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609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609번
기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대천동공영차고지)
종점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신대리(영남대동문)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평일]''' 22:21 / '''[토요일]''' 22:13 / '''[공휴일]''' 22:20
막차
'''[평일]''' 22:16 / '''[토요일]''' 22:19 / '''[공휴일]''' 22:23
평일배차
14분
주말배차
18분
운수사명
대명교통, 한일운수
인가대수
21대[1][2]
노선
대천공영차고지[3] - 진천역 - 조암네거리 - 월성2동 행정복지센터 - 서부정류장 - 성당시장 - 대명공연거리 - 청라언덕역 - 반월당역 - 수성구청 - 대공원역 - 대구스타디움 - 신매초교 - 사월역 - 경산시장 - 영남대 - 영남대동문
'''중간 출발 정류소'''
'''영남대동문''' 방면
구.남부정류장, 현대백화점.동아쇼핑, 서부정류장, 월성2동행정복지센터평일, 토요일
'''대천동''' 방면
약령시입구, 구.남부정류장, 사월역
'''중간 종료 정류소'''
'''영남대동문''' 방면
경산시장, 사월역평일, 토요일, 덕원고등학교평일, 공휴일, 대륜중고등학교토요일, 공휴일, 구. 남부정류장평일
'''대천동''' 방면
월성2동행정복지센터평일, 토요일, 서부정류장, 약령시입구

2. 개요


달서구 대천동공영차고지(6)에서 중구 봉산동 반월당역(0)을 거쳐 경산시 압량읍 영남대동문(9)까지 가는 간선버스 노선. 실제 전산상으로는 기점이 영남대동문, 종점이 대천동공영차고지로 번호와 반대다.
왕복 운행 거리는 70.6km.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1998년 5월 5일 개편 전에 운행했던 일반버스 75번[4]과 좌석버스 375번이 이 노선의 모태다.
  • 1990년대 중반에 신설된 375번은 75번의 좌석버스 버전이었다. 삼각지네거리를 경유했다는 점을 제외하고 75번과 노선이 100% 똑같았다.
  • 1990년대 중반 이전의 일반버스 75번은 삼각지네거리와 내당네거리를 1/2분리 운행하였다. 이후 삼각지네거리 경유 구간을 신설했던 375번에 넘겼다. 이 때에는 서부정류장 ~ 월성지구 구간이 편도운행 구간이었다.
  • 75번과 375번 모두 서부정류장 → 동본리네거리 → 대구공업대학교 → 송현여자중고교 → 월촌역 → 상인네거리 → 월성주공2단지 → 월성2동주민센터 → 올림픽기념관 → 남부교육청 → 구. 달성군청 → 서부정류장 구간을 편도운행했다. 375번 신설 이전의 75번은 대구공업대학을 지나 남부교육지원청으로 바로 좌회전해서 구.달성군청으로 갔었다. 다만, 월성지구로 연장하면서 편도운행 구간이 길어졌다.
  • 1998년 5월 개편으로 일반버스 75번은 906번으로, 좌석버스 375번은 609번으로 변경하였다.
  • 1998년 5월 개편으로 서부정류장 이후 편도운행 구간을 왕복운행 구간으로 정리하였다. 좌석버스 609번은 서부정류장에서 구. 달성군청 ~ 남부교육지원청 ~ 올림픽기념관 구간을 왕복으로 운행했고,[5] 일반버스 906번은 동본리네거리 ~ 송현여고 구간을 왕복으로 운행하게 되었다.[6]
  • 1999년에 906번 자인행이 경산버스와의 마찰로 폐지됐다.[7]
  • 2000년에는 906번은 신남네거리에서 서문시장, 동산병원, 섬유회관을 경유하여 반월당으로 가는 것으로 변경하였다.
  • 2000년에 906번 월성동행은 본리네거리와 올림픽기념관을 경유해서 송현여고로 들어갔고, 영대행은 그린맨션 2,3차 사이의 2차선 도로를 경유해서 구마로로 나오기도 했다.[8] 뒤이어 송현여자중고교 앞 도로가 같은 공사 때문에 교통이 전면 통제되었을 때는 서부정류장에서 송현역, 월촌역을 경유해서 상인역으로 들어가기도 했다. 그 전에 당시 609번은 이 공사 때문에 임시우회운행을 하지는 않았다.
  • 2001년 4월 23일 좌석버스였던 609번이 일반버스로 전환되었다.[9] 문제는 609번과 906번은 뿌리가 같은 노선이었는데, 609번까지 일반버스가 되면서 경쟁 노선이 되었다. 다만, 906번보다 609번의 배차간격이 짧아서 609번이 경쟁에서 다소 유리했던 듯했다.[10]
  • 2005년 2월에 906번이 609번에 통합되었다. 이에 따라 통합 609번의 인가대수가 41대로 증차되었다.[11][12] 내당네거리와 삼각지네거리 구간, 서부정류장 이후 구간은 1/2 분리운행하는 방식으로 다녔다. 남천 분리노선도 609번으로 넘어갔다.[13][14][15]
  • 2008년 10월 개편으로 449번 증차를 위해 한일운수 차량 1대가 감차되었다.
  • 2009년 1월 17일 개편으로 송현주공아파트 방면(또는 상인네거리 방면)[16]을 운행하는 분리 노선과 남천지선은 분리 노선 통합으로 사라졌다.[17] 추가로 우주교통 10대[18]와 한일운수 4대[19], 총 14대가 감차되었다.
  • 2010년 4월 개편으로 449번에 차량을 투입하기 위해 한일운수 차량 2대가 감차되었다.
  • 2012년 6월 16일 삼각지네거리, 양지로 방면으로 분리구간을 통합하였다.
  • 2012년 10월 20일 개편으로 대구스타디움 경유로 변경되었다. 수요 감소에 따라 인가대수도 2대 감차되었다.[20][21] 배차간격이 11분에서 13분으로 대폭 늘어났다.
  • 2014년 10월 개편으로 1대가 감차되어 신설된 동구4-1번으로 보냈다.
  •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우주교통이 빠지고 대명교통이 참가한다. 649번을 운행했던 2012년식 차량 3대가 모두 넘어왔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으로 대명교통 소속 차량 1대가 빠지고 한일운수 소속 차량이 1대 더 투입하였다.
  • 2019년 12월 9일 개편으로 조영동 회차지가 폐쇄됨에 따라 영남대까지 단축되었다. 영남대 정문 종점과 회차지인 갑제동(영남대 동문) 사이는 공차회송했다. 배차간격은 13분에서 14분으로 늘어났다.
  • 2020년 2월 15일 개편으로 갑제동 회차지까지 노선이 연장되어 공차회송 구간이었던 영남대 정문 ~ 영남대 동문 구간에도 승하차를 받는다.

4. 특징


(대구버스 노선 중 문서가 가장 먼저 생성되었다.)
신월성과 월성2동행정복지센터 일대에서 서부정류장과 성당시장, 양지로를 거쳐 청라언덕역반월당역, 수성구 방면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그러므로 이 구간을 오가는 수요가 엄청 많다.[22] 남구1(-1)번과 함께 양지로 수요도 책임진다.[23] 남구(성당로, 양지로 구간)에서 경대사대부고에서 오가는 통학 수요가 상당히 꽤 있다. 최근에는 신월성의 개발로 조암로 수요도 많이 증가하고 있다.[24]
엄청난 중복 노선들 때문에 수요가 적은 편이다.(특히, 만촌네거리~ 대구스타다움 구간) 2012년 10월 20일 개편 때 대공원역에서 대구스타디움으로 우회하도록 노선이 조정되면서, 장거리 승객들이 좀 줄어들었다. 대신, 경산시내에서 시지 안동네, 대구스타디움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라 이 구간 내를 오가는 수요도 은근히 꽤 있다. 여기에는 시경계를 넘는 통학 수요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 노선 변경 계획 그리고 수 많은 중복 노선
대구광역시 제2차 대중교통계획에 의하면 449번649번을 통합하여 새로운 노선으로 개통하려고 했다. 이들의 경산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609번을 1대 증차해서 영대에서 금구리까지 연장하려고 했다.[25] 2012년 10월 개편과 2015년 개편 초안에 909번을 통합하려던 계획도 있었다. 이 때 계획이 금구리 ~ 영남대 ~ (609번 구간) ~ 만촌네거리 ~ (909번 구간) ~ 한일극장 ~ 동산병원 ~ 남산초교 ~ (609번 구간)으로 운행 계획이었다. 다만, 이렇게 운행한다면 기사님들의 피로는 더욱 심해질 것이었다.
  • 인가 대수 및 기타 특징
현재까지 이 노선의 운행대수는 무려 19대나 감차되었다. 물론 2008년 1대, 2009년 14대 감차는 인가대수가 여유 있었기 때문에 보통 수준으로 돌아갔다. 다만,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시행한 감차가 문제다. 지금은 수요가 점점 늘어나는것을 감안해서 증차를 해주는게 맞다.[26]
가스 충전은 신천동CNG충전소와[27] 신흥버스 차고지에서 한다.[28] 장기정차지가 영남대동문인지라 주로 신천동CNG충전소를 이용한다.
706번과 함께 서부정류장에서 문화예술회관으로 갈 때 한영한마음아동병원, 서부정류장 정류소에 모두 정차한다.[29] 한때, 한영한마음아동병원(당시에는 구. 달성군청) 정류소만 정차하였다. 그러다가 월성동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두 정거장 모두 정차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노선번호판을 위아래를 바꿔서 끼워도 노선번호는 똑바로 나온다. 비슷한 노선이었던 906번도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준공영제 이전에는 후면행선판을 위아래를 거꾸로 끼워서 행선판에 세로쓰기로 적힌 기, 종점은 물구나무서기를 하고 있는 중에도 노선번호는 똑바로 적혀 있는 모습이 종종 보였다.
한때는 과속, 난폭운전이 제법 심한 노선이었다. 2006년 준공영제 도입 이후에도 마찬가지였다. 영남대 ~ 반월당을 40분대에 끊기도 했었지만, 2012년에 대구스타디움을 경유하면서 시간표가 널널하게 개정되었는지 과속, 난폭운전은 많이 사라졌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609번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8,769명
8,509명
8,980명
8,692명
7,705명
8,019명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1] 대명교통 2대 / 한일운수 19대[2] 토요일은 17대, 공휴일은 16대로 운행[3] 영남대 방면은 대천동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고 대천동 방면은 대천교에서 종료.[4] 경산 시민들, 특히 영남대학교 인근 주민들이 말하는 75번 종점영남대학교 정문을 조금 지나서 있는 삼천리버스 차고지 겸 조영동 종점을 말한다. 2012년에 내당네거리 분리 노선까지 사라져서 75번의 흔적이 완전히 사라진 뒤에도 여전히 옛 번호를 따서 75번 종점이라고 부르고 있다. 1998년 개편 이전에 일반버스 1번이 현재 909번인데 909번의 종점인 압량면 금구리 종점을 아직도 1번 종점이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다.[5] 당시 609번은 대건중고교로 들어가지 않았다. 올림픽기념관에서 달서구청을 거쳐 월성주공2단지 옆 도로에서 대기했다가, 다시 출발해 월성2동주민센터를 경유해서 올림픽기념관으로 나왔다. 즉, 편도운행 구간이 있었다.[6] 이 노선 역시 편도운행 구간이 존재했다. 대건중고교 방향으로 운행할 때에는 송현여자중고교에서 효성초교, 월촌역, 상인역을 경유했다. 영대 방향으로 운행할 때에는 대건중고교 종점에서 출발하여 월성2동주민센터, 달서구청, 보성은하타운, 달서공고를 경유해 송현여자중고교로 갔다. 당시에는 상인네거리에서 월촌역 방향으로 좌회전이 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편도운행을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 이후에 대건중고교 종점을 출발하여 월성2동주민센터에서 달서구청으로 나가는 구간은 직선화됐다.[7] 자인행은 경산오거리까지 본선과 노선이 동일했다. 경산시청~삼풍동~자인정류장으로 2대가 운행했다. 현재 990번인 99번 노선과 경산오거리에서 경산시청~삼풍동~대구미래대학입구~자인정류장 구간이 완전히 동일했다.[8] 노후 하수관 교체 공사 때문에 대구공업대학 앞쪽이 전면 통제되었다.[9] 1998년 개편이나 2006년 개편이 아닌 때에 형간 전환한 노선은 609번과 더불어서 극히 드물다.[10] 609번의 배차 간격은 9분, 906번은 배차 간격이 13분이었다. 906번은 2001년 이전에는 노선이 단순한 편이라서 승객이 많았다. 다만, 609번이 일반버스로 형간 전환되고 나서는 승객이 많이 줄어든 듯했다.[11] 당시 609번은 무려 인가대수 37+4대, 배차간격 5분으로 빗자루질하는 노선이 되었다. RH 시간에도 2대가 한꺼번에 들어오는 경우가 허다했다. 심지어 RH 시간대가 아니면 3대까지도 같이 들어오는 경우가 허다했다.[12] 1998년 개편 이후 2006년 개편 전까지 노선번호를 일반버스는 푸른색으로 좌석버스는 붉은색으로 적었다. 609번은 2006년 전까지도 측면 행선판 번호가 붉은색으로 적혀 있었다. 이는 아직도 구. 행선판을 사용하는 일부 예비차에서 볼 수 있다.[13] 본선과 달리 서문시장을 경유하였다.[14] 남천행은 구남보건고 방면만 운행했다. 우주교통 2대, 한일운수 2대 운행했다. 남천 노선은 원리~백천동~경산시장~(이후 609번 본선과 동일) 방면으로 하루 14회 운행하였다. 경산시장까지는 영남대학교 방면과 동일하였지만, 경산시장 이후로는 경산오거리부터 방향이 완전히 달랐다. 경산오거리에서 영대행 609번은 중방네거리 방면으로 좌회전, 남천행 609번은 백천동으로 우회전했다. 그러므로 경산 쪽에서 무심코 609번을 탔다가 '남천' 행선표를 보지 못하고 잘못 탄 승객이 '왜 영대 안 가고 다른 방향으로 가느냐'라며 항의하다 중간에 내리는 일도 꽤 자주 있었다. 또한, 영대행 609번은 신남네거리에서 바로 반월당 방향으로 우회전하였다. 이에 반해 남천행 609번은 서문시장으로 직진하는 걸 보고 '내가 차를 잘못 탔나'하면서 혼란스러워하는 승객들의 모습도 자주 보였다.[15] 경산시에서는 자기들이랑 협의 없이 대구광역시에서 임의로 노선을 조정했다고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다만, 아무 문제 없이 다녔던 걸 보면, 경산시가 소송에서 이기지 못한 듯하다.[16] 대구공업대학교 ~ 송현2동주민센터 ~ 송현여중고 ~ 송현초교 ~ 경북기계공고 ~ 롯데백화점상인점 ~ 영남고교 ~ 송일초교[17] 송현초에서 경북기계공고로 우회전하는 구간에서 민원이 있었다. 롯데백화점상인점에서 영남중고고로 우회전하는 구간이 사라졌기 때문이었다. 송현초교 구간으로는 653번이 있지만, 653번은 송현초등학교에서 달서공고로 우회전하였다. 즉, 송현초교 구간 이후로는 완전히 다른 노선이었다.[18] 356번에 2대, 706번에 4대, 달서1번에 4대가 이동하였다.[19] 신설된 303(-1)번에 투입되었다.[20] 2012년 9월 19일 2호선 경산 연장 구간이 개통되면서 2호선449번, 649번으로 이동하였다.[21] 이 때 개편으로 급행4번을 신설하였다. 이 때 세한여객527번에서 4대를 급행4번에 투입했다. 이를 메꾸기 위해 우주교통이 609번에서 4대를 빼내 527번에 투입하였다. 또한, 한일운수에서 303번, 303-1번 차량 1대씩 609번에 투입하였다.[22] 출퇴근 시간에는 당연히 가축수송, 심지어 주말에도 만석 이거나 가축수송을 자랑한다.[23] 808번은 구남보건고 방향 한정으로 편도 운행한다.[24] 달서4(-1)번이 들어오기 전에는 조암로 구간을 혼자 책임졌다.[25] 다만, 금구리 구간은 840번, 909번 등 수많은 중복노선이 있다. 즉, 609번이 정평동 직선화 변경으로 하지 않는 이상 의미 없다.[26] 특히 대천동공영차고지 - 만촌네거리(만촌역) 구간이다.[27]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이 아닌, 경상북도 경산시 원효로 456(신천동 73) 소재. 대구한의대학교 입구 삼거리와 경산버스 차고지(당리리) 사이에 있다.[28] 예전에는 승객이 없다 싶으면 중간에 이마트월배점 쯤에서 끊고 대곡동공영차고지에 가서 충전했다. 다만, 대곡동공영차고지가 현재 극심한 포화 상태가 되어 대천동공영차고지로 가는 노선들은 대천교를 거쳐 성서산단의 신흥버스 차고지에서 충전한다. 그래도 못 버티는지, 356번은 조야동에서 신천대로를 통해 상리동CNG충전소에서 충전한다.[29] 이들을 빼고 한영한마음아동병원 정류소에 정차하는 노선들은 문화예술회관 방면 한정으로 모두 서부정류장 정류소를 무정차 통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