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적의 난
1. 개요
고려 신종 1년(1198), 당시 노비 신분의 만적이 중심이 되어 일으키려다가 실패한 노비해방운동. 일반적으로 역사학에서는 한국사 최초의 '''신분해방운동'''으로 평가받는다. 자연재해나 생활고, 탐관오리들의 수취 때문에 일어난 민란은 조선이나 고려는 물론 삼국시대에서도 분명히 존재했지만, 주동자가 뚜렷하게 신분해방을 목표로 삼았던 경우는 만적의 난이 '''최초'''이다.
2. 내용
만적은 당시 고려 무신정권의 집권자였던 최충헌의 노비로 추측되는데[1] , 몇 명의 노비와 함께 고려의 수도였던 개경 뒷산에 가서 나무를 하다가, 여러 명의 노비들을 모으고 난을 일으킬 논의를 하였다고 한다. 이후 만적은 노비들을 불러놓고 다음과 같은 연설을 하였다고 한다.
여담으로 고려 무인 이야기의 저자 이승한은 노비 만적이 저 말을 알고 있었던 것에 대해 저 말 자체가 당시 일종의 유행어였기 때문이 아닐까라고 해석했다. 당시는 이의민 같은 천민 출신 무신이 직전까지 전권을 휘두르기도 했던 시기였기에 문신들이 자조적으로 "에구.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냐더니 저런 무식한 칼잡이들도 정권을 잡는구나"란 식으로 되뇌이던 말이 아이러니하게도 천민들에겐 희망을 주는 뜻으로 퍼진 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을 내놓은 것. 물론 추측일 뿐이다.
어쨌든간에 연설 당시 자리에 모였던 노비들은 만적의 말에 찬성하였고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운다. 노란 종이 수천장을 '丁'자 모양으로 오려 표시를 만들어 붙이고, 날짜를 정하여 흥국사 뜰에 모여 관노(관청에 소속된 노비)들의 호응을 받는다. 그리고 관노들은 조정의 청사내에서 권신들을 죽이고, 사노비들은 개경 성내에서 먼저 최충헌을 비롯해 자기 상전을 죽이고 노비 문적(노비 문서)을 불태운 뒤 자기들이 집권하자는 것.
그러나 정작 거사 당일 흥국사에는 몇 백명의 노비들밖에 오지 않았고, 이정도 병력으론 거사를 도모할 수 없다고 판단한 만적은 하는 수 없이 날짜를 다시 정하고 이후 보제사에 다시 모이기로 약속한다. 그런데 당시 자리에 있었던 노비 순정이 거사가 실패할 것을 겁내 자기 주인인 한충유를 비롯한 여러 양반들한테 이를 고자질해 버린다.[4] 결국 순정의 밀고로 거사는 알려지고, 이를 한충유로부터 전해들은 최충헌에 의해 거사에 찬동한 노비들은 만적을 포함해 100여명이 붙잡혀 순정을 제외하고 모두 '''강에 산 채로 던져지는''' 비참한 죽음을 맞는다. 이로써 한충유는 승진하고, 이 음모를 밀고한 순정은 은 80냥을 받고 양인으로 면천되었다. 순정에게 상금까지 준 것을 이유로, 사실 순정이 프락치였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주장도 있는데, 이것 역시 추측의 영역이긴 하다.[5]
결국 만적의 난은 참여자 중 단 하나만이 양인으로 면천된 채 실패로 끝났으나, 당시 신분 질서가 엄격했던 시대에 계급을 타파하고 새로운 세상을 일으키려 했던 그들의 생각은 지금에 와서는 높게 평가되고 있다.
3. 창작물
- KBS 대하사극 무인시대에서는 만적이 권력을 잡고 타락하기 이전의 최충헌을 따르는 부하이자 충직한 가노[6] 로 각색되었기 때문에, 반대로 순정과 미조이가 먼저 거사를 꾸민 것으로 각색되었다. 처음에 만적은 거사에 참여할 생각이 없었고, 가문에 오랜기간 충성한 덕분에 면천될 기회도 있었지만, 이런저런 일을 겪은 끝에, 사람이 차별받는 세상을 뒤집고자 거사에 참여하게 된다. 설사 자기가 면천이 되어 잘 살아간다 해도, 귀천으로 갈린 신분질서를 타파하지 않으면 혼자 잘 살아 뭐하냐는 생각에 이르게 된 것이다.
> "우리가 잃을 것은 노비 문적이고, 얻을 것은 천하를 얻을 것이다!" - KBS 대하드라마 『무인시대』 중에서[7]
그리고 순정은 밀고를 한 것이 아닌, 거사 직전 붙잡혀서 고문당한 끝에 거사를 토설한 것으로 각색되었다. 그 냉혹한 최충헌도 만적을 동정해서 진압 직전 '지금이라도 순순히 투항하면 목숨을 살려주겠다'라고 권고하지만, 끝내 거부하고 동료들과 함께 죽임을 당한다. 물에 수장된 죽은 노비들의 시신들이 건져져 유족들은 죽은 노비들을 보고 통곡했으며, 홍련화는 죽은 만적을 울면서 위로한 것으로 연출되었다. 만적과 노비들은 관군에게 포위되어 저항하다가 패하여 참살당하는데 죽기 직전 만적이 남기는 말은 폭풍간지.
>하늘이 사람을 세상에 내실 때 모두가 사람답게 살라 명하시었거늘 어찌 왕후장상에 씨가 따로 있을 수 있겠소이까? 노비 문적 하나에 귀천이 갈리는 이놈의 세상을 뒤엎지 못하고 가는 것이 원통할 뿐이오이다! 허나 먼 훗날, 천노의 자식들이 귀천의 족쇄를 깨부수려다가 죽어간 선대들을 자랑스럽게 생각할 것이오니 후회는 없소이다. - KBS 대하드라마 『무인시대』에서 죽음을 앞둔 만적이 마지막으로 남긴 말.
그리고 순정은 밀고를 한 것이 아닌, 거사 직전 붙잡혀서 고문당한 끝에 거사를 토설한 것으로 각색되었다. 그 냉혹한 최충헌도 만적을 동정해서 진압 직전 '지금이라도 순순히 투항하면 목숨을 살려주겠다'라고 권고하지만, 끝내 거부하고 동료들과 함께 죽임을 당한다. 물에 수장된 죽은 노비들의 시신들이 건져져 유족들은 죽은 노비들을 보고 통곡했으며, 홍련화는 죽은 만적을 울면서 위로한 것으로 연출되었다. 만적과 노비들은 관군에게 포위되어 저항하다가 패하여 참살당하는데 죽기 직전 만적이 남기는 말은 폭풍간지.
>하늘이 사람을 세상에 내실 때 모두가 사람답게 살라 명하시었거늘 어찌 왕후장상에 씨가 따로 있을 수 있겠소이까? 노비 문적 하나에 귀천이 갈리는 이놈의 세상을 뒤엎지 못하고 가는 것이 원통할 뿐이오이다! 허나 먼 훗날, 천노의 자식들이 귀천의 족쇄를 깨부수려다가 죽어간 선대들을 자랑스럽게 생각할 것이오니 후회는 없소이다. - KBS 대하드라마 『무인시대』에서 죽음을 앞둔 만적이 마지막으로 남긴 말.
- MBC 사극 무신에서는 주인공 김준의 아버지 김윤성이 이 반란에 연루되어 도망쳤고, 그 때문에 김준은 절에서 숨어 살다가 이 절이 반란에 연루되는 바람에 거대한 운명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는 것으로 그려졌다.
4. 같이보기
[1] 사실 만적이 최충헌의 사노비였다는 직접적인 기록은 없다. 고려사에는 만적이 사동(私僮)이라고 기록되어있을 뿐이다. 그러나 만적이 고려사 열전 최충헌편에 있어서 최충헌의 사노비라고 추정할 뿐이다.[2] 무신정권의 2번째 집권자 정중부는 평민 출신이었고, 4번째 집권자 이의민은 천민 출신이었다.[3] 이 말은 만적이 처음 한 것은 아니다. 중국 진나라 때의 진승·오광의 난에서 진승이 이야기한 것이 유행어처럼 민간에 퍼졌고, 이것이 이후 한반도로도 흘러들어왔을 것이라 추측된다. 사실 고려사 원문에는 그냥 '장상이 어찌 원래부터 씨가 있겠는가'라고 적혀 있다.[4] 야사에선 주인인 한충유가 노비들을 잘 대해줬기에 순정이 차마 상전인 한충유를 죽일 수 없어 배신했다는 말도 있다.[5] 그런데 생각해보면 반란을 일으키기로 했는데 막상 사람이 모이지 않아 거사를 연기한다고 하면 누가 생각해도 이 거사는 실패할 것이니 함께 죽느니 밀고하고 나만이라도 빠져나와야겠다는 생각을 하는 것이 정상이다. 조선시대 사육신도 거사를 연기하자 김질이 이렇게 밀고하고 빠져나왔다.[6] 최충헌의 목숨을 구한 적도 있었으며, 최충헌의 아내와 어머니는 만적을 단순한 노비가 아니라 아들처럼 대하며 함부로 여기지 않았다. 최우와 최향이 집 마당에서 격구 연습을 하다가 만적을 다치게 하자 "어찌 집 안에서 공을 쳐 사람을 다치게 하느냐" 라며 나무랐을 정도인데, 극중에서 만적이나 그와 함께 난을 일으킨 노비들의 입에서 자주 나오는 말이 천노는 사람 대접도 받지 못한다는 것이었다.[7] 실제로 기록된 말이 아니라 극중의 대사이며, 카를 마르크스의 공산당 선언 중 유명한 구절인 "프롤레타리아가 잃을 것이라곤 족쇄 뿐이고 그들이 얻을 것은 전 세계다. 전 세계의 프롤레타리아여, 단결하라!"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8] 사육신을 세조에게 밀고한 인물이다.[9] 와트 타일러의 난 때 난의 사상적 기반의 제공자였던 사제 '존 볼'이 아담이 경작하고 이브가 길쌈할 때 귀족은 어디 있고 평민은 어디 있었겠는가? 라고 말하였다.[10]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느냐는 홍길동전에서 많이 언급되는 대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