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 플래그

 

[image]
만화 벨제바브에서 사망 플래그를 '사망 복선'으로 번역한 장면. 위의 인물은 알랭들롱. 물론 단순하게 사망 플래그를 패러디한 것이라 진짜로 죽지는 않는다.
死亡フラグ / Tempting Fate[1]
1. 설명
2. 내용
3. 이유
4. 예시
5. 패러디
6. 관련 문서


1. 설명


플래그의 하위 개념으로 영화게임, 만화 등에서 등장인물이 죽기 전에 흔히 하는 행동. 인물의 죽음을 암시하는 클리셰라고도 볼 수 있다. 죽기 위한 조건을 만족했다는 의미에서 사망 플래그 혹은 사망 복선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공포 영화에서 주인공에게 위험한 일이 생겼을 때 주인공 팀을 버리고 혼자 살겠다고 도망가는 사람은 거의 끔살당한다.[2] 그리고 대부분의 공포 영화에서 샤워를 하거나 성관계를 하는 남녀는 보통 죽는다.[3]

2. 내용


이러한 행동 중에 패턴화된 것이 많아 이제는 그런 행동을 먼저 하는 사람은 아직 죽지도 않았는데 '이제 저놈 죽는구나'하고 독자들이 먼저 인지해버리는 상황까지 도달했다. 아무래도 패배 플래그와도 많이 엮이지만 서로 상·하위 개념인 것은 아니며, 악역일 경우 두가지 플래그가 겹칠 확률이 높다.
주인공주인공 보정을 받고 사망 플래그를 씹으며 설령 사망한다고 해도 그 시점에서는 이미 최종화일 가능성이 높다.[4] 또한 근래에는 이를 역으로 이용, 플래그란 플래그는 전부 세워두고도 살아남아 독자/시청자들을 낚는 플래그 분쇄기 캐릭터들도 늘고 있다. [5] 또 사망 플래그에 대해서 보는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요즘엔 사망 플래그를 던져주고, "설마 정말로 죽겠어?"라고 의심을 품게 만든 뒤 정말로 죽게 만들어 충격에 빠트리는 방법도 쓰고는 한다.
사망 플래그에 해당하는 개념은 서구권에서도 존재하는데, 특히 영어권에서는 1948년경부터 '''famous last words(유명한 유언)'''[6] 라는 표현이 널리 쓰여왔다. 찰리 신주연을 맡은, 탑 건패러디인 코미디 영화 못말리는 비행사에서는 미해군 전투기 조종사가 출격을 앞두기 전에 존 F. 케네디 암살의 배후를 알게 되었다며 귀환 후에 알려주겠다든지,[7] 애인에게 돌아오면 결혼을 하자느니 하면서 이것을 노골적으로 패러디한다. 물론 바로 죽는데 죽어도 참 웃기고 황당하게 숨진다. 타고 있던 전투기가 추락 후 우여곡절 끝에 군병원까지 실려와서는 같이 찾아온 친구가 "병원에 왔는데 설마 죽겠어?"라고 말하자마자 1초도 안 되어 다음 컷이 '''당사자의 장례식.'''
많은 사망 플래그들이 실제로 죽을 확률을 높이는 원인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전쟁에서 적의 중요한 기밀을 입수했거나, 저격이나 중화기를 담당한다면 적의 입장에선 '''당연히 제거대상 0순위'''가 된다. 혹은 재난영화공포영화에서 "나는 내가 알아서 하겠어"라며 단독행동을 하거나 범인을 도발하는 행위 역시 마찬가지로 생존확률을 급격하게 떨어트린다. 예를 들자면 공포영화에서 "귀신이 어딨냐?" or "괴물이 어딨냐?" 하는 등장인물들은 열의 아홉은 죽는다. '설마 그게 실제로 일어나겠어?'라며 방심하는 것 역시 확률만 낮을 뿐이지 사망할 확률을 높이는 건 같다. 그리고 폭탄을 해제할 때 잘못된 선을 잘랐는데도 바로 폭발하지 않아서 됐다! 성공했어! 라고 하면 꼭 죽는다.
단 "돌아가면 결혼~" 이런 부류는 현실적으로 별로 큰 의미를 주지 않는다.

Watchmojo.com에서 발표한 최고의 사망 플래그 10선 영상

3. 이유


사망 플래그는 작품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을 좀 더 입체감 있게 완성시켜주는 장치중 하나다. 단순하게 예를 들자면 전쟁영화에서 수많은 동료가 있고 주인공 빼고 다 죽는다 해도 유언을 남기거나 전쟁이 끝나면 하고싶은 일을 말해주거나 하며 사망 플래그를 뿌리는 주연급 인물과 그런것도 없이 그냥 끔살 당하는 엑스트라들의 차이를 들 수 있다. 물론 일부러 허무감을 주기 위해 주연급 인물을 아무런 사망 플래그 없이 끔살시키는 경우도 있다.
사망 플래그의 등장 원인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그동안 활약한 등장인물이 배경설정이 거의 없던 상태에서 캐릭터의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한 과거 설명 + 캐릭터가 죽을 경우 독자들이 더 이입하게 만드는 수단(고향에 돌아가면 약혼자와 결혼한다고 했잖아!! 으헝)
  • 위와 비슷한 이유로 특정한 등장인물에게 주목 시키고 감정을 주고 몰입할 수 있도록 갑작스런 신변정리(큭 저녀석 좋은 녀석이었는데)
  • 갑작스런 죽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복선(괜찮아, 이세상이 그렇지 뭐.)
  • 사망 플래그를 반대로 이용하여 독자 및 청자로부터 등장인물을 죽었다고 판단하게 하기위한 함정 장치(저기서 피가 나오고 있어!)
  • 이야기를 좀 더 극적으로 긴장감 있게 만들기 위한 분위기 조성(갑자기 유리잔이 깨지다니... 불길하군)
  • 특히 전투 장면에서 주인공과 대결할 때 누가 봐도 악당이 유리한 상태일 때(이 상황을 빠져나올 수 있을꺼야 분명해!)
  • 추리만화의 경우 주인공이 아닌 캐릭터가 범행현장에서 범인과 범행방법을 입증할 수 있는 단서를 발견하거나 알아차렸을때 (이것은!? 그렇군. 그런 것이었나...)
  • 싸움이나 전쟁, 로봇이 등장하는 경우 적이건 아군이건 관계없이 해당 인물들 중 적의 수나 자신들이 우세한 상황을 토대로 아군들에게 사기를 불어넣는 경우 거의 십중팔구 본인들이 역으로 전멸한다.(적은 겨우 1명(소수)이다! 당황하지마라! / 상황은 이쪽이 유리하다!)
  • 주인공의 선배나 스승 등 언젠가 주인공이 넘어서야 할 대상이, 주인공이 맞서야 할 적의 보스를 먼저 상대하게 될 경우. 이 경우 처음에는 승리할 듯 보이다가 한순간의 실수나 비겁한 계략에 말려 죽게되고 주인공의 각성계기가 되는 경우가 많다.
  • 특정 인물의 작전이나 계획이 생각이나 말을 통해 설명되는 장면이 드러나고 거기서 그 사람이 자신의 작전이 성공한다고 반쯤 성공한다면 대부분 그 과정은 실패한다. ( 앞문에는 감시카메라. 뒷문에는 감시견이 24시간 감시하고 있고 모두 굳게 닫혀있으며 창문이 없는 밀실 속의 상황을 설명(생각)하는 엑스트라와 그를 죽이려는 악당 )

4. 예시



5. 패러디



6. 관련 문서



[1] 정확히는 플래그 계통 전체를 총칭하는 표현. '해치웠나?!' 같은 부활 플래그도 포함하고 있다. 물론 발원지가 발원지인 만큼 오타쿠들 사이에선 Death Flag라고 말해도 의미는 통한다.[2] 더불어서 쓸데없이 용자짓 하는 캐릭터 역시 끔살이다. 예를 들어 확인하고 올테니 이곳에 꼼짝말고 있으라며 혼자 나서는 남성 등장인물이 그 예.[3] 물론 이건 살인마가 무슨 뛰어난 도덕의식이 있다거나 성현군자라서 그런건 절대 아니다. 그냥 무방비 상태라서 죽이기 쉬운 표적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섹스의 경우는 보통 살인마가 자신을 그렇게 만든 것에 대한 원인으로 부각되어 일종의 트라우마를 상징하는 설정으로 나오는 것이다.[4] 단 게임에서는 게이머 노력 여하에 따라 사망할 경우(왕게임이 대표적이다.)도 있다. [5] 전쟁영화에선 이 경우가 오히려 일반적인 클리셰이기도 하다. 죽은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살았더라는 식으로 감동 주기가 쉽다. 또한 개그 캐릭터들도 대체로 사망 플래그 대사를 연발하더라도 죽지 않는 모습들을 많이 보여주니... [6] 참고하자면, 이건 직역했을 때의 표현이며, 보통은 "과연 그럴까?" 혹은 "그러셔?" 정도의 뉘앙스를 가진 관용적 표현으로 더 많이 쓰인다.[7] 그 전에도 이 조종사 앞으로 검은 고양이가 지나간다든지, 거울이 깨진다던지, 별의별 징크스들이란 징크스들은 다 나온다.[8] 오죽하면 이승탈출 넘버원이라고 불릴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