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509

 




[image]
[image]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차량
'''경산시 시내버스''' 차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image]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09번(소라아파트)
[image] 경산시 간선버스 509번(소라아파트)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종점
경상북도 경산시 사동(소라아파트)
종점행
첫차
'''[평일]''' 05:35 / '''[토요일, 휴일]''' 05:30
기점행
첫차
'''[평일]''' 05:40 / '''[토요일]''' 05:42 / '''[휴일]''' 05:43
막차
'''[평일]''' 22:07 / '''[토요일]''' 22:13 / '''[휴일]''' 21:54
막차
'''[평일, 토요일]''' 22:13 / '''[휴일]''' 22:09
평일배차
24분(통합 11분)
주말배차
28분(통합 14분)
운수사명
경산버스
경신교통
삼천리버스
인가대수
통합 24대(경산 5, 경신 7, 삼천리 12)[A]
노선
(주요경유지)
방천리공영차고지 - 계명문화대 - 신당동 행정복지센터 - 이곡장미공원 - 용산역 - 두류역(달성고교) - 대명시장 - 명덕네거리 - 대백프라자 - 수성시장네거리 - 수성구청 - 대공원역 - 사월역 - '''정평역 - 경산터미널 - 경산시청별관 - 소라아파트'''
[image]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09번(영남대)
[image] 경산시 간선버스 509번(영남대)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종점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신대리(영남대동문)
종점행
첫차
'''[평일]''' 05:45 / '''[토요일]''' 05:40 / '''[휴일]''' 05:38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평일]''' 22:17 / '''[토요일]''' 22:01 / '''[휴일]''' 22:08
막차
'''[평일]''' 22:22 / '''[토요일]''' 22:00 / '''[휴일]''' 22:23
평일배차
23분(통합 11분)
주말배차
31분(통합 14분)
운수사명
경산버스
경신교통
삼천리버스
인가대수
통합 24대(경산 5, 경신 7, 삼천리 12)[A]
노선
(주요경유지)
방천리공영차고지 - 계명문화대 - 신당동 행정복지센터 - 이곡장미공원 - 용산역 - 두류역(달성고교) - 대명시장 - 명덕네거리 - 대백프라자 - 수성시장네거리 - 수성구청 - 대공원역 - 사월역 - '''경산시장 - 경산터미널 - 영남대 - 영남대동문'''
'''중간 출발 정류소'''
'''방천리''' 방향 (소라아파트 출발)
구.남부정류장, 사월역
'''방천리''' 방향 (영남대 출발)
구.남부정류장평일, 토요일, 사월역
'''소라아파트''' 방향
한가람타운토요일, 현대해상평일, , 용산역토요일, , 한국방송통신대학교평일, 공휴일
'''영남대''' 방향
한가람타운평일, 현대해상토요일, 공휴일, 용산역평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토요일
'''중간 종료 정류소'''
'''방천리''' 방향 (소라아파트 출발)
다사농협주유소토요일, 용산역평일, 공휴일
'''방천리''' 방향 (영남대 출발)
다사농협주유소공휴일, 용산역토요일, 구병원평일
'''소라아파트''' 방향
이마트경산점토요일[1], 구.남부정류장평일, 공휴일
'''영남대''' 방향
이마트경산점평일, 공휴일, 구.남부정류장평일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공영차고지(5)에서 남구 대명2동 명덕네거리(0)을 거쳐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면 영남대동문(9) 및 경산시 사동 소라아파트(9)까지 운행하는 삼천리버스, 경신교통 소속으로 경산버스공동 배차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 거리는 65.3(소라아파트)/69.9(영남대)km.
전체 정류장 목록(소라아파트, 영남대학교), 노선도

3. 역사


  • 현재의 509번은 1998년 5월 5일 개편과 2009년 1월 17일 개편을 통해 옛 좌석버스 노선인 509번(구 305번)과 549번(구 355번)을 통합한 노선이다.
  • 1988년에 신설된 305번과 355번, 두 좌석버스가 이 노선의 전신이다.
  • 509번은 1998년 개편 전에는 305번 좌석버스였다. 당시에는 계명대학교정문~성서네거리~용산네거리~죽전네거리~감삼네거리~두류네거리~반고개네거리~반월당~범어네거리~남부정류장 구간을 운행했다. 1988년 좌석버스 첫 신설 당시에는 좌석버스 중 가장 첫 번호였다.[2]
  • 1998년 5월 개편을 앞두고 549번은 현재 509번처럼 계명대학교정문을 가지 않고, 영남우방타운에서 직진하여 성서고교를 거쳐 다사읍 방천리로 종점을 이전했다.
  • 1998년 5월 5일 노선 개편으로 509번, 549번으로 변경되었다. 509번은 보람타운에서 성서초교, 계대정문 구간 대신 549번이 다니던 성서고교, 신당동주민센터, 계명문화대, 서재리 구간을 인계받아 다사읍 방천리로 종점을 이전했다. 경산버스가 독점하던 계양주공아파트행 분리 노선도 드디어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가 참여하게 되었다. 549번은 방천리 구간을 509번에 넘기고, 성서아파트단지를 거쳐 계명대학교정문으로 기점을 변경하였다.
  • 1999년 509번의 경산 구간이 변경되었다. 영남대행 버스가 경산시장을 경유하고, 계양주공아파트행 버스가 정평동을 경유하는 X자형 노선이 되었다.[3] 1998년 개편 당시에는 지금과는 달리 영대행 버스가 정평동을 경유하고 계양주공아파트행 버스가 경산버스의 100번처럼 경산시장을 경유하여 직선 운행했다. 그러니까 한 마디로 영남대학교행의 경우 현재 대구 도시철도 2호선같이 달구벌대로를 타고 직진만 하는 노선이었다.
  • 2000년 말 대구광역시에 대경교통카드가 도입되었는데, 문제는 경산버스는 일찌감치 대경교통카드를 받아들인 코리아와이드 대화와 달리 다른 방식을 사용했기에 마찰이 생겼다. 정확히는 대구광역시는 부산광역시와 동일한 하나로카드 방식, 즉 대경교통카드를 사용했지만 경산시는 당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가 사용하던 마이비를 채택하여 신나리카드를 사용했기 때문이었다.[4]
  • 2001년에 549번의 기점이 계명대학교동문으로 단축되었다.
  • 2004년 8월 1일 경산버스는 509번, 840번, 890번[5]의 공동 배차를 파기하고, 공동 배차하던 509번 6대를 빼내 509번과 유사한 500번 노선을 만들어 운행하는 막장 드라마를 시연했다. 전술했던 교통카드 관련 마찰이 최고조화되었기 때문이었다. 500번은 509번과 구간이 거의 같았지만, 방천리 대신 계명대학교동문이 시종점이었으며, 신당네거리까지 달구벌대로를 쭉 따라 갔다. 결정적인 차이는 1/2로 운행하던 영대, 계양동 구간을 영대로 일괄 통합 운행했다. 다만 500번은 800번의 경우처럼 배차간격이 들쑥날쑥했으며,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된 후 509번보다 타격을 더 크게 받았다. 그래서 2005년 500번이 옥산네거리~경산역~경산시장~경산네거리~영대 구간을 버리고 옥산네거리에서 상대적으로 버스편이 적은 백천동 구간을 운행하기도 했다.[6]
  • 509번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워낙 많은 구간이 중복되고 2호선 개통 후 공기수송이라 2006년 개편 때 살아남을 수 있을지 의문이었다. 다만 경산시와 협의가 안 되면서 의외로 살아남았다. 또한 동시기에 폐선된 549번과의 노선 통합도 늦춰지게 되었다.
  • 2006년 10월 일반-좌석 통합요금제를 실시하면서 일반버스로 형간 전환된 후에는 승객이 늘어났다. 비슷한 구간을 운행하던 일반버스들이 폐선되어 담당하던 구간 수요를 어느 정도 흡수하고 지하철이 닿지 않는 경산이나 성서권(이곡역 이북의 이곡2동, 신당동, 용산2동 구간) 일부 지역에서 시내로 환승 없이 갈 수 있다는 메리트 때문인 듯하다. 또한 경산 노선 중 대구 시내버스와 공배하는 노선에 한해 무료 환승제를 시행하면서 509번, 708번, 814번, 840번 경산시 면허 소속 차량에도 무료환승이 도입되었다.
  • 2013년 5월 방천리공영차고지가 완공되면서 6월 5일 시종점이 방천리환경자원사업소에서 경신교통이 있는 방천리공영차고지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경신교통이 2006년 개편이후 처음으로 경산행 노선을 배정 받았다.
  •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방천리공영차고지에서 승하차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우진교통이 철수하고 방천리공영차고지에 본진이 있는 경신교통이 참여한다. 우진교통과 경신교통은 527번과 509번을 맞바꾼 셈이다.
  • 2017년 7월 20일부터는 그동안 무정차 통과했던 여성메디파크병원 정류장에 정차하게 됐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으로 경신교통에서 1대가 빠지고 삼천리버스 소속 1대가 추가되었다.
  • 2019년 12월 9일 개편으로 조영동 회차지가 폐쇄됨에 따라 영남대까지 단축되었다. 영남대 정문 종점과 회차지인 갑제동(영남대 동문) 사이는 공차회송했다.
  • 2020년 2월 15일 개편으로 갑제동 회차지까지 노선이 연장되어 공차회송 구간이었던 영남대 정문 ~ 영남대 동문 구간도 승하차를 받는다. 이 때 경산버스에서는 509번 순환배차[8]를 요구하였다. 다만, 협의가 안 되었는지 지금도 고정순번을 두고 운행한다.
  • 2020년 10월 17일 개편으로 경신교통에서 1대가 또 빠지고 삼천리버스 소속 차량 1대가 추가되었다.

4. 특징


  • 2015년 개편 때 400(-1)번달서2번의 폐지로 인해, 대명시장 및 계명네거리(명덕로)에서 반고개로 올라가는 유일한 노선으로 남게 됐다.[9]
  • 명덕로에서 유일하게 경산시로 가는 노선이다.[10]
  • 사동 소라아파트에서 출발하는 사동발 첫차는 경산시 시내버스100번의 구간 첫차가 출발하는 아침 6시 10분보다 30분 이른 아침 5시 40분에 출발하는데, 이 시간대에 이 부근에서 경산역 방면으로의 차가 전혀 없는 것을 감안한 것인지는 몰라도 경산터미널 건너편에서 609번, 840번, 909번 등의 첫차나 둘째차와 환승 연계가 아주 절묘하게 되어 있다. 대신 시내로 가려면 경산터미널에서 내린 후 터미널을 건너가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거나, 아니면 경산터미널 대신 정평역에서 2호선을 이용할 수 있다.
  • 제2차 대구광역시 대중교통기본계획에 의하면 2012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연장 구간 개통 후 경산역, 경산시장을 경유하여 사동 구간으로 분리 구간을 통합한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방천리공영차고지 ~ 사동(소라아파트) 노선이 되는 것인데, 현재 보면 분리 노선 통합이 필요하다. 정확히는 정평역을 경유하여 소라아파트 방면으로 통합시키는 게 좋은 방책이다. 정평역으로 돌리는 게 좋은 이유는 사동에 939번이 있지만 939번을 타고 사동에서 백천, 옥곡, 옥산지구를 거쳐 대공원역에서 2호선으로 환승하느니 509번을 타고 경산오거리를 경유, 정평역으로 가서 환승하는 게 거리상으로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평동에는 시내버스편이 적고 사동행은 사동, 계양동 일대에서 경산오거리를 거쳐 정평동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계양동에서 경산시장으로 가는 버스는 100번399번이 있어서다. 더구나 정평동~사동 노선은 현재 509번 분리 구간 외에는 없으나, 중산삼거리~옥산네거리~경산역~경산시장~경산네거리~영대 구간은 중복 노선이 상당히 많다. 그래서 현재 영대 분리 노선은 중복 노선도 많고 이용객도 적어서 비효율적인데, 사동으로 통합하게 되면 회차지 문제[11]와 상술한 이유 때문에 사동 연장이 확실한데 사동까지 연장되면 경산 100번와 필연적으로 경쟁하게 되고 수요를 깎아먹을까봐 공배하는 경산버스 측에서 팀킬을 우려해 반대하는 모양이다. 실제로 509번 사동 노선과 경산 100번범어역(그랜드호텔) ~ 소라아파트 구간이 대부분 중복된다. 그나마 중복되지 않는 구간이 중산삼거리~경산오거리 구간으로 경산 100번은 중산삼거리에서 경산역~경산시장~경산오거리로 들어가고 509번 사동 노선은 중산삼거리에서 정평역으로 직진해서 경산네거리~중방네거리~경산오거리로 들어간다.
  • 하지만 계획과 달리 아직까지 분리 노선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래서 조속히 사동(소라아파트) 방면으로 통합되어야 할 노선이다.[12]
  • 성서권 대부분 중고등학교[13]스쿨버스 역활을 한다.
  • RH 때 7시 20분~7시 40분에는 와룡고등학교 학생 수요로 서재리에서 대부분 만차가 되며, 와룡건영캐스빌건너 정류장에서 초가축수송이 시작된다. 한화꿈에그린앞[14]~신당동주민센터앞 정류장[15][16]을 무정차 통과하는 경우가 매우 잦다. 특히 신당동주민센터앞 정류장에서 탈 생각 하지 마라. 다만 방학 기간에는 학생 수요가 비교적 적어서 여유가 있다.
  • 차량의 경우 경산버스는 2003년에 경북 업체로는 처음으로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하여 509번을 시작으로 투입했으나, 2012년에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 및 천연가스 차량을 처음 도입하면서 이 노선에 뉴슈퍼 디젤 차량 5대와 BS106 디젤차량 1대를 투입했다. 하지만 대구광역시청에서 환경 문제 등으로 인해 천연가스버스를 넣으라고 공문을 통해 압력을 넣어 다시 천연가스버스를 투입 중이다.[17] 2009년 1월 개편으로 경산버스대구광역시 남구를 처음으로 경유하게 되었다.
  • 저상버스의 경우 경산버스는 2014년 8월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버스 2대를 출고하여 509번에 투입했다. 자동변속기는 당연히 ZF 에코라이프. 당시 이용 중이던 계양동 회차지가 굉장히 좁은 관계로, 경산버스의 저상은 모두 영대행 고정이었다. 2015년 8월 개편으로 삼천리버스도 에코라이프 저상버스를 3대 투입했는데, 영대행에만 투입하는 경산버스와 달리 사동행에도 투입했다. 소라아파트가 옛 계양동 회차지보다 회차 여건이 더 좋고 삼풍동 ~ 계양동 사이의 오르막길이 문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동행에도 넣는 것으로 보였으나, 역시나 계양동 오르막길 때문에 2015년 9월에 각각 309번349번으로 이동되었다. 그리고 2016년 6월에는 경산버스도 저상버스를 모두 990번에 이동했다. 이유는 주말휴일 다이어의 꼬임 문제 때문. 이후에는 저상버스가 다니지 않았다가 2017년 2월부터 삼천리버스에서 저상버스를 다시 투입했다.
  • 방천리공영차고지로 한 정거장 연장했는데도 509번 노선 변경 안내표가 정류장에 부착되었다.[18] 왜냐 하면 방천리공영차고지 차량 출입로를 정면으로 보았을 때 기준으로 좌측에 정류장 폴대가 설치됐기 때문이다.
  •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우진교통경신교통이 맞바꾼 이후 왜인지 배차가 많이 불안정하다. 회사를 가리지 않고 배차가 지켜지지 않고 운행 속도도 급한 편이다. 남산역, 대명동계대에서 밤 10시 30분 즈음에 경신교통 차량이 붙어다니는 모습이 꽤 보인다. 분리 노선도 있고 원래 경산버스 때문에 배차가 불안정한 노선이었던지라 더더욱.
  • 2015년 노선 개편 후 2호선과 중복도가 높은 노선들과 402번이 폐지되면서, 그 노선들의 승객이 509번으로 넘어와 수요가 매우 증가했다.[19] 이로 인해 하차 단말기 2대가 설치되었다.(경산버스 제외)
  •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원정경기를 보러 오는 원정 팬들이 경산역을 이용할 때 주의해야 하는 노선이다. 경산역에서 라팍으로 갈 때는 그냥 오는 509번을 타면 되지만, 라팍에서 경산역으로 갈 때는 반드시 '영남대 방면' 509번 버스를 타야 한다. 다른 노선(309, 609, 840, 909, 100, 399, 990)들은 양방향 모두 이용 가능.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09번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12,081명
11,729명
12,953명
12,175명
10,747명

5. 연계 철도역


  • [image]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명덕역
  • [image]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이곡역, 용산역, 죽전역, 감삼역, 두류역, 내당역, 반고개역, 범어역, 수성구청역, 만촌역, 담티역, 연호역, 대공원역, 고산역, 신매역, 사월역, 정평역[20], 임당역[A], 영남대역[A]
  • [image]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남산역, 명덕역, 건들바위역, 대봉교역, 수성시장역, 수성구민운동장역[21]
  • 일반 철도역 : 경산역[A](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6. 둘러보기




[A] A B C D E 영남대학교 방면만 연계된다.[1] 경산버스는 "사월 종료"로 행선을 걸고 다닌다.[2] 물론 1998년 개편 전 전체 좌석버스 첫 번호는 301번(현 649번)이었지만 1996년 신설되었다.[3] 따라서 경산네거리와 경산오거리 사이 구간에서는 잘 보고 타야 한다. 경산터미널 에서 사동행을 잡으면 그건 대구 시내로 가고, 영대행을 잡으면 삼천리버스 차고지로 간다. 반대로 경산터미널 건너편에서 영대행을 잡으면 그게 대구 시내로 가고, 사동행을 잡으면 경산시청, 삼풍동, 계양동, 사동으로 간다. 경기도 고양시에서도 비슷한 경우가 있다.(700번, 707번 금계초교 구간 참조)[4] 이 여파로 대구광역시 관내에서도 대경교통카드 충전소 이외에 한때 마이비 충전소가 경산버스가 다니는 중구수성구 쪽으로 몇 곳 있었다. 이후 마이비 충전소가 없어졌다가, 2013년 4월경에 캐시비를 취급하는 가판대가 대구 전역에서 갑자기 증가했다.[5] 890번은 840번 좌석버스의 일반버스 버전이었는데, 적자 노선이라서 2006년 개편 때 840번과 통합했다. 당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일반버스에 한해 시계외요금이 붙었는데, 890번는 일반버스였기 때문에 시계외요금이 붙었다. 더구나 890번은 배차간격이 25~30분으로 길었다. 따라서 890번은 일반버스임에도 시계외요금이 붙어 840번 좌석버스보다 비싸고 거기다 배차간격도 길었기 때문에 경쟁력이 없었으며, 경산시장을 거치는 관계로 당시 중산삼거리(시경계)에서 경일대학교까지 완주하면 무려 시계외요금이 3,500원이었다.[6] 100번의 황금동 구간을 완전히 분리한 100-1번도 이 무렵에 생겼다.[7] 임차한 부지로, 현재 소라아파트 종점도 임차한 주차장 부지다. 2015년 6월 현재 옛 계양동 회차지 자리에는 원룸이 생겼다.[8] 204번, 356번, 623번처럼 고정순번을 두지 않고 운행하는 형태이다.[9] 달서2번의 대체 수단으로 503번, 달서4번 달서4-1번도 있긴 하지만, 다른 점은 503번은 반고개, 대명시장을 아예 안 가고 두류네거리에서 바로 우회전하여 안지랑네거리를 거쳐 현충로역으로 운행하며, 달서4(-1)번 또한 내당 홈플러스에서 반고개가 아닌 이월드 후문, 구남보건고를 거쳐 대명시장으로 운행한다.[10] 518번도 있긴 하지만, 명덕로 구간이 얼마 되지 않고 이쪽은 남경산이 아닌 하양으로 갔다가 단축되고 말았다. 대명시장으로 갔었던 609번은 양지로(삼각지네거리) 구간으로 통합되었다.[11] 이전에 쓰던 계양동 회차지가 워낙 비좁아서 분리 노선이 통합되면 더 들어오기가 불가능했는데, 저상버스도 못 들어간다. 하지만 소라아파트 회차지는 계양동 회차지보다 넓어서 할 만하다. 문제는 삼풍동에서 계양동으로 올라갈 때 계양주공아파트 앞의 험한 길이다.[12] 1991년부터 경산버스가 공동 배차를 요구할 만큼 수요가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대구광역시 측도 협상 의지가 없어서 분리구간이 통합되기는 요원하다.[13] 와룡중학교, 와룡고등학교, 이곡중학교, 성서고등학교, 성지중학교, 성산중학교, 대구전자공업고등학교[14] 대체 노선으로는 523번, 성서3번이 있다. 대백한라무지개타운건너 정류장에서 509번으로 환승하면 된다.[15] 대체 노선으로 성서3번이 있다.[16] 해당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 중 와룡고등학교, 이곡중학교, 성서고등학교 학생들, 직장인들이 이 이유로 지각한다고 카더라.[17] 대구와 공동 배차하는 노선에는 의무적으로 천연가스버스를 넣으라는 것. 818번이나 990번같은 경산시 고유 노선은 여기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디젤차를 넣어도 상관없다. 그래도 대구공배 노선에 디젤이 보인다면, 그건 100% 예비차량이다. 실제로 경산시에서는 경유연료 보조금이 나간다는 이야기가 있다.(디젤 보조금이 최근 문제로 떠오른 그거다)[18] 경산 지역도 마찬가지로 509번 노선 변경 안내표가 부착되어 있다.[19] 402번의 경우 방천리 ~ 비산네거리까지 523번으로 존치되었으나 동산네거리 구간은 나중에서야 분리구간으로 추가됐고 402번의 성서 ~ 명덕로 수요는 노선이 폐지되자마자 중간 경로가 많이 다르긴 하지만 어쨌든 명덕로로 가는 509로 이동했다.[20] 소라아파트 방면만 연계된다.[21] 여성메디파크 하차(서재방면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