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회의원 목록
2. 최근 선거 결과
'''21대 총선 세종특별자치시 개표 결과'''
|
'''국회의원 선거'''
|
'''정당'''
|
|
| 격차
| 투표율
|
'''의석수/비례1위'''
| '''2석'''
| 0석
| -
| -
|
'''득표수 (득표율)'''
| '''101,949 (57.12%)'''[1]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105,407표 (59.07%).
| '''63,991 (35.85%)'''
| '''+ 37,958 (△21.27)'''
| '''180,401 (68.50%)'''
|
'''세종시 갑'''
| 55,947 (56.45%)[2]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59,405표 (59.94%).
| '''32,496 (32.79%)'''
| + 23,451 (△23.66)
| 100,062 (70.44%)
|
'''세종시 을'''
| 46,002 (57.96%)
| '''31,495 (39.68%)'''
| + 14,507 (△18.28)
| 80,339 (66.22%)
|
'''국회의원 선거 (세종시 갑)'''
|
'''정당'''
|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홍성국'''
| 김중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55,947 (56.45%)'''
| '''32,496 (32.79%)'''
| '''+ 23,451 (△23.66)'''
| '''100,062 (70.44%)'''
|
'''한솔동'''
| 57.83%
| 28.98%
| '''△29.75'''
| '''74.14'''
|
'''도담동'''
| 56.00%
| 31.49%
| △24.51
| 69.45
|
'''보람동'''
| 57.39%
| 30.98%
| △26.41
| 70.58
|
'''새롬동'''
| 57.58%
| 31.59%
| △25.98
| 65.37
|
'''대평동'''
| 54.72%
| 33.35%
| △21.37
| 70.88
|
'''소담동'''
| '''58.53%'''
| 30.80%
| △27.73
| 67.06
|
'''부강면'''
| 44.42%
| 47.96%
| ▼3.54
| 59.36
|
'''금남면'''
| 40.47%
| '''51.49%'''
| ▼11.02
| 62.33
|
'''장군면'''
| 47.44%
| 45.47%
| △1.96
| 55.11
|
'''후보'''
| '''홍성국'''
| 김중로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8.32%
| 38.27%
| △10.05
|
|
'''관외사전투표'''
| 61.34%
| 29.43%
| △31.90
|
|
'''재외투표'''
| 66.12%
| 28.22%
| △37.90
|
|
'''국회의원 선거 (세종시 을)'''
|
'''정당'''
|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강준현'''
| 김병준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46,002 (57.96%)'''
| '''31,495 (39.68%)'''
| '''+ 14,507 (△18.28)'''
| '''80,339 (66.22%)'''
|
'''아름동'''
| '''67.42%'''
| 30.88%
| '''△36.54'''
| '''73.82'''
|
'''종촌동'''
| 63.39%
| 34.76%
| △28.63
| 70.37
|
'''고운동'''
| 61.89%
| 36.33%
| △25.56
| 64.42
|
'''조치원읍'''
| 51.07%
| 46.14%
| △4.92
| 56.00
|
'''연기면'''
| 54.01%
| 42.27%
| △11.74
| 64.19
|
'''연동면'''
| 43.75%
| 53.10%
| ▼9.35
| 60.15
|
'''전의면'''
| 43.18%
| 53.85%
| ▼10.67
| 58.02
|
'''전동면'''
| 40.39%
| '''56.62%'''
| ▼16.23
| 56.90
|
'''소정면'''
| 40.80%
| 55.62%
| ▼14.82
| 58.59
|
'''연서면'''
| 51.33%
| 45.69%
| △5.64
| 62.50
|
'''후보'''
| '''강준현'''
| 김병준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8.08%
| 42.07%
| △6.01
|
|
'''관외사전투표'''
| 63.28%
| 34.13%
| △29.15
|
|
'''재외투표'''
| 70.40%
| 29.59%
| △40.82
|
|
'''비례대표 선거'''
|
'''정당'''
|
|
|
|
|
| 격차
| 투표율
|
'''득표수 (득표율)'''
| '''63,761 (36.53%)'''
| '''44,642 (25.57%)'''
| '''21,423 (12.27%)'''
| '''16,097 (9.22%)'''
| '''12,780 (7.32%)'''
| '''- 10,026 (▼5.28)'''
| '''196,457 (69.26%)'''
|
'''한솔동'''
| 38.42%
| 20.31%
| 13.88%
| 10.76%
| 9.07%
| △18.12
| '''74.14'''
|
'''도담동'''
| 35.96%
| 22.52%
| 14.01%
| 11.10%
| 7.99%
| △13.44
| 69.45
|
'''아름동'''
| '''40.33%'''
| 18.62%
| 14.69%
| 10.27%
| 8.92%
| '''△21.71'''
| 73.82
|
'''종촌동'''
| 38.71%
| 21.74%
| 12.46%
| 10.32%
| 8.26%
| △16.96
| 70.37
|
'''고운동'''
| 39.79%
| 22.49%
| 12.28%
| 9.32%
| 7.51%
| △17.30
| 64.42
|
'''보람동'''
| 37.66%
| 22.13%
| 13.75%
| 11.57%
| 7.78%
| △15.53
| 70.58
|
'''새롬동'''
| 37.47%
| 23.11%
| 13.44%
| 11.42%
| 7.78%
| △14.35
| 65.38
|
'''대평동'''
| 34.99%
| 24.66%
| 13.50%
| 10.28%
| 8.16%
| △10.33
| 70.87
|
'''소담동'''
| 37.73%
| 22.06%
| 14.26%
| 10.94%
| 7.49%
| △15.67
| 67.06
|
'''조치원읍'''
| 33.82%
| 34.05%
| 8.86%
| 6.67%
| 4.79%
| ▼0.23
| 56.02
|
'''연기면'''
| 33.45%
| 33.57%
| 8.24%
| 5.69%
| 6.40%
| ▼0.12
| 64.19
|
'''연동면'''
| 29.94%
| 43.19%
| 6.99%
| 4.28%
| 3.08%
| ▼13.24
| 60.15
|
'''부강면'''
| 30.50%
| 38.55%
| 9.13%
| 5.53%
| 3.94%
| ▼8.05
| 59.36
|
'''금남면'''
| 28.29%
| 40.35%
| 9.33%
| 5.04%
| 4.06%
| ▼12.06
| 62.33
|
'''전의면'''
| 28.67%
| 41.69%
| 7.05%
| 3.97%
| 4.30%
| ▼13.02
| 58.02
|
'''전동면'''
| 28.64%
| 42.88%
| 6.81%
| 4.57%
| 3.23%
| ▼14.24
| 56.90
|
'''소정면'''
| 24.95%
| '''43.48%'''
| 7.63%
| 4.71%
| 2.65%
| ▼18.52
| 58.59
|
'''장군면'''
| 31.44%
| 35.94%
| 9.79%
| 5.00%
| 5.47%
| ▼4.49
| 55.09
|
'''연서면'''
| 34.07%
| 34.99%
| 8.14%
| 4.39%
| 5.23%
| ▼0.92
| 62.50
|
'''정당'''
| '''더불어시민당'''
| 미래한국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4.86%
| 24.59%
| 8.91%
| 7.83%
| 3.24%
| △10.27
|
|
'''관외사전투표'''
| 37.87%
| 23.01%
| 12.75%
| 8.42%
| 8.63%
| △14.86
|
|
'''재외투표'''
| 32.21%
| 20.19%
| 13.94%
| 8.65%
| 19.71%
| ▼12.02
|
|
'''세종특별자치시 개표 결과 (자치단체장)'''
|
'''세종특별자치시장'''
|
'''정당'''
|
|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이춘희'''
| 송아영
| 허철회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96,896 (71.30%)'''
| '''24,546 (18.06%)'''
| '''14,444 (10.62%)'''
| '''+ 72,350 (△53.24)'''
| '''61.75%'''
|
'''동 지역'''
| '''75.08%'''
| '''13.10%'''
| '''11.81%'''
| '''△61.98'''
| '''61.10%'''
|
한솔동
| 75.95%
| 12.64%
| 11.40%
| '''△63.31'''
| 63.96
|
도담동
| 72.46%
| 15.75%
| 11.77%
| '''△56.71'''
| 60.07
|
아름동
| '''77.44%'''
| 11.86%
| 10.69%
| '''△65.59'''
| '''64.94'''
|
종촌동
| 74.62%
| 13.96%
| 11.41%
| '''△68.72'''
| 60.75
|
고운동
| 74.94%
| 12.27%
| 12.78%
| '''△62.16'''
| 58.20
|
보람동
| 74.67%
| 12.39%
| 12.93%
| '''△62.28'''
| 62.07
|
새롬동
| 76.20%
| 12.34%
| 11.44%
| '''△63.86'''
| 59.57
|
'''읍 지역'''
| '''63.29%'''
| '''27.69%'''
| '''9.00%'''
| '''△35.60'''
| '''51.70%'''
|
조치원읍
| 63.29%
| 27.69%
| 9.00%
| △35.60
| 51.70
|
'''면 지역'''
| '''61.01%'''
| '''30.06%'''
| '''8.91%'''
| '''△30.94'''
| '''51.95%'''
|
연기면
| 61.80%
| 29.82%
| 8.36%
| △31.98
| 50.89
|
연동면
| 61.32%
| 30.31%
| 8.35%
| △31.01
| 52.52
|
연서면
| 57.63%
| 35.17%
| 7.18%
| △22.47
| 53.70
|
금남면
| 56.98%
| 30.01%
| '''13.00%'''
| △26.97
| 54.93
|
전의면
| 58.14%
| 35.07%
| 6.77%
| △23.07
| 53.52
|
전동면
| 53.78%
| '''39.30%'''
| 6.91%
| △14.48
| 48.60
|
소정면
| 55.21%
| 36.86%
| 7.92%
| △18.35
| 52.01
|
부강면
| 61.65%
| 28.80%
| 9.54%
| △32.84
| 54.17
|
장군면
| 65.69%
| 26.52%
| 7.78%
| △39.18
| 45.36
|
'''후보'''
| '''이춘희'''
| 송아영
| 허철회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63.37%
| 25.10%
| 11.52%
| △38.27
|
|
관외사전투표
| 75.85%
| 14.87%
| 9.27%
| △60.98
|
|
'''세종특별자치시 개표 결과 (자치단체의원)'''
|
'''시의회의원'''
| '''비례대표'''
|
'''정당'''
|
|
|
|
|
|
|
'''의석/득표수'''
| '''17석'''
| 1석
| '''79,752 (59.01%)'''
| '''23,567 (17.43%)'''
| '''14,455 (10.69%)'''
| '''17,369 (12.85%)'''
|
'''동 지역'''
| 10
| 0
| 61.54%
| 12.46%
| 11.02%
| 14.96%
|
'''읍 지역'''
| 3
| 0
| 54.77%
| 25.55%
| 10.25%
| 9.41%
|
'''면 지역'''
| 3
| 0
| 48.29%
| 32.99%
| 10.87%
| 7.84%
|
'''지역구 합'''
| '''16석'''
| 0
| '''1석 (59.01%)'''
| '''1석 (17.43%)'''
| '''0석 (10.69%)'''
| '''0석 (12.85%)'''
|
'''세종특별자치시 개표 결과 (교육감)'''
|
'''세종교육감'''
|
'''후보'''
| '''최교진'''
| 송명석
| 최태호
| 격차
| 투표율
|
'''득표수 (득표율)'''
| '''64,207 (50.07%)'''
| '''23,417 (18.26%)'''
| '''40,589 (31.65%)'''
| '''+ 23,618 (△18.42)'''
| '''61.74%'''
|
'''동 지역'''
| 49.82%
| 18.36%
| 31.80%
| △18.01
| 61.12
|
'''읍 지역'''
| 51.42%
| 14.64%
| 33.92%
| △17.51
| 51.70
|
'''면 지역'''
| 47.93%
| 17.95%
| 34.10%
| △13.83
| 52.21
|
'''세종특별자치시 개표 결과'''
|
'''정당'''
|
|
|
|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득표수 (득표율)'''
| '''77,767 (51.08%)'''
| 23,211 (15.24%)
| 32,010 (21.02%)
| 9,192 (6.03%)
| 9,353 (6.14%)
|
'''동 지역'''
| '''57.66%'''
| '''9.84%'''
| '''20.17%'''
| '''6.24%'''
| '''5.82%'''
|
한솔동
| 59.91%
| 9.13%
| 19.18%
| 5.93%
| 5.56%
|
도담동
| 55.88%
| 10.78%
| 20.26%
| '''7.01%'''
| 5.83%
|
아름동
| '''60.29%'''
| 8.72%
| 18.95%
| 6.12%
| 5.64%
|
종촌동
| 57.24%
| 10.31%
| 20.02%
| 6.20%
| 5.91%
|
고운동
| 56.34%
| 10.03%
| 21.44%
| 5.74%
| 6.13%
|
보람동
| 56.86%
| 9.55%
| 21.33%
| 6.17%
| 5.78%
|
'''읍 지역'''
| '''43.14%'''
| '''21.63%'''
| '''22.80%'''
| '''5.27%'''
| '''6.68%'''
|
조치원읍
| 43.14%
| 21.63%
| 22.80%
| 5.27%
| '''6.68%'''
|
'''면 지역'''
| '''37.01%'''
| '''28.42%'''
| '''24.06%'''
| '''4.46%'''
| '''5.11%'''
|
연기면
| 42.17%
| 21.81%
| 24.75%
| 4.92%
| 5.56%
|
연동면
| 31.92%
| 32.93%
| 24.64%
| 3.93%
| 5.10%
|
연서면
| 40.17%
| 26.48%
| 23.59%
| 4.33%
| 4.66%
|
금남면
| 37.56%
| 27.45%
| 25.16%
| 4.17%
| 4.75%
|
전의면
| 32.83%
| 31.24%
| '''25.92%'''
| 3.83%
| 5.15%
|
전동면
| 33.24%
| '''33.38%'''
| 24.52%
| 3.97%
| 3.63%
|
소정면
| 31.62%
| 33.16%
| 22.04%
| 5.40%
| 6.62%
|
부강면
| 37.75%
| 27.18%
| 22.85%
| 5.46%
| 6.02%
|
장군면
| 40.56%
| 26.68%
| 22.09%
| 4.55%
| 5.25%
|
'''관외지역'''
| '''53.34%'''
| '''11.77%'''
| '''18.73%'''
| '''7.85%'''
| '''7.79%'''
|
거소·선상투표
| 40.90%
| 14.89%
| 25.30%
| 8.75%
| 4.26%
|
관외사전투표
| 52.95%
| 12.03%
| 18.84%
| 8.00%
| 7.75%
|
재외투표
| '''68.13'''%
| 4.19%
| 13.28%
| 3.88%
| 10.21%
|
2.4. 세부 내용
'''2012년 18대 대선/2017년 19대 대선 권역별 득표율 비교'''
|
'''범진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 '''중도''' (국민의당)
| '''범보수''' (자유한국당, 바른정당)
|
'''선거'''
| '''18대 대선''' (문재인)
| '''19대 대선''' (문재인+심상정)
| '''증감률'''
| '''19대 대선''' (안철수)
| '''18대 대선''' (박근혜)
| '''19대 대선''' (홍준표+유승민)
| '''증감률'''
| '''격차'''
|
'''득표율'''
| '''30,787 (47.58%)'''
| '''87,120 (57.22%)'''
| '''+ 56,333 {△9.64}'''
| '''32,010 (21.02%)'''
| '''33,587 (51.91%)'''
| '''32,403 (21.28%)'''
| '''- 1,184 {▼30.63}'''
| '''+35.94'''
|
'''동 지역'''[9] 행정신도시(한솔동, 도담동, 아름동, 종촌동, 고운동, 보람동)
| 68.27%
| 63.48%
| ▼4.79
| 20.17%
| 31.49%
| 16.08%
| ▼15.41
| +43.31
|
'''읍 지역'''[10]
| 49.16%
| 49.82%
| △0.66
| 22.80%
| 50.55%
| 26.90%
| ▼23.65
| +22.92
|
'''면 지역'''[11] 연기면, 연동면, 연서면, 금남면, 전의면, 전동면, 소정면, 장군면, 부강면
| 40.29%
| 42.12%
| △1.83
| 24.06%
| 59.11%
| 32.88%
| ▼26.23
| +9.24
|
'''관외투표'''[12]
| 53.06%
| 61.13%
| △8.07
| 18.73%
| 45.00%
| 19.62%
| ▼25.38
| +41.51
|
甲
| 한솔동, 새롬동, 도담동, 소담동, 보람동, 대평동, 다정동, 부강면, 금남면, 장군면
|
乙
| 아름동, 종촌동, 고운동, 연기면, 연동면, 연서면, 전의면, 전동면, 소정면, 조치원읍
|
-1
||<-10> '''세종특별자치시 국회의원''' ||
|| 대덕군·연기군 |||| 연기군 ||<-3> 공주시·연기군 ||||<-4> 세종특별자치시 ||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21대 ||
||<|2> [[이인구]]/초선[br][[신민주공화당]] ||<|2> [[박희부]]/초선[br][[통일국민당]] ||<|2> [[김고성]]/초선[br][[자유민주연합]] ||<|2> [[정진석]]/초선[br][[자유민주연합]] || --[[오시덕]]/초선--[* 05.1.27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br]--[[열린우리당]]-- ||<|2> [[심대평]]/재선[br][[자유선진당]] ||<|2> [[이해찬]]/6선[br][[민주통합당]] ||<|2> [[이해찬]]/7선[br]무소속 || [[세종특별자치시 갑|갑]] || [[홍성국]]/초선[br][[더불어민주당]] ||
|| [[정진석]]/재선[* 05.4.30 재보궐선거][br]무소속 || [[세종특별자치시 을|을]] || [[강준현]]/초선[br][[더불어민주당]] ||
3. 설명
원래 이 지역(舊 충남 연기군)은 2000년대만 해도 다른 충남지역과 같이 자유민주연합-자유선진당[13] 충남권에선 그럭저럭 강세를 보였지만 충북권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재미를 못 봤다. 충북권이 경기도, 강원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등 유난히 여러 지역들과 인접해 있어 충청도에 대한 소속감이 충남권에 비해 약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으로 대표되는 충청도 지역정당의 세가 강한 편이었고 실제로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직전에는 군수와 국회의원 모두 자유선진당 소속이었다.
그러나 2010년대 들어 자유선진당이 점점 지역세를 잃으면서 변화가 생기는데, 2012년 19대 총선에서 이곳에 출마한 지역 거물 정치인인 자유선진당 심대평 후보가 민주통합당에서 전략공천한 이해찬 전 총리에게 비교적 큰 표차로 밀려 낙선하고 만다. 심지어 2위인 심대평 후보와 3위인 새누리당 신진 후보의 득표율을 더해도 이해찬 후보의 득표율에 살짝 못 미쳤을 정도. 이렇게 이해찬 의원이 압승을 거둔 것은 그가 참여정부 재직 당시 실질적으로 이 세종시라는 행정중심복합도시를 '''기획, 설계한 장본인'''이었던데다가 충남 청양군 출신이라서 충청도라는 지역적인 연고도 어느 정도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평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결국 19대 총선이 끝난 몇 개월 뒤인 2012년 10월 자유선진당은 새누리당에 합당되면서 그 발자취를 다하고 만다.
다만 국회의원 선거과 동시에 치뤄진 세종특별자치시장 선거의 경우 당시 연기군수로 재임하던 자유선진당 유한식 후보가 민주통합당 이춘희 후보에 4.4%차 신승을 거둬 초대 세종특별자치시장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다시 나온 이춘희 후보가 '''15.6%차로 압승을 거두면서 설욕한다'''. 이춘희 시장의 경우 전북 고창군 출신으로 지역적 연고는 없으나, 행정고시 합격 후 주로 토목 관련 부서에서 근무해왔고 2006년에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을 지낸 경력이 강점으로 작용했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거의 전국 평균과 근접한 결과가 나왔는데, 박근혜 후보(51.9%, 33,587표)가 3천표라는 근소한 차이로 문재인 후보(47.6%, 30,787표)를 누르고 승리했다. 참고로 세종시 투표자수는 약 6만 5천명. 첫마을인 한솔동에서는 문재인 후보쪽으로 몰표(68.27%, 호남을 제외한 전국 동/면 중 1위)가 쏟아졌으나 이 곳을 제외한 모든 읍면에서 박근혜 후보가 우세했다. 당시 가장 거주인구 수가 많던 조치원읍에서는 박근혜 후보가 1.4%차이로 문재인 후보에 앞섰다. 박근혜, 문재인 후보가 앞선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세종특별자치시 박근혜 33,587표 > 문재인 30,787표[14]
주로 노인층 인구가 많은 읍면과 청장년층 인구가 많은 동 지역이 대비되고 있다.
- 박근혜 : 조치원읍, 연기면, 연동면, 부강면, 금남면, 장군면, 연서면, 전의면, 전동면, 소정면 (1읍 9면)
- 문재인 : 한솔동, 국내부재자, 재외투표(1동 + 국내부재자 + 재외투표)
문재인 후보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첫마을인 한솔동 단 한 곳에서 앞섰지만 여기서 무려 3000표차(...)가 나면서 순식간에 따라붙을 수 있었다. 이 지역은 특성상 국내부재자나 재외투표가 그렇게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지역이라서... 세종특별자치시에서 박근혜, 문재인 두 후보가 접전 양상을 보인 까닭은 양 후보 모두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에 연관이 깊은 후보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문재인 후보는 세종특별자치시의 출범을 계획했던 참여정부의 핵심 인사였고, 박근혜 후보는 MB정부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세종시 수정안을 결사반대하고, 행정복합도시 계획의 원안을 강하게 주장했던 인물이다. 따라서, 18대 대선에서 세종시민들은 양 후보에 대한 호불호 감정보다는 본인의 정치 성향이나 공약 등에 따라 투표를 했을 가능성이 높다.
행정중심복합도시가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상태인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지지부진한 개발문제와 함께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애도기간 중 유한식 시장의 폭탄주로 물의를 빚고 박근혜 대통령의 관피아 척결 발언으로 공무원들의 어그로를 끌어 유한식 시장에게 타격을 입혔다. 이로 인해 젊은 층 공무원들이 몰린 한솔동 등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이춘희 후보에게 물표가 쏟아져 나오고 조치원에서도 이춘희 후보가 앞서면서 이춘희 후보가 당선되었고, 함께 치뤄진 교육감 선거도 진보교육감이 당선되었고, 시의회도 8:5로 새정치민주연합이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2016년 치뤄진 20대 총선에서도 더불어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한 이해찬 의원이 무소속으로 출마해 비교적 여유있게 당선되었고, 다시 더불어민주당으로 복당 신청을 해 동년 9월 복당되었다.
미국의 워싱턴 D.C.의 사례를 보아 이 지역에도 민주당 성향이 강해질 것으로 예측되었고, 실제로 그 결과가 19대 대선에서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문재인 후보 득표율이 무려 과반을 기록했는데 이는 호남 지역을 제외하면 전국 광역단체 중 유일하다. 세종시는 공무원들의 도시로 볼 수 있는데 자유한국당 계열은 공무원 연금개혁, 성과연봉제 등 공무원 개혁에 적극적인 반면 더불어민주당 계열은 공무원의 증원 및 복지 확대 등에 우호적인 스탠스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민주당계 정당의 압도적인 우세가 예상되는 지역이다. 실제로 7회 지방선거에서는 민주당의 이춘희 시장이 70%가 넘는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고, 시의회는 민주당이 지역구에서 전승하며 '''17:1'''로 압승했다.[15] 당시 자유한국당은 그나마 비례대표로 1석을 건졌다.
이후 이 지역의 제20대 국회의원인 이해찬이 제21대 총선에서 불출마할 것을 자당 전당대회 준비중에 선언하면서 민주당에서 누가 그의 뒤를 이어 해당 총선에 출마할지[16] 다만 이해찬 본인은 20대 총선 당시에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했었다.
가 주목되었고, 지속적인 인구 증가세로 인해 제21대 총선에서는 선거구가 두 개로 갈라지게 되었다. 그리고 선거 전 예상대로 2곳 모두 더불어민주당이 낙승하였다. 특히 읍면지역이 대거 포함된 세종 을의 경우, 미래통합당에서 참여정부 출신인 김병준 전 비대위원장을 공천했음에도 20%P 가까운 격차를 보이며 낙선했다. 비례대표 투표의 경우 중노년층이 많은 읍면지역과 청장년층이 많은 동지역의 표심이 뚜렷하게 대비되는 양상을 보였다.
4. 역대 세종특별자치시 선거 결과
역대 1위 횟수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충청도계 정당
| 무소속
|
1
| '''5'''
| 1
| 1
|
[17][18] 제 3후보는 선거비 보존 득표율(15%)이상의 결과만 반영
역대 선거
| 1위
| 2위, 3위
|
2012년 시장선거
| '''유한식 41.7%'''
| '''이춘희 37.3%'''
| '''최민호 20.9%'''
|
2012년 총선
| '''민주통합당 1석'''
| '''없음'''
|
2012년 대선
| '''박근혜 51.9%'''
| '''문재인 47.6%'''
|
2014년 지선
| '''이춘희 57.8%'''
| '''유한식 42.2%'''
|
2016년 총선
| '''무소속 1석'''
| '''없음'''
|
2017년 대선
| '''문재인 51.1%'''
| '''안철수 21.0%'''
| '''홍준표 15.2%'''
|
2018년 지선
| '''이춘희 71.3%'''
| '''송아영 18.1%'''
|
2020년 총선
| '''더불어민주당 2석'''
|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