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테레사(스페인)

 

[image]
'''이름'''
스페인어
마리아 테레사 데 아우스트리아 이 보르본
(María Teresa de Austria y Borbón)
프랑스어
마리테레즈 도트리슈
(Marie-Thérèse d'Autriche)
'''출생'''
1638년 9월 10일
스페인 엘 에스코리알
'''사망'''
1683년 7월 30일 (44세)
프랑스 왕국 베르사유 궁전
'''배우자'''
루이 14세 (1660년 결혼)
'''자녀'''
루이
안 엘리자베트
마리 안
마리 테레즈
필립 샤를
루이 프랑수아
'''아버지'''
펠리페 4세
'''어머니'''
프랑스엘리자베트
'''오빠'''
발타사르 카를로스
1. 소개
2. 결혼 생활
3. 가족관계
3.1. 사생아(?)


1. 소개


1638년 9월 10일 ~ 1683년 7월 30일
펠리페 4세의 딸이자 루이 14세의 왕비이다. 스페인의 왕 펠리페 4세와 그의 첫번째 부인 프랑스의 공주 엘리자베트 사이에 태어난 6명의 자녀 중 막내이다. 외할아버지는 앙리 4세[1]이고 외할머니는 마리 드 메디시스이다. 어머니 엘리자베트는 제법 미인인데 마리아 테레사는 스페인 왕실 일원들의 외모가 근친혼으로 인해 하도 농축되어 모계 유전자가 발현이 안 된 듯 미모가 떨어진다. 실제로 마리아 테레사는 근친혼의 영향인지 약간 둔했다고 하며, 그녀의 이복형제 중 하나인 카를로스 2세는 근친혼 결과물의 끝판왕이기도 하다.
동복형제 중 살아남은 것은 오빠 발타사르 카를로스 하나뿐이다. 어머니 엘리자베트는 그녀가 겨우 6살 때 사망했다. 이후 동복오빠이자 유일한 후계자인 발타사르도 사촌인 오스트리아의 여대공인 마리아 안나[2]와 결혼을 앞두고 10대의 나이로 급작스럽게 사망하게 된다. 이렇게 되자 아버지 펠리페 4세의 슬하에는 남성 후계자가 없이 마리아 테레사만 남게 된다. 한시라도 빨리 재혼해서 남성 후계자를 낳아야 했던 펠리페 4세는 아들 발타사르와 결혼할 뻔했고 본인의 조카이기도 한 오스트리아의 여대공 마리아 안나(스페인식 이름은 마리아나)와 결혼하게 된다. 마리아 테레사는 자신의 새어머니가 된 사촌 언니와의 나이 차이가 겨우 2살밖에 나지 않았고, 마리아나 또한 어렸기 때문에 의붓딸인 마리아 테레사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 잘 몰랐다고 한다.[3] 스페인 왕실은 살리카법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마리아 테레사는 친오빠가 죽고 이후 새어머니가 이복 남동생 펠리페 프로스페로 왕자를 낳기 전까지 11년간 스페인의 추정 왕위 계승자의 지위를 가졌다. 이후 마리아 테레사는 자신에게 이중으로 사촌이 되는 루이 14세(외삼촌 루이 13세와 고모 안나의 아들)와 1660년 결혼했다.
그러나 비리비리한 스페인의 남성 후계자들 때문에 혹여나 프랑스로 시집간 마리아 테레사에게 스페인의 왕위 계승권이 넘어가 버리고, 이로 인해 프랑스가 스페인을 차지하게 될 지 모른다고 우려한 스페인 왕실 측은 마리아 테레사가 스페인의 계승권을 포기하는 조건으로 엄청난 금액의 지참금을 책정했다. 그런데 당시 스페인 왕실은 재정상태가 좋지 않았던 탓에 이 지참금을 다 지불하지 못했다. 이는 이후 마리아 테레사의 이복 남동생이자 스페인-합스부르크의 마지막 왕 카를로스 2세가 후사없이 죽으면서, 스페인의 공주였던 마리아 테레사의 혈통을 이은 프랑스 부르봉 왕가에서 스페인의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는 명분이 된다.[4] 새어머니이자 사촌 언니인 오스트리아의 마리아나는 마리아 테레사가 13살 때 마르가리타 테레사라는 첫딸을 낳았는데, 마리아 테레사의 이복 여동생이 되는 이 공주는 펠리페 4세가 가장 사랑했다고 알려진 딸이다. 마르가리타 테레사는 화가 디에고 벨라스케스가 그린 그 유명한 라스 메니나스(시녀들)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이후 마르가리타 테레사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레오폴트 1세와 결혼했으나 21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2. 결혼 생활


1661년 왕세자 그랑 도팽 루이를 낳고 그 밖에 2남 3녀를 더 낳았으나, 왕세자를 제외한 나머지는 다 5살이 되기 전에 죽었다. 남편인 루이 14세몽테스팡 후작부인루이즈 드 라 발리에르 등 수많은 애첩들을 거느렸으며, 마리 테레즈는 그저 후계자를 낳아준 여자로서만 대했을 뿐 거의 애정을 드러내지 않아서 상처를 많이 받았다. 그리고 스페인 궁정의 풍습은 점잖고 엄숙한 편이었는데 프랑스 왕정은 화려하고 사치스러운 분위기라, 여기에 적응하기도 힘들어했다고. 그래도 루이 14세가 염치는 있었는지 왕비로서의 위엄은 살려주기 위해 마리 테레즈의 방을 자주 찾았고, 모든 정부들에게 왕비의 방에 가서 문안인사를 드리도록 하기까지 했다. 그 외에 기본적인 부부관계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서 사이가 그 이상 벌어지지는 않았다. 마리 테레즈의 시어머니이자 고모인 루이 14세의 모후 안 도트리슈도 그녀를 감싸주었다고 한다.
스페인 태생이라 그런지 평생 스페인어밖에 할 줄 몰랐고, 프랑스어를 배우지도 않았다고 한다.[5]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토니아가 "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으면 되지"라는 망언을 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사실 시고조할머니인 마리아 테레사가 한 말이라는 설이 있다. 그것도 실제로는 흔히 생각하는 의미가 아니라, 굶주린 백성들을 보고 안타까워서 "저 사람들에게 브리오슈라도 주면 되지 않을까?"라고 말한 것이 악의적으로 와전되었다고.
결혼 후 23년간 줄곧 외로운 프랑스 궁정에서 평생을 보냈던지라 루이 14세가 곁에서 임종을 지켰다. 그녀가 사망했을 때 루이 14세는 “슬픔이라는 감정이 어떤 느낌인지 내 이제야 알겠다(voilà le premier chagrin qu'elle me cause).”이라고 말했다고.

3. 가족관계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스페인의 마리아 테레사
(Maria Teres a de España)
펠리페 4세
(Felipe IV)
펠리페 3세
(Felipe III)
펠리페 2세
(Felipe II)
오스트리아의 안나
(Anna von Österreich)[6]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
(Margarete von Österreich)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2세
(Karl II, Erzherzog von Innerösterreich)[7]
바이에른의 마리아 아나
(Maria Anna von Bayern)[8]
프랑스의 엘리자베트
(Élisabeth de France)
앙리 4세
(Henry IV)
방돔 공작 앙투안
(Antoine, Duc de Vendôme )
잔 달브레
(Jeanne d'Albret)
마리 드 메디치
(Maria de' Medici)
토스카나 대공국 대공 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
(Francesco I de' Medici, Gran Duca di Toscana)
오스트리아의 요하나
(Joanna von Österreich)[9]

3.1. 사생아(?)


흑인 노예와 불륜을 저질러 사생아를 낳았다는 설이 있다. 루이즈 마리 테레즈(Louise Marie-Thérèse)라는 이름의 이 흑인 여성은 베네딕토회의 수녀였으며, 생전에 마리아 테레사의 사생아라는 의심을 받았다. 원래대로라면 평범한 수녀로 살다 세상을 떠났겠지만, 그녀를 둘러싼 소문 때문에 그녀는 역사 속에 이름을 남겼다.
루이즈 마리 테레즈가 마리아 테레사의 사생아로 의심받은 것은 마리아 테레사가 세상을 떠난 지 2년 후부터였다. 마리아 테레사의 남편 루이 14세는 왕비가 사망한 1683년으로부터 2년 후인 1685년 6월 경 루이즈 마리 테레즈에게 300 파운드의 금과 '그녀가 평생동안 기거해온 수도원 또는 앞으로 기거할 곳에 이 금을 지불한다'는 편지를 보냈다고 한다. 루이 14세의 이와 같은 행동에 수상함을 느낀 프랑스 궁정에서는 이후 이상한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 바로 루이즈 마리 테레즈가 마리아 테레사의 사생아라는 것이다. 상당히 유명한 소문이었는지 이후 수많은 사람들의 회고록에 언급되었다.
물론 이 여성이 마리아 테레사의 사생아라는 명확한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애초에 루이 14세가 그녀에게 특별한 대접을 해 주기 전까지는 등장하지도 않은 설이었고, 루이 14세가 그녀에게 잘해준 이유가 마리아 테레사의 사생아라서 그런 거라고 볼 근거도 없다.[10]
당시에도 이 소문을 허무맹랑하다고 생각한 사람이 없던 건 아니었다. 류인 공 샤를 달브레(Charles d'Albert, duc de Luynes)는 이 소문을 반박하면서 그녀가 흑인 정원사 부부의 딸이라고 주장했다. 가난했던 부부는 자녀를 키울 형편이 안 되어 딸을 맹트농 부인[11]에게 맡겼는데, 국왕 부부가 가엾게 여겨 경제적 지원을 해 주었다는 것이다.
현대 사학계에서도 이 설을 진지하게 다루고 있진 않고, 그냥 당대의 흥미로운 이야기 정도로 여기고 있다.
프랑스 작가 쥘리에트 벤조니의 소설 <왕비의 침실>[12]에서 이 흑인 사생아설이 각색되어 나온다. 이 소설에서 마리아 테레사 왕비가 아프리카에서 끌려온 흑인 소년에게 동정심을 베풀어 궁전에서 살게 했는데, 소년이 왕비를 짝사랑하게 되어 왕비가 기절한 틈에 강간한다. 왕비는 기절했던 탓에 강간당한 사실도 몰랐고, 임신을 하자 당연히 남편인 루이 14세의 아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태어난 딸의 피부가 검은 탓에 모두가 왕의 아이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고, 루이 14세도 상황을 눈치채지만 일단은 국왕으로서의 자존심과 권위 때문에 자기 딸로 인정하고 세례식도 베풀어준다. 하지만 결국 흑인 소년과 왕비가 낳은 아이 모두 루이 14세의 명령으로 암살된다.

[1] 앙리 4세의 첫번째 부인은 카트린 드 메디시스의 딸이자 여왕 마고의 주인공인 마르그리트 공주이다.[2] 이후 스페인식으로 마리아나로 불린다.[3] 여담으로 두 사람의 초상화는 거의 한 사람 같이 흡사하게 닮았다.[4] 물론 지참금을 다 줬어도 루이 14세의 야심을 고려했을시 똑같이 계승권을 주장했을 것이다. 단지 프랑스에게 좋은 명분을 주었을 뿐.[5] 당시 프랑스어는 프랑스어라고 불리지 않고 국제어라고 불렸다. 한 마디로 지금의 재벌 2세가 한국어만 사용하고 영어는 전혀 모르는 것과 같은 이치. 그래도 루이 14세가 스페인어를 잘했기 때문에 부부간 소통에 문제는 없었다. 루이의 어머니인 안 도트리슈가 스페인 공주로, 펠리페 3세의 딸이자 펠리페 4세의 누나였고 마리아 테레사에게는 고모였다.[6] 막시밀리안 2세의 장녀이자 카를 5세의 손녀이다. 펠리페 2세의 외조카이기도 하다.[7] 페르디난트 1세의 3남이자 브와디스와프 2세의 손자이다.[8] 페르디난트 1세의 손녀이다.[9] 페르디난트 1세의 10녀이자 브와디스와프 2세의 손녀이다.[10] 생각해보면 아내의 사생아(...)는 아내가 불륜을 저지른 결과물인데, 보살이 아닌 이상 이 사생아를 진심으로 잘 대해주고 싶어하는 남자는 없을 것이다.[11] 루이 14세의 정부였다.[12] 루이 13세루이 14세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역사소설이다. 이 소설의 남자 주인공은 루이 13세의 조카인 프랑수아 드 방돔(앙리 4세의 서자의 아들. 즉, 루이 13세의 이복형제의 아들.)인데, 프랑수아 드 방돔이 루이 13세의 왕비와 불륜을 저질러 루이 14가 태어난 것으로 나온다. 루이 14세는 성인이 된 후에 프랑수아 드 방돔이 자기의 친부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 비밀이 누설되면 국왕으로서의 권위가 무너질 것을 우려하여, 프랑수아 드 방돔을 감옥에 가두고 누구도 얼굴을 못 보게 철가면을 씌우게 한다. 즉, 이 소설에서는 역사 속 수수께끼인 철가면이 루이 14세의 친부라는 가설을 채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