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나무
1. 소개
식물. 장미과 벚나무속 낙엽활엽수이다. 높이는 5 m 정도.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경상남도, 전라남도 등 남부지방에서 재배하는데, 특히 경상남도 양산시, 하동군, 전라남도 광양시가 매화나무로 유명하다. 하동군 매화나무 몇 그루를 청계천에 옮겨 심었으니 꽃이 피었을 때 지나가다 들러보자.
매화나무 열매가 매실이다. 해당 문서 참고.
꽃을 매화라고 부르는데, 난초(蘭), 국화(菊), 대나무(竹)와 함께 사군자라고 하여 선비의 절개를 상징한다. 이른 봄의 추위를 무릅쓰고 제일 먼저 꽃을 피우는 점 때문이다. 특히 한겨울에 피는 매화는 설중매라고 따로 부르기도 한다. 개화시기는 남부지방은 1~3월, 중부지방은 3~4월이다. 붉은 매화를 홍매(紅梅), 흰 매화를 백매(白梅)라고 하는데, 백매는 종종 벚꽃과 혼동되기도 한다. 실제로는 꽃을 보기만 해도 알 정도로 차이가 상당하지만, 바람 불면 흰 꽃잎이 우수수 날리며 떨어지는 데서 착각을 일으킨다.
'''벚꽃과 가장 큰 차이는 향기의 유무이다.''' 벚꽃에는 향기가 없으나 '''매화는 향기가 있다'''. 봄철 매화밭은 향기롭다. 그리고 꽃잎 끝이 갈라진 게 벚꽃이다. 자세히 관찰할 것도 없이 가장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꽃이 가지에서 피는지(매화) 아니면 가지에 붙은 꽃자루에서 피는지(벚꽃) 확인하는 것이다.
매화를 거두어 매화차로 먹을 수도 있다. 기침과 갈증 해소에 좋다고 한다. 매화차는 맛이 쓰지만 향기가 좋다. 건조되어 오므라져 있는 매화 꽃봉오리에 뜨거운 물을 부으면 매화가 활짝 핀다. 찻잔 위에 만개한 매화의 모습을 보는 눈의 즐거움도 있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매화를 좋아했다. 사군자의 하나로, 추운 겨울에 은은한 향기를 풍기는 모습이 지조와 절조를 상징하기 때문. 과거시험에 수석으로 장원급제한 인재는 머리에 매화 꽃대를 꽂은 모자를 쓰고 조정의 모든 벼슬아치와 백성들이 보는 앞에서 인정을 받았다. 다만 꽃구경용으로는 매화보다는 복숭아꽃을 선호했던 듯하다.
조선시대 매화 그림, 묵매화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은 매화의 꽃송이가 중국의 그림처럼 많지 않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성긴 것, 어리숙한 것, 완벽하지 않은 것, 기교를 부리지 않은 것'등 자연주의를 좋아하는 정서가 반영된 것이다. 반면 중국의 민족성인 '빽빽한 것, 완전무결한 것, 아주 예쁜 것, 되도록 큰 것'의 정서는 묵매화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중국의 묵매화는 줄기와 가지를 어지럽게 그리고 수십, 수백의 꽃송이를 그림 가득히 그리면서 웅장, 완벽, 섬세를 추구한다면, 우리나라의 묵매화들은 그런 화법과 화풍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스럽고 자연스럽게, 누기교의 기교라는 기조를 지키면서 여백의 미와 단순의 미를 추구한다. 묵매화는 중국에서 건너온 문화지만 이처럼 선조들은 민족성에 맞게 소화해서 재창조해냈다.
섬진강변 매화마을을 중심으로 해마다 3월 중순부터 말까지 광양 매화축제가 개최된다.
2. 중화민국 (대만)의 국화
[image]
올림픽에서 국기 대신 사용하는 중화 타이베이 깃발. 바탕이 매화 모양이다.
[image]
중화민국 해군 상징마크, 상단에 매화가 있다.
대만의 고속도로인 중화민국국도의 노선기호, 모양이 매화 모양이다.
대만의 국화로 알려져 있어 청천백일기와 마찬가지로 중화민국의 상징과 같다.
대만 정부의 문장에서는 청천백일을 쓰지만 호텔의 등급표시, 중화 타이베이 깃발, 고속도로 노선기호 등에서는 매화를 쓰며, 노래 중에서도 매화라는 노래가 있다. 또한 국적항공사인 중화항공도 회사 로고가 매화이다.
3. 여담
조선에서 사군자인 매화를 집안에서 가꾸고 이를 감상하며 시와 그림을 짓는 것은 선비와 양반들의 고급 취미로 선호되었다. 조선의 성리학자 퇴계 이황선생도 매화를 아껴서 이것을 소재로 많은 시조를 남겼고 매화 분재를 애지중지하며 키웠다. 매군(梅君), 매형(梅兄), 매선(梅仙)이라고 불렀다고 하며 임종 즈음에 남긴 유언이 "저 매형에게 물을 주어라."일 정도.
일지매란 괴도는 털고 난 곳에 매화나무 가지를 두고 갔다고 한다.
한국산업은행의 행화가 바로 매화이며 동해시의 시화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