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고등학교
1. 개요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강남 8학군 남녀공학 공립 고등학교. 서초구에 있는 고등학교 중 가장 작은 학교다.
상위권과 하위권의 격차가 극심하다. 상위권은 모의고사 1등급도 내신은 3등급정도 나올 정도. 내신 1점대에서 2점대 초반까지의 경쟁이 치열하다.
전통적으로 영어가 어려우며 단어를 잘 알아야 한다. 수학은 문과 한정으로 쉬웠...지만 최근 급격히 어려워지는 추세다. 국어또한 경쟁이 심하다는 평을 듣는다.
2. 역사
2.1. 학교 연혁
- 1984년 1월 12일: 서초여자고등학교 설립인가(36학급)
- 1984년 4월 18일: 개교식 거행
- 1985년 2월 15일: 서초고등학교로 개편
- 1987년 12월 31일: 대입 학력고사 전국 수석 배출
- 2002년 9월 30일: 정보화센터 및 체육관 준공
- 2016년 2월 5일: 제30회 졸업식(392명, 총 16,306명)
- 2019년 2월: 제33회 졸업식(365명)
- 2019년 3월: 제36회 입학식(282명)
3. 교훈 및 상징
교훈 및 상징
3.1. 교육목표
교육목표
3.2. 교가
서초고등학교 교가 듣기'''서초고등학교 교가'''
김영의 작사, 신귀복 작곡
1절. 소망의 꽃봉오리 가슴에 새겨
저마다 높은 꿈이 만발하도록
지성의 전당에서 배움을 쌓아
슬기롭고 아름다운 우리들되자
2절. 상서로운 꽃무지개 서려 있는 곳
저마다 색색의 꿈 열매 맺도록
사랑의 전당에서 굳센 의지로
바르고 성실한 우리들되자
후렴. 세계로 뻗어나갈 대한의 얼을
키우고 가꾸어갈 꽃마을 동산
드높은 내 기상 널리 퍼지는
아아 자랑의 서초고교
1학년 1학기 음악 가창시험 때 교가를 보는 경우도 있다...
특이사항으로는 아침마다 틀어준다.
3.3. 교복
1. 하복
남자: 상의 - 하늘색의 반팔 와이셔츠 / 하의 - 회색 바지
여자: 상의 - 하얀색의 반팔 와이셔츠 / 하의 - 회색 치마
2. 생활복
남녀 공통: 상의 - 남색 반팔
남자: 하의 - 회색의 긴/짧은 교복 바지
여자: 하의 - 스타킹(자유)에 회색 치마
은근 체육복 바지를 입고 다니는 여학생도 많다. 치마 길이나 통은 자유롭지만, 여름 기간에 단속이 심해진다.
3. 동복
남녀 공통: 상의 - 진회색 자켓, 회색 가디건, 회색 조끼, 흰색 와이셔츠. 와이셔츠는 필수이고 그 위에 자켓/가디건/조끼 중 하나 이상을 입어야 한다.
공식적인 넥타이는 없지만 허용된다. 주로 남색과 빨간색 넥타이를 많이 하고 다닌다.
남자: 하의 - 회색의 긴바지
여자: 하의 - 스타킹(자유)에 초록색과 회색, 진청록색의 체크무늬 치마
2019년 기준으로 하의 남녀 구분 규정이 없어져 여학생도 바지를 입을 수 있게 되었다.
2017년 33대 학생회부터 가을 기간동안 동/하복 혼용 착용이 가능하다. 겨울에 패딩을 입으려면, 반드시 내부에 마이를 입어야한다. 이 규정은 개정되어 패딩 안에 자켓/가디건/조끼 중 하나를 입어도 된다
2018년 34대 학생부회장의 공약으로 진회색 야구잠바가 만들어졌다. 야구잠바 내부에는 자켓을 입지 않아도 된다.
2019년 35대 학생회장의 공약인 편한교복 만들기 사업으로 (기모)후드티가 만들어졌다. 등교 시에도 교복을 대신하여 입을 수 있으며, 하의는 교복을 입어야한다.
체육복: 2018년 1학년부터 학교 지정 체육복이 없어지고, 사복으로 대체되었다. 즉, 체육시간에 편한 사복을 입으면 된다. 그러나 후드 같이 체육 활동에 방해가 되는 옷은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2020년에 체육복이 다시 만들어질 것이라는 소문이 있다
서초고의 교복은 예쁘다고 평가받는 편이다. 실제로 교복이 예뻐서 서초고에 호감을 갖고 지망하는 학생들도 꽤 많다.
4. 학교 특징
1학년: 2019년 기준으로 1~4반(한문반)은 성비가 대략 1.2대1로 여자가 조금 더 많지만 5~11반(기술가정반)은 성비가 1:1로 비슷하다.
2학년: 문과는 성비가 보통 1.5대1로 여자가 더욱 많다. 간혹 2대1의 성비를 보이는 반도 있다. 이과는 1대1.5정도로 남자가 더 많다.
5. 학교 생활
5.1. 주요 행사
서리풀 축제(2학기 초): 서초고등학교의 가장 큰 행사이다. 동아리 활동으로 분류되며, 전시/체험 부스를 운영하는 동아리와 공연을 하는 동아리, 그리고 둘 다 하지 않는 동아리로 나뉜다. 둘 다 하지 않는 동아리의 부원들은 이 날 일정 개수 이상의 동아리에서 부스 체험 확인 도장을 받아야 출석이 인정된다. 이후 부스 운영과 공연을 한 동아리 중에 우수한 활동을 한 동아리를 선출하여 상을 준다(생기부 동아리 활동에 들어감). 하지만 가장 큰 행사임에도 불구하고 6시에 마감이라 많은 부스가 5시에 끝난다. 평일에 개최되므로 거의 자축이다.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버스 노선
6.1.1. 서초고후문
-하교 시간에는 서울고를 거쳐서 오기 때문에 서울고, 상문고 학생들이 버스에 가득차서 서초고 학생들은 못 타는 경우가 많다. [1] 사람이 많을 때는 서초고 후문에 아예 정차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가까운 서초역 4번 출구 버스정류장에서 기다리는 게 더 현명하다.
6.1.2. 서초동삼성아파트
6.1.3. 서초역
- 서울 버스 740
- 서울 버스 751
- 수원 버스 3000
- 수원 버스 3003
- 안산 버스 3100
- 안산 버스 3101
- 안산 버스 3102
- 시흥 버스 3200
- 시흥 버스 3300
- 시흥 버스 3400
- 경기광주 버스 6501
- 인천 버스 9100
- 인천 버스 9200
- 인천 버스 9201
- 인천 버스 9300
- 광역급행버스 M5443
- 광역급행버스 M6405
- 광역급행버스 M6410
- 광역급행버스 M6439
6.2. 철도
7. 출신 인물
- 강성연
- 김준욱
- 라이머
- 박준석
- 송혜령
- 예빈(DIA)
- 옥소리
- 이보라미
- 이석철
- 이승현
- 이은성
- 이재욱
- 이정우
- 이종미
- 장기하
- 정사강
- 조희봉
- 차태현
- 최지은(블링블링)
- 최배영
- 최백준
- 최정원
- 허은
- 황이나
8. 기타
[1] 모의고사처럼 시간이 완전 겹치는 날엔 두 대가 그냥 지나가는 일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