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학시험

 


1. 개요
2. 역사
2.1. 한국어 어학시험의 역사
4. 팁


1. 개요


어학 시험(語學試驗, Language proficiency test)은 특정 언어에 대한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을 통틀어서 이르는 말이다. 주로 해당 언어가 모국어가 아닌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며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능력을 평가한다. 말하기의 경우 토익-토익스피킹이나 HSK-HSKK의 경우처럼 나뉘어 있기도 한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이민, 취업, 유학을 할 기본적인 언어 능력이 되는지를 테스트하는게 기본 목적이며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좀 더 전문적이고 복잡하며 폭넓은 이해, 추론, 표현 능력을 테스트 하는 경우가 많다.

2. 역사


외국인의 어학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치뤄진 가장 오래된 어학 시험은 케임브리지 영어시험(Cambridge English Language Assessment)이라고 한다. 1913년에 처음 시작했는데, 그 때 시험 응시자가 '''3명'''이었고 전부 불합격했다.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외국인 대상 테스트는 1941년 처음 실시된 미시간 대학교에서 개발한 the Michigan Tests(현재의 CaMLA)이다. 그 이후 무역시장이 개방되고 국경을 초월한 기업활동, 국제기구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언어 시험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고 현재는 영어, 중국어, 스페인어 등 주요 언어들 뿐만 아니라 카탈루냐어, 마오리어, 오어(吳語)(?!) 시험도 있을 정도이다.[1]
가장 잘 알려진 영어시험인 토플(TOEFL)은 1964년, 토익(TOEIC)은 1978년에 시작되었다. 토플은 미국 대학에 입학하는 외국인(정확히는 비 영여권) 학생들의 언어평가를 위해 만들어 졌고 외국에서는 가장 널리 알려진 어학 시험이다. 토익은 특이하게도 일본측 경제단체의 요구로 만들어 졌는데 일본 기업이 한참 미국에 진출하기 시작하던 때였고 그에 따라 토플같이 비교적 수준이 높은 시험보다는 사업에 필요한 영어를 테스트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지 토익은 사업관련 내용(계약서, 사업 미팅)등이 많고 난이도도 어렵지 않은 편이다. 일본, 한국, 대만 정도에만 알려진 시험이다.
일본어 어학시험인 JLPT는 1984년에, 중국어 시험인 HSK는 1992년에 시작되었다. JLPT는 7000명 정도의 응시자로 시작해서 지금은 응시자만 80만 명이 넘는 시험이 되었다. 중국어 시험에는 대만에서 만들어진 시험인 TOCFL도 있어 간화자가 아닌 정체자로 시험을 보는데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와있는 응시자 수가 1700여명 남짓이다(...). 한국어 능력시험인 TOPIK도 응시자 수가 20만이 넘는다.

2.1. 한국어 어학시험의 역사


한국어 어학시험 중 가장 오래된 시험은 1993년 만들어진 한글능력검정시험이다. '한국어'가 아닌 '한글'인 이유는 1988 서울 올림픽 이후 일본에서 한국어에 대한 수요가 생기면서 만들어진 시험인데 '조선어', '한국어'가 모두 쓰이는 일본 특유의 사정상 '한글'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게 됐다고 한다. 일본인을 대상으로 하며 한 때는 3만 명 가까이 시험을 봤지만 현재는 1만 5천명 남짓이다.
한국어 어학시험 중 가장 응시자 수가 많은 시험은 1997년 시작한 TOPIK이다. 처음에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이, 그 다음에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시험을 주관했고 2011년부터 국립국제교육원이 시험을 주관중이다. 처음 시작할 때는 2600여명 정도만 응시했지만 노동시장이 개방되고 한류 열풍이 불면서 응시자 수가 급증했고 현재는 30만이 넘는 사람이 매년 TOPIK을 보고 있다. 외국인의 유학, 국제결혼 비자 취득을 위해서 보는 경우가 많고 한국 기업에 응시할 때도 시험이 사용된다.

3. 영어 시험



현재 영어에 관련된 상시시험으로 TOEICTOEFL, TEPS, IELTS 등이 있으며 이 시험을 응시하였거나 합격한 자의 경우 회사 및 공무원 채용여부에 따라 우대사항에 포함되고 외국과 거래를 하는 회사 및 집단의 경우 필수자로 우선 채용이 유리한 편이다. 통번역을 전공하였거나 자격이 있는 경우에도 선착대상이다.
최근에는 경찰직, 공무원직 강의 및 시험 등에도 영어가 필수과목으로 포함되었다. 특히, 공무원 시험의 당락은 영어가 큰 비중을 차지하며, 고시낭인을 만드는 주범이기도 하다. 공무원 중 일부는 외국인이나 관광객과도 접해야 하는 입장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영어의 중요성을 간과 할 수 없는것이 작금의 세태이다.

3.1. 영어 시험/논쟁



4. 팁


시골에 사는 사람들이 보기 어려운 시험이다. 대다수 어학시험의 시험장은 도시에만 개설되기 때문. 이로써 도시의 수가 적은 강원도, 전라북도, 전라남도는 '''어학시험 준비생들의 무덤'''이라는 별칭까지 얻게 되었다. 충청북도, 경상북도, 경상남도의 경우 도 자체는 어학시험 준비생들의 무덤이 아니지만 일부 지역은 무덤이다. 경북의 경우는 대구에서 멀리 떨어진 북부가, 경남의 경우는 부산, 울산에서 멀리 떨어진 서부가, 충북은 청주에서 멀리 떨어진 북부가 이런 지역이다. (충북 남부는 보통 대전에서 보기 때문에 미해당)
[1] 마오리어, 오어는 뉴질랜드나 중국에서 실시하는게 아니라 미국에서 ACTFL이라는 외국언어 교육자를 위한 시험의 과목으로 실시되는거라 토익이나 JLPT 같은 시험과는 성격이 다르긴 하다.[2] 일부 대학은 TOEIC, TOEFL, TEPS로 대체하기도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