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
'''미카 3-161호 증기기관차'''
|
1. 개요
한반도에서 운용했었던 2-8-2형
증기 기관차.
미국에서 굉장히 널리 쓰였으며
한국에서도 쓰인 바 있다. 2-8-2 차륜 구성에 대해
미카도라는 별칭이 붙은 것은 초기 제작사인 미국 볼드윈 사가 일본에 기관차를 납품하면서 선전을 했기 때문이다. 정작 별칭의 모티브가 된 일본에서는 미국식의 기관차 형식 애칭을 쓰지 않았다.
차량은
미국에서 부품을 선편으로 수송하여
인천공작창에서 조립해
경인선에 배치되었으며 일부 부품의 경우
인천공작창에서 직접 제작하기도 했다.
다른 이름으로 맥아더(McArther)로 불리기도 하며,
[1] 당연히 전쟁중 적국의 군주 칭호를 쓸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한국과 만주에서는 기관차 형식을 두 글자씩 따서 쓰는 관행 때문에 '미카'로 줄여졌다. 특징으로는 동륜 뒤의 보조 차축 덕에 화실을 뒤쪽으로 배치해서 용량을 키울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2. 사양
2.1. 미카 1형(Mikai)
{{{#!wiki style="margin: -10px -10px;"
| '''조선총독부 철도국 미카1형 증기기관차''' Sentetsu Mikai-class locomotive
| }}}
|
[image]
|
영등포역에 정차 중인 미카1-2호 촬영시기는 1953년 10월
|
'''차량 정보'''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도입량'''
| 12량
|
'''차륜배치'''
| 2-8-2
|
'''도입시기'''
| 1919년
|
'''제작사'''
| 볼드윈
|
'''차량 제원'''
|
'''전장'''
| 22,032㎜
|
'''전폭'''
| 3,023㎜
|
'''전고'''
| 4,383㎜
|
'''궤간'''
| 1,435㎜
|
'''중량'''
| 기관차: 89.75t
|
탄수차: 57.50t
|
'''최고속도'''
| 70㎞/h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해방 이후에 9량이 남한, 3량이 북한 소속이 되었다.
2.2. 미카 2형(Mikani)
{{{#!wiki style="margin: -10px -10px;"
| '''조선총독부 철도국 미카2형 증기기관차''' Sentetsu Mikani-class locomotive
| }}}
|
[image]
|
용산역에 대파되어 방치된 미카2-4호
|
'''차량 정보'''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도입량'''
| 12량
|
'''차륜배치'''
| 2-8-2
|
'''도입시기'''
| 1919년
|
'''제작사'''
| ALCO
|
'''차량 제원'''
|
'''전장'''
| 22,094㎜
|
'''전폭'''
| 3,023㎜
|
'''전고'''
| 4,254㎜
|
'''궤간'''
| 1,435㎜
|
'''중량'''
| 기관차: 93.40t
|
탄수차: 57.50t
|
'''최고속도'''
| 70㎞/h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해방 이후에 대부분이 북한 소속이 되었다고 한다.
2.3. 미카 3형(Mikasa)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413호
| ←
| '''414호'''
| →
| 415호
|
서울 서교동 최규하 가옥
| '''미카형 증기기관차 304호'''
|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조선총독부 철도국 미카3형 증기기관차''' Sentetsu Mikasa-class locomotive
| }}}
|
[image]
|
제주 삼무공원에 정태보존 중인 미카3-304호 (등록문화재 제414호)
|
'''차량 정보'''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도입량'''
| '''398량'''
|
'''차륜배치'''
| 2-8-2
|
'''도입시기'''
| 1927~1946년
|
'''제작사'''
| 기샤세이죠 니혼사료 히타치 제작소 가와사키 중공업 경성공작창
|
'''차량 제원'''
|
'''전장'''
| 22,035㎜
|
'''전폭'''
| 3,078㎜
|
'''전고'''
| 4,507㎜
|
'''궤간'''
| 1,435㎜
|
'''중량'''
| 기관차: 90.65t
|
탄수차: 65.80t
|
'''최고속도'''
| 70㎞/h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2.4. 미카 4형(Mikashi)
{{{#!wiki style="margin: -10px -10px;"
| '''조선총독부 철도국 미카4형 증기기관차''' Sentetsu Mikashi-class locomotive
| }}}
|
[image]
|
영등포역에 정차중인 미카 4-23호 증기기관차 촬영년도는 1953년 3월
|
'''차량 정보'''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도입량'''
| 24량
|
'''차륜배치'''
| 2-8-2
|
'''도입시기'''
| 1939년~1942년
|
'''제작사'''
| 가와사키 중공업
|
'''차량 제원'''
|
'''전장'''
| 22,168㎜
|
'''전폭'''
| 2,995㎜
|
'''전고'''
| 4,244㎜
|
'''궤간'''
| 1,435㎜
|
'''중량'''
| 기관차: 88.29t
|
탄수차: 58.48t
|
'''최고속도'''
| 70㎞/h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2.5. 미카 5형(Mikako)
{{{#!wiki style="margin: -10px -10px;"
| '''조선총독부 철도국 미카5형 증기기관차''' Sentetsu Mikako-class locomotive
| }}}
|
[image]
|
화랑대역에 전시중인 미카 5형 56호
|
'''차량 정보'''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용도'''
| 여객,화물, 군수용 증기기관차
|
'''도입량'''
| 44량
|
'''차륜배치'''
| 2-8-2
|
'''도입시기'''
| 1952년
|
'''제작사'''
|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니혼사료 미쓰비시 중공업 기샤세이죠
|
'''차량 제원'''
|
'''전장'''
| 21,900㎜
|
'''전폭'''
| 2,997㎜
|
'''전고'''
| 4,510㎜
|
'''궤간'''
| 1,435㎜
|
'''중량'''
| 기관차: 103.10t
|
탄수차: -t
|
'''최고속도'''
| 80㎞/h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에서 일본의 증기 기관차 제조공장에 군용열차 견인용으로 발주한 기관차. 기본적으로 구 남만주철도의 미카이형 기관차(한국명 미카 1형)의 설계를 유용하여 생산했다.
2.6. 미카 6형(Mikaro)
{{{#!wiki style="margin: -10px -10px;"
| '''조선총독부 철도국 미카6형 증기기관차''' Sentetsu Mikaro-class locomotive
| }}}
|
[image]
|
미카 6형의 원판인 JF6형 기관차
|
'''차량 정보'''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생산량'''
| 5량(남한)
|
'''차륜배치'''
| 2-8-2
|
'''생산시기'''
| 1934년
|
'''제작사'''
|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기샤세이죠 니혼사료
|
'''차량 제원'''
|
'''전장'''
| 21,200㎜
|
'''전폭'''
| 3,023㎜
|
'''전고'''
| 4,244㎜
|
'''궤간'''
| 1,435㎜
|
'''중량'''
| 기관차: -t
|
탄수차: 88.29t
|
'''최고속도'''
| 80㎞/h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중국 국유철도 JF6형의 설계를 유용하였다.
2.7. 미카 7형(Mika7)
{{{#!wiki style="margin: -10px -10px;"
| '''대한민국 철도청 미카 7형 증기기관차''' KORAIL Mika7 Class locomotive
| }}}
|
[image]
|
'''차량 정보'''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용도'''
| 전시용 증기기관차
|
'''도입량'''
| 2량
|
'''차륜배치'''
| 2-8-2
|
'''도입시기'''
| 1950년
|
'''운행기간'''
| 1950~196?년
|
'''제작사'''
| 미쓰비시 중공업
|
'''차량 제원'''
|
'''전장'''
| 19,730㎜
|
'''전폭'''
| -㎜
|
'''전고'''
| -㎜
|
'''중량'''
| 123t
|
한국전쟁 당시 부족한 기관차를 충당하고자
유엔군이 일본 중공업(현
미츠비시 중공업)에 주문하여 제작한 증기 기관차.
D51형 증기 기관차의 설계를 유용하였으며,
[2] 이후 철도청에 양도되어 1960년대까지 사용되었다.
3. 보존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었던 미카형 증기 기관차는 모두 9대가 남아 있다.
- 미카 3형 129호(국가등록문화재 제415호)[3]
김재현 기관사가 딘 소장 구출 작전에 운행한 차량이다, 과거 대전철도차량정비단 내에 있었으나 언제부턴가 현충원으로 옮겼다.
: 국립대전현충원 내 철도기념관
- 미카 3형 161호: 철도박물관 - 한동안 관광열차로 운행하다가 1980년대부터 박물관 내에 전시 중이다.
- 미카 3형 304호(국가등록문화재 제414호): 제주도 삼무공원 - 제주도에 철도가 없는 사정상 열차를 보기 힘든 제주도의 어린이들을 위해 박정희가 기증한 차량이라고 한다.
- 미카 5형 31호: 나주시 영산포역[4]
한동안 운봉공고 캠퍼스에 있었으나 2003년에 영산포역으로 옮겼다.
- - 행방불명됨, 광주대학교 공터에 옮겨졌다는 설이 있다.
- 미카 5형 56호: 화랑대역[5]
원래 서울어린이대공원에 있었는데 2017년 6월에 함께 있던 혀기형 증기기관차와 함께 옮겼다.
4. 기타
작가
안도현은 미카형 증기 기관차와 이를 몰던 퇴역 기관사가 의왕
철도박물관에서 서로와 재회하는 내용의 소설 '증기기관차 미카'를 썼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일부가 수록되기도 했던 소설.
[6] 구체적으로 따지자면 구 제복 도난, 운전실 탑승, 정태보존을 위해 일부러 망가뜨린 곳 수리, 보존선로 방향을 경의선 방향으로 돌려놓기까지. 사실 경부선 서울 방향으로 돌려도 용산역에서 경의중앙선 입선이 가능하긴 하지만.
북한은 미카형을 '미가형'이라는 이름으로 개명, 소유하고 있는데 1994년 영상과 2008년 영상이나 기타 사진들을 보았을 때 아직까지도 운행 중이라고 확신할 수 있다.
[7] 다만 1970년대부터 차호개정으로 증기 6xxx로 번경되었다.
베이징에 위치한
중국철도박물관에는 미카 3형과 동일기종인 JF9 3673기관차가 전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