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경의 55일
[image]
55 Days at Peking[1]
1963년 제작된 미국 영화. 청나라 말기를 배경으로 의화단 사건을 다룬 작품이다. 제작 당시 1500만 달러의 제작비가 투입되었고, 냉전 체제로 인하여 이 영화의 촬영지는 중국 베이징이 아닌 스페인 마드리드 근교에 세트를 짓고 영화를 촬영했다. 당시로서는 어마어마한 제작비용과 더불어 이 영화는 63년 아카데미 시상식 음악상, 주제가상에 후보에 오를 정도의 배경 음악과 찰턴 헤스턴, 데이빗 니븐 등 당대의 유명한 배우들이 대거 출연하는 호화 캐스팅 등의 거대 스케일을 자랑했다. 감독은 쟈니 기타, 이유 없는 반항으로 알려진 니콜라스 레이.
당시에는 유명 배우들이 총출동한 명작 시대극으로 불린다. 그러나 의화단 사건 당시 제국주의 열강들이 베이징 점령 이후 '의화단원을 색출한다.'는 명분으로 의화단과 전혀 무관한 민간인들을 학살하거나 약탈과 살육, 강간, 방화등 자행한 부분은 절대 나오지 않았다. 참고로 니콜라스 레이 감독은 1960년에 이미 야생의 순수라는 영화로 이누이트에 대한 편견을 널리 퍼트리기도 했다.
그렇다고 그 전쟁원인이 된 의화단 운동에서 중국인들이 기독교인들이나 서구인들에게 저지른 것도 비난받을 수 밖에 없다. 당시 의회단은 서양인들을 끔살시키고 아녀자들을 성폭행하고 고문으로 죽였기에 공포에 질린 서구권 여성들이 자살해버릴 지경이었다. 영화상에서는 이것도 나오지 않지만 의화단이 당한 학살은 자업자득이었다. 서태후도 모든 책임을 이들에게 덮어 이들을 사로잡아 죽여버리게 했다. 하지만 비판이 나오는 이유는 '''서양인들이 의화단이랑 똑같은 행위를 했는데 선이 되는 것''' 때문이지 의화단을 미화하지 않아서가 아니다.
고증 문제가 좀 있다. 특히, 영화 초반부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대신 제 코가 석자였던 스페인의 국기가 뜬금없이 나오고, 제국주의 국가들 국가(國歌)연주 장면 나왔을때 독일 제국 국가를 독일인의 노래로 설정한건 최대의 오류.[2] 덤으로 미국만 국가가 짤리고 To The Colors가 연주되었다. 그리고, '''서태후를 포함한 청나라측 인물이나 의화단 연기하는 배우들(엑스트라) 죄다 백인이다.'''(...)[3] 그리고 인도 제국군 병사들과 일본군 병사들도 백인들이 연기했는데, 전자의 경우 애초에 북부 인도의 아리아인들이 코카소이드이며[4] 후자의 경우 병사들의 얼굴이 제대로 보이지 않을 만큼 멀리서 촬영되었기 때문에 그나마 위화감이 없는 편이다.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동양인 캐릭터들을 반드시 동양계 배우가 연기하는 21세기 서양 실사물들과 비교하면 격세지감이다. 그리고 나머지 고증은 세심한 편이라고 한다.
먼나라 이웃나라 미국편에서도 깠다.
이 영화의 주제가가 2010년대 들어서 유튜브에서 반중전선의 상징적인 노래로 인기를 끌고 있다. Deus Vult가 반이슬람 드립으로 쓰이는 것과 비슷한 사례. 그 중 가장 인기 있는 독일어판은 혐오표현으로 취급되어 삭제된적까지 있다.#
대한민국 공군 출신이라면 한번 쯤 들어봤을 영화인데, 누구나 치를 떨어봤을 공군기본군사훈련단의 기상음악이 바로 이 영화의 OST이기 때문이다. 멍 때리고 있다가 듣게 될 경우 순간적으로 등골이 서늘해지면서 정신이 확 나는 효과가 있어 스마트폰 기상 알람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카더라. 병은 사용하다 사용하지 않다 바뀐다. 그마저도 일부 대대만 사용한다. 예를들어 4대대의[5] 경우 못들어본 기수도 있는 반면 3대대는 2020년에도 듣는다.2019년 5월 기준 사관후보생과 부사관후보생은 여전히 저벅가를 기상송으로 사용한다.
한번 들어보자.
55 Days at Peking[1]
1. 개요
1963년 제작된 미국 영화. 청나라 말기를 배경으로 의화단 사건을 다룬 작품이다. 제작 당시 1500만 달러의 제작비가 투입되었고, 냉전 체제로 인하여 이 영화의 촬영지는 중국 베이징이 아닌 스페인 마드리드 근교에 세트를 짓고 영화를 촬영했다. 당시로서는 어마어마한 제작비용과 더불어 이 영화는 63년 아카데미 시상식 음악상, 주제가상에 후보에 오를 정도의 배경 음악과 찰턴 헤스턴, 데이빗 니븐 등 당대의 유명한 배우들이 대거 출연하는 호화 캐스팅 등의 거대 스케일을 자랑했다. 감독은 쟈니 기타, 이유 없는 반항으로 알려진 니콜라스 레이.
2. 줄거리
배경은 1900년 여름, 청나라를 놓고 열강의 다툼이 한창인 가운데 가뭄으로 민심은 더욱 흉흉해졌던 때였다. 이때 의화단이 기승을 부리자, 외국인 거주지역의 거주자들은 대피를 서둘렀다. 베이징에 도착한 미 해병대의 루이스 소령은 호텔에서 묘한 매력을 풍기는 나탈리에게 호감을 느끼지만 주위의 시선이 따가움을 느낀다. 러시아 사령관의 부인이었던 그녀는 중국 장교인 영록과 염문을 뿌려 남편을 자살하게 만든 과거가 있었던 것이다.
열강 12개국 대표자들은 연합군이 4백명 뿐인 것을 우려, 떠날 것을 의결하지만 영국 대표는 시드니 장군이 도착할 때까지 북경에 남을 것을 고집한다. 결국 이들은 베이징 사수를 결정, 임전 태세를 갖춘다. 한편 청나라의 서태후의 황실에서는 의화단을 비호하고 정부군을 지휘하는 영 장군 사이에 묘한 갈등이 대두되는데, 의화단의 활동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던 서태후는 이를 공식화 하면서 영국에게 시드니의 상륙을 막을 것을 명령한다. 시드니는 정부군의 반격으로 천진으로 후퇴, 북경에 고립된 열강 대표들은 점점 위험에 빠진다. 결국 시드니가 북경에 도착, 의화단에 맞서 싸울 때까지 55일간의 서사적 로맨스가 펼쳐진다는 내용이다.
3. 평가
당시에는 유명 배우들이 총출동한 명작 시대극으로 불린다. 그러나 의화단 사건 당시 제국주의 열강들이 베이징 점령 이후 '의화단원을 색출한다.'는 명분으로 의화단과 전혀 무관한 민간인들을 학살하거나 약탈과 살육, 강간, 방화등 자행한 부분은 절대 나오지 않았다. 참고로 니콜라스 레이 감독은 1960년에 이미 야생의 순수라는 영화로 이누이트에 대한 편견을 널리 퍼트리기도 했다.
그렇다고 그 전쟁원인이 된 의화단 운동에서 중국인들이 기독교인들이나 서구인들에게 저지른 것도 비난받을 수 밖에 없다. 당시 의회단은 서양인들을 끔살시키고 아녀자들을 성폭행하고 고문으로 죽였기에 공포에 질린 서구권 여성들이 자살해버릴 지경이었다. 영화상에서는 이것도 나오지 않지만 의화단이 당한 학살은 자업자득이었다. 서태후도 모든 책임을 이들에게 덮어 이들을 사로잡아 죽여버리게 했다. 하지만 비판이 나오는 이유는 '''서양인들이 의화단이랑 똑같은 행위를 했는데 선이 되는 것''' 때문이지 의화단을 미화하지 않아서가 아니다.
4. 고증
고증 문제가 좀 있다. 특히, 영화 초반부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대신 제 코가 석자였던 스페인의 국기가 뜬금없이 나오고, 제국주의 국가들 국가(國歌)연주 장면 나왔을때 독일 제국 국가를 독일인의 노래로 설정한건 최대의 오류.[2] 덤으로 미국만 국가가 짤리고 To The Colors가 연주되었다. 그리고, '''서태후를 포함한 청나라측 인물이나 의화단 연기하는 배우들(엑스트라) 죄다 백인이다.'''(...)[3] 그리고 인도 제국군 병사들과 일본군 병사들도 백인들이 연기했는데, 전자의 경우 애초에 북부 인도의 아리아인들이 코카소이드이며[4] 후자의 경우 병사들의 얼굴이 제대로 보이지 않을 만큼 멀리서 촬영되었기 때문에 그나마 위화감이 없는 편이다.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동양인 캐릭터들을 반드시 동양계 배우가 연기하는 21세기 서양 실사물들과 비교하면 격세지감이다. 그리고 나머지 고증은 세심한 편이라고 한다.
5. 기타
먼나라 이웃나라 미국편에서도 깠다.
이 영화의 주제가가 2010년대 들어서 유튜브에서 반중전선의 상징적인 노래로 인기를 끌고 있다. Deus Vult가 반이슬람 드립으로 쓰이는 것과 비슷한 사례. 그 중 가장 인기 있는 독일어판은 혐오표현으로 취급되어 삭제된적까지 있다.#
대한민국 공군 출신이라면 한번 쯤 들어봤을 영화인데, 누구나 치를 떨어봤을 공군기본군사훈련단의 기상음악이 바로 이 영화의 OST이기 때문이다. 멍 때리고 있다가 듣게 될 경우 순간적으로 등골이 서늘해지면서 정신이 확 나는 효과가 있어 스마트폰 기상 알람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카더라. 병은 사용하다 사용하지 않다 바뀐다. 그마저도 일부 대대만 사용한다. 예를들어 4대대의[5] 경우 못들어본 기수도 있는 반면 3대대는 2020년에도 듣는다.2019년 5월 기준 사관후보생과 부사관후보생은 여전히 저벅가를 기상송으로 사용한다.
한번 들어보자.
[1] 베이징의 옛 표기. 요즘도 쓰는 사람이 없진 않다. 참고로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의 IATA코드가 'PEK'다.[2] 당시 독일 제국 국가는 Heil dir im Siegerkranz였고, 독일인의 노래의 곡조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국가였다 [3] 사실 이렇게 황인 캐릭터를 백인 배우가 연기하는 것 자체가 20세기 초중반 서양 실사물의 트렌드였다. 20세기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황인 배우들의 서양 실사물 출연이 활발해짐에 따라 지금처럼 황인 캐릭터를 실제 황인 배우가 맡게 된 것이다.[4] 실제로 뉴델리나 잠무 카슈미르 주, 히마찰프라데시 주 같은 인도 북서쪽 지역에서 사는 아리안계 인도인들의 경우 전형적인 백인 외모인 경우가 많다. 흔히 매체의 영향으로 잘 알려진 어두운 피부색의 인도인에 가까운 건 인도 남부 및 서벵골 주 등지에서 사는 타밀족 같은 드라비다계 인종이나 벵골인들이다. 하지만 이들 벵골인이나 드라비다계 인도인들도 아리안계 민족들이 주류인 인도 북부 지역으로 이사와서 살거나 아리안계 인도인들과 결혼하여 두 인종 사이에 혼혈을 낳는 경우들도 많이 있기 때문에 서로 분간하기 쉽지는 않다.[5] 4대대의 경우 3대대가 막주에 이사가서 쓰기도 하는데 그 때도 안나온다.아마 기술문제이거나 음원이 없는 것으로 추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