 3월 71번 시내일반버스 고정배차인 삼천리버스 경북교통 홍아여객만 정식 참여하여 정식 개통 되었다.
1998년 5월 890번 일반버스 노선 변경 하였다.
운행 경로 : 71번 북부정류장 수성교 남부정류장 하양읍
2.1.12. 72번
운행 경로 : 하양 - 안심 - 반야월 - 방촌동 - 아양교 - 동대구역 - 칠성시장 - 대구역[6] -동산의료원 - 대명시장 - 성당시장 - 서부정류장
노선 선형 자체는 크게 나쁘지 않았고 수익도 꽤나 높았으나 문제는 새로 생기게 될 지하철과의 중복도가 심했다. 어쩌면 지하철 1호선의 노선이 확정된 때부터 이미 폐선이 예정되어 있었는지도 모른다.[7]
2.1.13. 101번
순환형 노선이었으며, 반대 방향으로는 111번이 다녔다.
대략적인 노선은 본리동(우진교통) ~ 죽전네거리~감삼네거리~두류네거리[8] ~신평리네거리~서구청~비산네거리~원대오거리~노원네거리~무림제지~성북교~경북도청(현재는 시청별관)~경대교~강남약국~칠성시장~경대병원~청운맨션~건들바위네거리[9] ~봉덕시장~영대병원역~서부정류장~본리동(우진교통) 이었다가 1994년 성서 아파트단지이 생기면서 성서공단까지 연장되었는데 연장 당시 101번은 신당네거리, 성서아파트단지로 가지 않고 푸드웰, 중앙일보, 장동네거리까지 갔다가 내일교회 및 갈산네거리/갈산공원을 거쳐 계명대학교동문으로 나와 신당동주민센터, 동서서한타운, 성서우체국으로 ㄹ자로 그리며 운행하여 성서네거리에서 좌회전하여 달구벌대로로 두류네거리까지 온 다음 순환구간을 거쳐 내려올때는 영대병원과 서부정류장을 경유 남대구IC, 성서우방타운,계대동문을 경유하여 다시 성서공단으로 돌아왔으며, 111번은 그 방향의 역순으로 운행하였다 이때는 성서공단 기점 출발시 계대동문, 성서아파트단지를 경유하였다. 당시 101번 버스의 경우 달구벌대로 구간에서 108번 버스와 경쟁하기도 했었다. 유사한 102번은 죽전네거리, 두류네거리 모두 경유 하였지만, 죽전네거리에서 직진하지 않고 성당주공아파트, 원화여고를 돌아서 간다는 점에 굴곡이 심했었다. 1998년 개편 때 폐선되고, 일부 구간은 564번이 가져가면서. 성서공단 구간은 102번의 전신인 506번[10] , 665번이 대체했으나, 당시 665번은 서부정류장[11] 에서 화원으로 가버리고 506번이 반고개에서 시내 쪽으로는 나가지 않아서 이 노선 폐선에 대한 불만 민원이 많았다. 2017년 현재는 403번이 이 노선을 계승하는 구간이 조금 긴 편이고, 나머지 구간은 공중분해된 상태.
2.1.14. 120번
운행 경로: 대곡지구 - (?) - 상인네거리 - 달서구청 - 본리네거리 - 동본리네거리 - 제일여상 - 금봉네거리 - 서부정류장 - 안지랑네거리 → 영대병원 → 명덕네거리 → 대백프로자 → 대구시교육청 → 범어네거리 → MBC → 동부정류장 → 고속터미널 → 상공회의소 → 동신교 → 중앙네거리 → 대구역네거리 → 시민운동장 → 달성초교 → 북비산네거리 → 평리네거리 → 삼익뉴타운 → 두류정수사업소 → (원화여고 입구 삼각교차로 끼고 U턴) → 감삼네거리 → 두류네거리 → 두류공원 → 안지랑네거리 - 대곡지구
엄청난 굴곡 노선을 자랑하던 장거리 순환형 노선, 동본리네거리에서 바로 직진하면 서부정류장으로 갈 수 있지만 여기서 좌회전해서 (당시) 성당주공아파트와 금봉네거리를 찍고 서부정류장으로 간다, 여기부터 영대병원을 거쳐 명덕네거리까지는 그냥 평범한 구간이지만 명덕네거리에서 그대로 직진하면 대구역네거리로 갈 수 있지만 여기서 우회전해서 동쪽으로 크고 아름다운 ㄷ자를 그린다. 명덕로를 따라 가다가 범어네거리를 거쳐[12] MBC로 간다. 여기서도 동부정류장과 고속터미널이라는 대수요처를 그냥 놓칠 수는 없는지 동부정류장과 고속터미널, 상공회의소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서 국채보상로로 진입한다. 그리고 대구역으로 간 뒤 태평네거리에서, 이번에도 야구장과 축구장 수요를 놓칠 수 없는지 북쪽으로 살짝 우회해서 북비산네거리로 진입한다. 그리고는 서대구로를 따라 가다가 이번에는 경덕여고, 원화여고, 경화여고, 상서고, 달성고 등 통학수요를 놓칠 수 없는지 삼익뉴타운으로 들어간 뒤 감삼네거리를 통과한 다음 원화여고 앞 삼각 교차로를 끼고 U턴해서 다시 감삼네거리와 두류네거리로 온다. 여기서부터는 두류공원로를 따라 안지랑네거리로 간 뒤 왔던 길을 따라서 종점으로. 1회당 운행 시간은 3시간을 훌쩍 넘겼을 것으로 추정되며 배차간격도 긴 편이었다.
2.1.15. 121번
운행경로: 대곡지구 - (?) - 상인네거리 - 송현여고 - 남부교육지원청 - 서부정류장(관문시장) - 안지랑네거리 - (이상 위 120번의 역순으로 운행)
120번의 반대 방향으로 운행하는 노선, 달서구 구간이 120번과 달리 송현여고를 경유했다. 90년대 중반 75번이 편도로 송현여고로 들어오기 전까지는 이쪽이 단독구간이기도 했다. 역시 120번과 마찬가지로 굴곡 노선의 끝판왕이었다.
2.2. 좌석 버스
2.2.1. 321번
운행 경로 : 범물동 - 동아백화점 - 대봉교 - 대백프라자 - 한일극장 - 칠성시장 - 경북대학교 - 복현오거리 - 팔달시장 - 북부정류장 - 평리동 - 원화여고 - 본리동 - 월성동 - 대곡동
1994년에 2-1번 좌석버스로 신설된 노선. 당시에는 범물동 구간은 2번과 동일했으며 대백프라자 이후의 구간은 2-1번과 동일했다. 이후 1995년 좌석버스 번호 체계에 따라 321번으로 변경하고 대곡동으로 연장하지만 지나치게 장거리였고 배차간격도 좋지 않아 수익이 많지 않았다. 결국 1998년 5월 개편 때 2번 버스와 함께 폐선. 다만 이후 936번이 이 노선의 많은 구간을 계승했지만, 936번도 폐선되고 936번의 수성구, 동구, 북구 복현동 구간만 받아서 937번이 신설되었는데, 937번과 이 노선이 다녔던 구간을 놓고 비교해보면 겹치는 구간이 얼마 없다.
2.2.2. 334번
운행 경로 : 현풍 - 논공 - 화원 - 대곡 - 달서구청 - 서부정류장 - 대명시장 - 서문시장 - 반월당 - 황금네거리 - 범물동
현풍에서 범물동까지, 말 그대로 대구 서쪽 끝에서 동쪽 끝으로 가던 초장거리 좌석노선. 초창기에는 시외완행버스로 인가가 나 고령군 업체인 경상교통[13] 에서 운행했다. 당시에는 달성군이 경상북도 소속이라 시계외노선이었던 관계로 설화리 이남 지역에서는 '''시계외요금'''을 받았다. 1990년대부터 대구 업체와 공동 배차하더니, 1997년 3월부터 대구시내버스로 완전히 이관되며 구간요금도 이 때서야 폐지된다. 하지만 당시는 화원 이남 지역이 그야말로 허허벌판이던 시절이었던 데다가 서문시장에서 범물동으로 연장되긴 했지만 1996년에 새로 신설된 332번과의 경쟁에 밀려서[14][15] 수익이 형편없었고, 결국 1998년 5월 개편 때 폐선된다.
2.2.3. 352번
운행 경로 : 반야월 - 아양교 - 복현동 - 침산동 - 시민운동장 - 서문시장 - 구남여상 - 서부정류장 - 월배 - 화원 - 옥포(신당리)
32번의 좌석버스 노선으로 1997년에 신설된 노선. 32번과 노선이 100% 동일했다. 1995년 이전이라면 일반버스에 에어컨이 없던 시절이라 32번과의 확실한 차별화가 되어 수익이 어느정도 있었겠으나 이 노선이 신설되던 당시의 32번은 인기노선으로 에어컨이 달린 새차가 집중 투입되는 노선 중 하나였다. 당연히 이로 인해 비싸기만 한 좌석버스인 352번은 공기수송을 면치 못하다가 신설 1년 후 1998년 5월 개편 때 폐선된다.
2.2.4. 385번
운행 경로 : 범물동 - 경북고교 - 남부정류장 - 범어네거리 - 대구MBC - 동인네거리 - 대구역 - 서문시장 - 서구청 - (중리아파트/삼익뉴타운) - 감삼네거리 - 원화여고 - 올림픽기념관 - 월성동 - 월배(유천교)
85번의 좌석버스 노선이었으나 이쪽은 월배(유천교)까지 갔다. 1994년 신설 초기에는 좌석버스 85번이었으며 1년 후 좌석버스 번호 체계를 따라 385번으로 번호가 변경된다. 85번과 달리 범물동 - 경북고교 구간[16] , 동인네거리 - 대구역 구간[17] 이 직선화되어 있었다. 85번같이 중리아파트/삼익뉴타운 1/2 구간이 있었다.
3. 1998 ~ 2006년 사이 폐지된 노선
4. 2006년 개편
4.1. 좌석 버스
4.2. 입석 버스
4.3. 마을 버스
5. 2006 ~ 2015년 사이 폐지된 노선
6. 2015년 개편
6.1. 간선 버스
6.2. 지선 버스
7. 2017년 상반기 노선 조정
8. 2019년 상반기 노선 조정
9. 2020년 하반기 노선 조정
[1] 아마 성북교 ~ 도청교 사이인 듯 하다.[2] 당시 경신교통 본사[3] 2번보다 길이가 더 길었는데 인가대수는 오히려 2번보다 적었다.[4] 사실상 15번이 대구시내버스이고 개편 때 경산시 면허로 운행하다 보니 폐선된 노선이나 마찬가지로 볼 수 있다.[5] 당시 달성군청은 대구 대명동에 있었다.[6] 안심부터 여기까지 지하철 1호선하고 완전 겹친다.[7] 대략적인 노선을 보면 알겠지만 사실상 안심부터 대구역까지 거의 지하철 1호선 노선을 따라가다시피했다. 중복 되지 않는 구간은 영대병원을 대신해 동산의료원으로 또 반월당을 대신해 대명시장 경유하는 것으로 돌리고또 그래보면 반월당에서 대명시장까지도 성인 걸음으로 30분만에 도착하기 때문 다시 서부정류장 1호선 구간 합류한다. 그래 보면 폐선될수 밖에 없다.[8] 반대편 111번은 삼익뉴타운 경유, 당시 양 방향 삼익뉴타운을 경유하려했으나 101번의 경우 감삼네거리에서 성당동,월배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 좌회전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어쩔수없이 광장타운을 경유하여 편도운행하게 된것이다. 6-1번의 경우도 대구의료원을 거쳐갔던게 이 때문, 현재는 감삼네거리에서 달구벌대로 한정으로 양방향 좌회전 허용되어 이 구간에서는 405번이 운행하고 있다.[9] 반대편 111번은 대구중학교 경유[10] 102번 시절에는 본리동에서 계대동문까지만 연장 운행했고, 101번, 111번이 순환했던 성서1차산업단지 내부경유구간을 이어받았다.[11] 1998년 5월신설 초기에는 서부정류장으로도 안가고 본리네거리에서 바로 월성동으로 들어갔다. 동년 6월부터 본리초교, 서부정류장을 경유하기 시작했다.[12] 중간에 우방궁전맨션이 아닌 대구시교육청을 경유한다, 반대편 121번도 대구시교육청을 경유하다가 도시철도 2호선 공사로 인해 대구은행네거리에서 좌회전이 금지되면서 대구 버스 수성4처럼 동일초교와 수성시장을 경유해서 명덕로를 진입하는 것으로 변경된다.[13] 현 대가야여객[14] 332번은 신설 당시부터 완전한 대구시내버스 노선이었고, 따라서 구간요금 또한 받지 않았다. 배차간격도 훨씬 짧았고, 월배 직통이었다.[15] 달성군 지역의 구간요금은 1995년 달성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된다. 332번이 만약 그 전에 생겨났다 해도 좌석버스라 구간요금을 받지 않았을 것이다. 좌석버스의 구간요금은 1990년에 공동 배차제를 시행하면서 폐지되었다.[16] 85번은 황금동 쪽으로 돌아서 갔다.[17] 85번은 칠성시장 쪽으로 돌아갔다.[18] 2001년에 514번에 통합[19] 실질적인 종점은 성주군이 아니라 하빈면이다. 그러다가 1/3만 성주대교로 가고 나머지는 다사읍사무소 회차로 원상복귀되었다.[20] 범물네거리 ~ 반월당역 구간은 현재 운행 중인 (신)204번과 98% 동일하다. 다른 구간은 이천동 구간이다.[21] 한일운수 차고지의 이전 이후에는 사월보성타운으로 들어갔다.[22] 2005년에 609번에 통합[23] 2006년 개편 때 401번에 통합. 104번으로 바뀐 후 대덕맨션/미리내맨션 1/2 운행으로 바꾸고 범물1동으로 연장했으나, 다시 대덕맨션으로 단축됐다.[24] 대일버스 본사 자리로 현재의 담티역 근처다.[25] 대덕버스 차고지 이전 후 524번이 대일버스 차고지로 들어가고 대일버스 차고지를 종점으로 쓰던 이 노선이 시지지구(욱수동)까지 연장되었다.[26] 한 때 8분 정도로 준수한 배차간격이었으나 RH 이외 시간대의 공기수송이 심각해져 지속적으로 감차를 당해. 15분 정도까지 늘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27] 1998년 개편 당시 1달 이전 이 노선이 영남우방타운~성서고교~방천리로 갔다가 509번과 통폐합된 노선이다. 바로 통폐합된 것은 아니고, 실질적인 통폐합은 509번이 명덕로로 코스를 바꾼 2009년이다.[28] 1998년 개편 당시 1달전 쯤 331번이 화원동산을 거쳐 다산까지 갔었고 유사한 330번은 화원동산에 남아있었다. 그러다가 608번으로 바뀌고는 다산으로 풀타임 운행하게 되었다.[29] 현재의 CGV 대구한일[30] 지금 운행하는 (신)204번과는 완전히 다르다.[31] 405번의 지선인 405-1번을 폐지하고 신설한 노선으로 당시에는 기점이 방천리가 아닌 계명문화대학이고 중간 경유지도 많이 달랐다.[32] 원래는 계대정문이였지만 2001년 회차지 유턴 사고로 인해 삼성명가타운으로 변경되었다.[33] 16년 기준 삼성명가타운 정문 오른쪽에 보면 버스정류장이 존재한다.[34] 다만 번호는 지워져있다.[35] 현재 운행하는 성서2번의 하빈면 가지 노선들이 존재하였다.[36] 지금 운행하는 (신)524번과는 완전히 다르다.[37] 원래는 계대정문이였지만 2001년 회차지 유턴 사고로 인해 삼성명가타운으로 변경되었다.[38] 16년 기준 삼성명가타운 정문 오른쪽에 보면 버스정류장이 존재한다.[39] 다만 번호는 지워져있다.[40] 이현삼거리와 삼익뉴타운 구간 1:2의 비율로 분리운행[41] 현재의 감삼역 부근[42] 달서2번 (舊)506번과 1/2간격으로 분리 조정되었으며 여기서 똑같은 경유지 구간은 대곡지구~상인네거리구간과 신당네거리~성서공단 구간이다.[43] '''평리1동주민센터네거리 - 비산초교 정문 구간'''은 서구1(-1)번이 운영.[44] '''와룡공원'''구간은 524번이 운영.[45] 지금 운행중인 달성2번에 과거 존재했던 가지노선이다.[46] 상리동[47] 반대편 202-1번은 서부정류장역(구. 성당못역) 북편으로 갔으나, 편도 운행에서 왕복 운행으로 바꾸면서 서부정류장을 직접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