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Archive
1. 기록 보존소
1.1. 실제로 존재하는 아카이브
1.2. 각종 매체 속에 등장하는 아카이브
2. 학술문헌 업로드 서버
3. 동인지 작가
4. Archive (band)
5. 트위치의 스트리머


1. 기록 보존소


개인 및 단체가 활동하며, 남기는 수많은 기록물[1] 중 가치가 있는 것[2]을 선별하여 보관하는 장소, 또는 그 기록물 자체를 이르는 용어.
뭔가 복잡해 보이지만, 각종 관공서, 방송국, 회사, 병원 등의 기록물 보관실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예를 들어 병원을 가면, 과거 진료차트를 수배하여 찾아 보게 되는데, 이 진료차트가 보관되어 있는 기록보관실이 '''아카이브'''인 것이다. 오늘날엔 대부분의 기록물이 전산화되어 보존되어 있는데, 따라서 대부분의 기록 보관실이 전산열람실[3]과 같은 형태로 되어있다. 물론 일부 전산화가 되지 않은 관공서, 학교, 병원 등에선 아직도 기록물 보관 담당자(archivist)를 두고 있다. 흔히 사서(librarian)하고 많이 혼동하는데, 엄연히 다른 직업이다. 영구기록물 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에 이러한 담당자가 배치되어 있다.
언뜻 도서관과 비슷해 보이지만, 출판된 도서물을 분류, 보관, 대여하는 도서관과는 달리 이곳의 기록물들은 보통은 복사되거나 출판되지 않으며, 일종의 고유성을 지닌다. 또한 도서관의 장서는 희귀 장서 등이 아닌 이상은 분실 시 대체가 가능하지만, 이곳의 기록물은 대체가 불가능 하다. 도서관처럼 책장 같은 곳에 서류가 꽂혀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다수의 기록물 보관실은 서랍 형태의 수납구조를 선호하는 편이다. 경찰청의 증거물 보관실 등을 생각하면 이해가 빠르다. 또한 이미 전산화된 자료라 하더라도 그 원본자료의 '고유성'과 '손실시 대체 불가능' 정도가 매우 높을경우, 일반적인 사유로는 열람이 금지되는 경우도 있다. 모든 기록물은 결국 사람의 손이나 공기에 접촉되면 풍화되기 때문. 물론 그런 사유에서 좀 자유로운 현대의 자료라 하더라도 개인정보 유출이나 법적 근거에 따라 열람이 제한되는 경우도 있다.
먼 훗날, 그러니까 대략 수천년 후면 수많은 아카이브된 데이터 또한 귀중한 역사자료가 될 것이다.

1.1. 실제로 존재하는 아카이브


폐쇄된 위키의 하이퍼링크는 절대 누르지 말자. 사이트가 다 팔려서 성인 사이트Google의 사칭 사이트[4]에 연결되기도 한다.
공통적으로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페이지는 아카이브가 불가능하며 불가능한 사례로 국내야구 갤러리중세게임 마이너 갤러리의 글이 있다.
자신이 원하는 웹페이지를 회원가입이나 결제 없이 영구히 볼 수 있다. 자신이 원하는 페이지를 아카이브 할 수 있다.
Internet Archive는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자유로운 온라인 디지털 도서관을 구축하기 위해 만들어진 사이트이다. 인터넷 페이지를 포함해서 텍스트, 영상, 음성, 파일, 이미지를 올릴 수 있다. 근데 한 번 아카이브된 웹 사이트를 다시 아카이브하는데 제한이 있다. 여기서 Wayback Machine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어째서인지 일부 링크들은 종종 사라지기도 한다. 위의 'Web' 부분의 주소창에 찾고자 하는 페이지의 주소를 넣으면 지금까지 아카이브에 저장된 그 주소의 페이지를 나열한다. 자신이 원하는 페이지를 아카이브 할 수 있다.
정부 관서에서 생산된 기록을 이관하여 영구보존하는 기관. 대전, 부산, 성남 3곳에 기록관이 위치하고 있다.
서울시의 행정기록과 시민기록을 보존하는 영구보존기관으로 서울시 은평구 혁신파크 내에 위치해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서 운영중인 아카이브로 민주화운동 관련 기록을 기증받아 서비스하고있다.
자료의 보존과 연구를 위해 디지털 필름 아카이브를 설립, 영화 등의 영상자료를 수집 및 보존하고 있다.
여기도 어째보면 수많은 아카이브의 세계이지만[5], 수정이 쉽기 때문에 원형을 보존하기 힘들고 반달에 취약하다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아래 사이트로 진짜 아카이브화를 많이 시킨다.
엄밀히 얘기하자면 방송사에 보관된 방송자료의 상당수를 기업들이나 회원들을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공개해놓은 사이트다.
위의 두사이트와는 달리 유튜브에 사이트가 존재하여 접근성이 쉽다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를 시작해서 8~90대의 방송을 보여주는 사이트로 KBS에 보관된 아카이브 영상과 시청자가 기증한 아카이브 영상을 공개하고 있다. 짧은기간 이었지만 당시 유행한 애니메이션도 공개했다.
특이하게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데이터를 공유하므로, 한번 아카이브당하면 사실상 지울 방법이 없다[6]. (..)
일본의 아카이브 사이트로 웨이백머신과 기능은 동일하다
외국의 아카이브 사이트로 사용법은 여기를 참조할 것.


국내 및 해외 플래시를 수집하고 있는 국내 아카이브. 플러그인 설치 없이도 플래시 실행이 가능하다.
어도비 플래시 등으로 만들어진 웹 게임들과 애니메이션들을 수집하고 보존하는 프로젝트이다.

1.2. 각종 매체 속에 등장하는 아카이브


각종 창작물 속의 아카이브는 위의 기록물 보관소라는 개념보다는 세상의 모든 진리를 담고 있는 환상의 대도서관과 같은 곳으로 그려지기도 하지만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

  • 가면라이더 W - 지구의 책장
  • 겟 백커스 - 무한성의 상층부
  • 네크로노미콘 - 프로비던스 신문 사무소의 보관실
  • 도미네이션즈 - 스피드업과 같은 럭셔리 아이템을 보관소에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 소설 이름없는 자들의 도시의 배경이 되는 중앙등기소
  • 샤먼킹 - G.S(위대한 정신)[7]
  • 사이렌 시리즈 - 기록문서[8]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기사단 기록보관소
  • 신세계에서 - 유사 미노시로[9], 가짜 유사 미노시로
  • SCP 재단[10]
  • 메이플스토리 - 차원의 도서관[11]
  • 오버워치 기록보관소
  • 붕괴3rd - 진리의 열쇠[12]

2. 학술문헌 업로드 서버


학계에서 출판전 논문이 있을 때 이를 업로드하여 동료들에게 알리는 공간이다. 특히 물리학계에서 많이 사용한다.
아카이브의 사례로는 arXiv, viXra, SSRN(Social Science Research Network) 등이 있다.

3. 동인지 작가


주로 하야테처럼!, 기동전함 나데시코처럼 현재 약간 인기에서 빗겨나간 종류의 동인지를 그리고 있다. 컬러가 많으며, 모자이크나 검은 선이 심하지만 묘하게도 양덕이 나데시코 작품을 식질할 땐 그런 걸 최대한 없애고 식질한다.

4. Archive (band)


영국 런던에서 1994년 결성된 밴드. 단 영국보단 프랑스 쪽에서 보다 인기를 끄는 듯.
한글로 설명이 된 위키피디아 항목은 아직 없으며 이를 증명하려는 듯이 국내에서 이들은 거의 듣보잡 취급.
영문 위키 항목을 보더라도 장르가 트립합, 일렉트로니카 부터 시작해서 아방가르드, 포스트 록, 프로그레시브까지 아우르는 활동을 선보이고 있다. 매시브 어택과 비슷한 사운드로 출발했지만 이후 사운드가 바뀌었다.
고국인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권에서 상당한 입지를 다졌고 지금까지 9장의 정규앨범과 7장의 라이브앨범, 두 장의 DVD 타이틀을 비롯, 30장에 이르는 싱글들을 발표한 "만만찮은" 밴드이다.
현재 활동하는 멤버들 6명의 정보는 이름과 담당한 부분 뿐. 멤버 구성이 자주 바뀐 편이다.
2002년에 낸 16분짜리 싱글 Again이 최고 명곡 취급 받는다.
이 밴드의 노래 Bullets가 게임 사이버펑크 2077 트레일러에 사용되면서 유명해졌다.

5. 트위치의 스트리머




[1] 간단히 한 개인의 역사를 살펴보더라도, 출생 신고서 부터 사망 신고서까지 다양한 공적 기록물이 존재한다. 이외의 생활기록부, 진료 차트, 전과 기록 등 사적인 기록물까지 합치면 상당한 양이 될 것이다.[2] 가치에 대한 개념에서도 여러 이론이 존재한다. 대체로는 쉘렌버그의 1차, 2차적 가치 이론을 평가에서 채용하고 있는데, 1차적 가치는 업무적, 법적, 회계적 가치를 말하며, 2차적 가치는 본래는 의도하지 않았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형성된 가치로 정보적, 역사적 가치 등을 말한다.[3] 본래의 의미를 따지면, 기록물이 물리적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서버 보관실을 아카이브로 봐야겠지만, 관점에 따라선 이러한 보관물을 검색하고 찾을 수 있는 전산실 등을 아카이브로 보기도 한다.[4] 경품에 당첨되었다고 속이고 뒤로가기는 막힌다. 주소와 연락처를 내놓으라고 하는데 이런 짓은 절대 하면 안 된다. '''당신의 인생이 망가진다!'''[5] 편집 역사를 통해 이전 문서를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아카이브라고 할 수도 있다.[6] 한국의 대다수 아카이브 사이트들은 돈을 벌기 위해 돈을 주면 데이터를 지울 수 있게 설계되었지만, 이 사이트의 개발자는 진짜로 정의구현을 하고 싶었는지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고 사이트 이름도 thefact(그 진실)로 지었다..[7] 태고적부터 시작된 지구 상의 모든 기억이 저장되어 있다.[8] 1편의 한글판에서 기록문서라 번역되었지만 2편부터는 아카이브로 바뀌었다.[9] 작품의 중요 설정과 복선이 여기서(?) 설명된다. [10] 초자연적인 것을 확보, 격리, 보호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11] 도서관장 탈레스가 "여기는 세상의 모든 지식이 기록되는 곳이라네!"라고 한다.[12] 도서관 형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