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 버스 510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시흥교통에서 운행했던 시내버스 노선이며 왕복 운행거리는 78.4km다.
3. 역사
- 2005년, 여의도환승센터 개통 이후, 영등포역에서 여의도까지 연장되었다.
- 2006년 3월 6일에 일반좌석버스로 형간전환되면서 현재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기사 당초에는 월곶을 들르지 않고[3] 이마트에서 방산동까지는 737번 시외버스와 동일하게(오이도역 미경유), 은행단지 서해아파트 경유로 변경하려 했으나 각 지역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하여 이런 노선이 되었다. 특히 오이도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비슷한 노선을 운행하는 1번보다 굴곡이 약간 더 생겼다. 은행단지 구간도 현재와 다른 경로(상행 : 신천연합병원 → 비둘기공원로 → 대은로 → 은행단지(시흥교회→우성아파트→늘푸른벽산→신명아파트→성원아파트) → 계수로 수노골[4] / 하행 : 계수로 수노골 → 은행단지(신명아파트→은행초등학교→성원아파트→시흥교회→우성아파트→늘푸른벽산) → 대은로 → 비둘기공원로 → 신천연합병원)로 운행되었다가 얼마 못가 현재의 운행경로로 바뀐 것이다.
- 2008년 12월, 일반시내버스로 또다시 형간전환되었다.
- 2016년 7월 6일에 '시화유통상가 - 시화터미널' 구간이 연장되었다. 시흥교통 공지사항
4. 특징
- 정왕동에서 광명 구간까지 비슷한 노선인 1번과 광명에서 여의도 구간까지 비슷한 노선인 11-1번은 입석으로 발 디딜 틈이 없는데 비해 이 노선은 동시간대에 자리가 남아 돌기까지 한다.[5] 이런 배차간격을 유지하는 건 무엇보다도 서울특별시가 경인로의 교통 체증으로 반대를 하기 때문이다. 증차를 시도하지만 경인로의 교통 정체때문에 매번 퇴짜를 맞는 등 여러모로 좋지 않은 편이다. 게다가 간신히 증차 허가를 받아낸 2대는 530번 신설에 사용되었다.
- 좌석형 차량에는 모두 전좌석에 안전띠가 설치되어 있지만, 거의 모든 차량의 안전띠가 좌석 밑에 채워져 있고 케이블 타이로 묶여 있어 실제 착용은 불가능하다. 심지어 5602번에서 쓰다 넘어온 차량 조차도 멀쩡했던 안전띠를 죄다 의자 밑으로 채워 놓는것도 모자라서 케이블 타이로 묶어놓았다. 이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21조 제6항 위반이다.
- 여의도환승센터에서 대기할 경우 정류소 초입에서 하차시킨다. 이 경우 주변 차량에 주의해야 한다.[6]
- 여의도에서 대기할 때 운전자들이 화장실에 다녀오는 경우가 있다. 여의도환승센터 인근 모 빌딩 또는 여의도공원 화장실을 이용하는데[7] , 후자의 경우 문을 열어 놓고 가기도 한다. 이 경우 몰래 탔다가 걸리면 불이익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 여의도공원은 같은 경로로 회차하는 301번, 320번과 달리 정차하지 않는 정류장이다.
- 2014년 8월 19일부터 기본요금제 노선으로 전환되었다. 그래서 환승을 하지 않은 경우 기점에서 종점까지 풀코스로 가도 하차태그시 추가요금이 없다.
- 은행단지 일방통행순환 구간, 오이도역환승센터 정류장에서는 방향판을 잘 보고 타야 한다. 특히 은행단지 일방통행순환 구간의 경우 시화 방면으로 우성아파트.은행교회와 은계초등학교.사랑스러운교회 정류장에는 한 방향에 두 번 정차한다. 운이 좋으면 놓쳤던 버스를 그 자리에서 탈 수도 있다는 얘기.
5.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 기준이다.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개봉역, 구일역[9] , 구로역, 신도림역, 영등포역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
- [image] 수도권 전철 4호선: 오이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여의도역
- [image] 서울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
- [image] 서울 지하철 9호선: 여의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오이도역, 월곶역
- [image] 수도권 전철 서해선: 신천역
- 일반 철도역: 영등포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1] 실제로는 평일 8대, 토요일 / 공휴일 6대 운행[2] 수요 부족의 여파로, 한때 평일만 운행하기도 하였다. 아무래도 광명행 노선이나 신도림,영등포행 노선의 경우 대체 노선이 자주 다니고 요금도 저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3] 서해안로 변에 있는 월곶입구 정류소는 정차했었다.[4] 現 우미린레이크 정류소[5] 1번의 경우 이마트 정류소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정왕동 서해아파트 구간과 과림슈퍼~광명6동삼거리 정류장을 제외하고 노선이 완전히 겹치며, 11-1번의 경우 광명사거리역~구일역 사이 경유 구간은 다르지만, 구일역부터 여의도까지는 완전히 겹친다.[6] 여의도환승센터가 회차인 시흥, 안산시 버스가 다 이런식인데(11-1번, 11-2번과 83번은 정석대로 하차), 530번은 이 때문에 서울시에 단속된 적이 있다.[7] 보통 여의도 P턴 구간을 돌고서 손님이 얼마 없을 때, 양해를 구하고 갔다 오는 편이다.[8] 일부 차량은 '정왕동'이라고 표기된 팻말을 사용.[9] 동양미래대학.구로성심병원 하차 후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