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大邱農業마이스터高等學校
Daegu Agricultural Meister High School
'''

'''개교'''
<colbgcolor=white,#191919> 1910년 3월[1]
'''유형'''
마이스터고등학교
'''성별'''
남녀공학
'''형태'''
공립
'''교장'''
김태헌
'''교감'''
윤철수
'''교훈'''
높은뜻 바른길
'''교화'''
개나리
'''교목'''
느티무
'''학생 수'''
345명
(2020년)
'''교직원 수'''
55명
(2020년)
'''관할 교육청'''
대구광역시교육청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3170(노변동)
'''홈페이지'''

1. 개요
2. 학교 역사
2.1. 연혁
3. 설치 학과
3.1. 이전 학과
4. 운동부
5. 여담
6. 출신 인물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
7.2. 지하철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수성구 노변동에 위치한 공립고등학교로 1910년 개교하였다. 이름 보고 낚이는 사람이 많은데 일반인이 말하는 그 자연과학(Natural Science)을 심도 있게 가르치는 학교라기 보다는 농학(Agriculture)을 심도있게 가르치는 학교이다. 대학으로 따지면 농과대학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는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로 교명이 변경됨에 따라 학교 이름과 가르치는 종목이 일치하게 되었다.

2. 학교 역사


개교 당시 농업과, 임업과로 이루어진 2년제의 본과와 1년제의 속성과를 두었으며, 본과 50명과 속성과 30명 모집에 590명이 지원하여 치열한 경쟁을 보였다.
1910년 11월 대구공립농업학교로 개칭하였으며, 1912년 속성과는 2회에 60명이 수료한 다음 폐과되고, 같은 해 3월 최초로 본과 26명이 졸업하였다.
1911년 10월 이후 교과목은 인문 교과로는 수신·국어·일본어·한문·수학·이과·도화·체조를, 실업 교과로는 보통작물·원예·채소·과수·축산·임업·토양·비료·측량·양잠·농업실습·농업경제·농산제조·동물·식물·광물 등을 주로 가르쳤다.
교육과정의 특성은 실습에 치중했으며, 1918년 3월 별과(別科)를 부설하였다.
1919년부터 수업연한을 3년으로 연장하고 별과는 격년으로 모집하였으며, 1923년 4월 신천동으로 이전하였다.
1924년 수업연한을 5년으로 연장하였으며, 1928년 4월 대구공립농림학교로 교명을 개칭하고 농업과와 임업과를 설치하였다.
1941년 3월 수의축산과를 신설하고 15학급으로 증설하였으며, 1944년에는 다시 4년제로 변경하였다.
광복 후 초대 교장에 오장수(吳章洙)가 취임하였으며, 교훈을 ‘꿋꿋하고 순직하자. 힘써 일하는 사람이 되자. 서로 믿고 도와 한 힘이 되자’로 정하였다가 2001년 10월 ‘높은 뜻 바른 길’로 개정되었다.
1946년 6년제 대구농림중학교, 1951년 6월 3년제 대구농림고등학교로 개편하고, 1955년 5월 수성동으로 이전하였다.
1960년 24학급의 대구동중학교(大邱東中學校)를 병설하였다가 1970년에 분리하였다.
1961년 3월 농업과·임업과·축산과·원예과의 21학급으로 증설하고, 1981년 3월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1981년 노변동으로 이전 하였다.
1999년 11월 특수학급 1학급이 증설되었으며, 2000년 3월에 대구자연과학고등학교로 교명을 개칭하면서 농업기계과가 폐지되고 산업기계과가 인가되었다.
2004년 제42회 대통령기 전국 정구대회 단체전 우승을 하였고, 2006년에 특성화학과가 개편되면서 8학급에서 9학급으로 개편 원예과를 응용화훼과(2학급), 식품가공과를 바이오 식품과(2학급), 조경과에서 생태조경과(2학급), 신설학과(생물과학과-1학급)으로 개편되어 9학급으로 조정되었다.
2008년에는 학교평가에서 종합우수상 및 교육과정 우수상을 획득하였고, ‘생명의 숲 가꾸기’사업 대상학교로 선정되었다. 또한 12월에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로 선정되었다.
2010년 1월 개교 100주년 교기 게양식을 가졌다.
2017년도 도시농업분야 마이스터고등학교로 개교했으며, 교명도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로 변경되었다.

2.1. 연혁


  • 1910-03-14 : 대구공립농림학교 설립 허가
  • 1910-03-27 : 별과 부설을 인가 받음
  • 1910-05-10 : 개교
  • 1910-07-04 : 학칙 제정(본과 2년, 속성 2년)
  • 1910-10-04 : 신축교사 이전(현 경북사대 부속고등학교 자리)
  • 1910-11-01 : 대구공립농업학교로 개칭
  • 1919-04-08 : 학칙 개정(수학년한 3개 년, 별과생 격년 모집)
  • 1923-04-17 : 교사 이전(현 코오롱 APT 단지)
  • 1924-03-28 : 학칙 개정(수학년한 5개 년)
  • 1928-04-01 : 대구공립농림학교로 개칭, 농업과와 임업과 구별키로 함
  • 1941-03-22 : 15학급으로 증설 인가, 수의축산과 설치
  • 1944-08-19 : 학칙 개정(수학년한 4개 년)
  • 1946-01-07 : 학칙 개정(수학년한 6년)
  • 1946-10-18 : 대구농림중학교로 개칭
  • 1951-06-01 : 대구농림고등학교로 개칭. 수학년한 3년, 농업과, 임업과, 축산과로 함
  • 1955-05-09 : 교사 이전(현 대구광역시 교육청 위치)
  • 1960-02-18 : 대구동중학교(병설중학교) 설립 인가(24학급)
  • 1961-03-25 : 농업과 6, 임업과 6, 축산과 6, 원예과 3, 계 21학급을 둠
  • 1960-02-28 : 2·28 대구 학생의거
  • 1967-11-27 : 농산제조과, 농업기계과, 농업토목과 각 한 학급씩 증설, 농업과, 임업과, 축산과 등은 한 개 학급씩으로 변경
  • 1970-03-01 : 대구동중학교 분리
  • 1972-12-12 : 농촌지도과 및 잠업과 폐과, 농․임․축․원․제조․토목․농기계 7개과로 하고, 학생 총원 1,260명으로 함
  • 1980-11-10 : 농업과 6, 임업과 3, 축산과 6, 원예과 6, 농업기계과 4, 총 24학급
  • 1981-03-01 : 교사 이전(현 수성구 노변동 100)
  • 1982-10-12 : 남녀공학 승인
  • 1983-07-30 : 강당 준공(655평)
  • 1997-09-28 : 본관 서편 교사 증축 공사(1,648㎡) 완공
  • 1997-12-30 : 실험실습실 및 특별교실 8실 완공 (1,684㎡)
  • 2000-03-01 : 대구자연과학고등학교로 교명 개칭. 농업기계과 폐과, 산업기계과 인가
  • 2001-10-08 : 교훈개정(높은 뜻 바른 길)
  • 2002-10-05 : 자연관찰학습원 12,560㎡(3,801평) 조성
  • 2002-10-07 : 교훈비 건립
  • 2003-08-29 : 수목관찰학습장(8,905㎡, 수목 110종, 암석 20종) 개장
  • 2004-06-20 : 제42회 대통령기 전국 정구대회 단체전 우승
  • 2006-03-01 : 특성화학과 학과 개편 (총8학급→9학급) ·원예과→응용화훼과 (2학급) ·식품가공과→ 바이오식품과 (2학급) ·조경과→생태조경과 (2학급) ·학과신설: 생물과학과 (1학급)
  • 2007-02-18 : 실습동 신축(3층 6실), 본관동 교실 재배치 공사 완공(총 공사비 24억원)
  • 2009-09-06 : 학교운동장 생활체육시설(우레탄 트랙, 인조잔디축구장) 완공(448,516천원)
  • 2010-01-04 : 개교 100주년 교기 게양식
  • 2012-03-27 : 특성화학과 변경(2013학년도 시행) 산업기계과 → 생물산업기계과 농업유통정보과 → 식품유통관리과
  • 2013-10-24 : 제94회 전국체육대회(정구) 단체전 은메달 수상
  • 2015-11-23 :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마이스터고) 지정
  • 2017-03-01 : 대구농업마이스터고 개교
  • 2018-03-02 : 첨단유리온실(5실)준공
  • 2019-01-10 : 제106회졸업식(255명)(졸업생누계 25,649명)
  • 2019-03-04 : 제 109회 입학식(123명)

3. 설치 학과


  • ICT첨단시설채소과
  • ICT첨단시설특작과
  • 신수종과수경영과
  • 도시조경과

3.1. 이전 학과


마이스터고 지정 전 2016학년도 입학생 까지의 학과
  • 생물과학과
  • 바이오식품과
  • 생물산업기계과
  • 생태조경과
  • 응용화훼과
  • 식품유통관리과

4. 운동부


  • 정구부

5. 여담


  • 대구농업고등학교 시절에는 줄여서 '대구농고'라고 불렸고, 대구자연과학고등학교로 개명한 뒤에는 '대자고'라고 부른다. 후에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로 개명하여 '농마고'라고 불리고 있다. 이 약칭으로 나이대를 알 수 있는데, '대구농고'라고 부르는건 대부분 2010년대 후반 기준 30대 이상이고[2] '대자고'라고 부르는건 90년대생, '농마고'로 부르는건 2000년대 초반생 이후.
  • 학교 부지가 고등학교 치고는 대단히 넓은 편이다. 원래는 지금보다도 더 큰 학교인데, 과거에 비해 규모가 대단히 많이 줄어 들었음에도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부지가 넓은 고등학교이며 도보 기준으로 정문에서 후문까지 가는데 약 15분은 걸린다. 어지간한 대학캠퍼스보다 약간 작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FFK나 도시농업박람회 같은 행사를 학교에서 하는 경우가 많다.
  • 학교 부지가 넓기 때문에 학교 부지에 들어와도 학교 건물까지 가는 데 시간이 꽤 걸린다. 특히 정문으로 등교한다면 걸어서 10분 이상 가야한다. 후문 쪽이 건물과 가까우므로 혹시 건물 쪽으로 볼 일이 생긴다면 후문 쪽으로 들어가도록 하자.
  • 벚꽃철 학교 풍경이 그야 말로 장관이다. 정문부터 쭉 이어져 있는 벚꽃길은 일본 청춘 드라마의 배경 실사판 수준. 이 때문에 벚꽃철 주말만 되면 시지지구 사람들이 벚꽃 보러 대구농고로 오는 경우가 꽤 있다. 이는 2000년대들어 학교 시설 정비에 공을 쏟은 결과물이다. 과거에는 숲이 우거지고 들개들이 뛰어 다녀 출입하기 좀 무서운 학교였다. 지금과 같이 아름다운 교정을 갖추기까지는 엄청난 재정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 학교 내에 환경과 관련된 여러 체험과 관람을 할 수 있는 녹색학습원이 위치한다. 이로 인해 근처의 초등학교에서 걸어서 현장체험학습을 많이온다. 가을 정도 되면 체육복을 입은 초딩들이 녹색학습원 앞에서 도시락을 먹는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 과거에는 교내 과수원의 규모도 상당했고, 축산시설에서 젖소, 양도 키웠지만 이제는 추억이 되어 버렸다.
  • 대구라는 도시가 커지면서 외곽으로 외곽으로 이전한 학교이다. 대구농업고등학교가 위치한 곳은 모두 땅값이 폭등하는 징크스(?)가 있다. 현재 위치로 오기 이전의 학교 부지는 대구은행 본점, 대구교육청, 대구동중학교가 있던 자리. 경산시 고산면이 대구직할시로 편입되고 교사를 이전했는데, 이곳도 시지지구로 개발되면서 땅값이 폭등했다. 현 위치에서도 이전 내지, 부지를 대폭 줄여 부동산 개발하겠다는 시도가 계속되었지만 아직까지는 잘 방어해내고 있다. 사실 지금 규모도 대단히 축소된 것으로 90년대 시지지구 개발과 월드컵대로를 건설하면서 뭉텅 날아갔고, 2000년대 들어 청림초등학교(개교 당시 동노변초등학교)에 부지를 내주면서 또 뭉텅 잘리게 된다. 지금의 자연학습원과 논부지도 영어마을과 아파트단지로 개발하려다 막힌 상태. 워낙 개발가치가 높은 위치인 때문인지 높으신 분들이 가만두지 않는 모양이다. 시지지구의 핵심 부위인 신매역 남서쪽 부분인 곳이 전부 학교의 농경지로 이용이 되고 있으니, 부동산 업계 등에서 가만히 놔두지 않는 건 당연한 일일지도.

6. 출신 인물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



7.2. 지하철



[1] 마이스터고교 지정일은 2017년 3월[2] 70~80년대 생이라면 대구자연과학고등학교라는 이름이 과거 대구농업고등학교에 대한 비하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을 기억해서인지 대구자연과학고등학교라고 부르기 불편해하는 사람도 가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