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K

 


汉语水平考试 / 漢語水平考試
Hànyǔ Shuǐpíng Kǎoshì
한국 한자음: 한어 수평 고시
시험 접수 홈페이지 (한국)
공식 홈페이지 (중국)
1. 개요
2. 개편
2.1. 신 HSK
2.2. HSK 3.0
3. 등급별 실력
4. 활용도
5. 구성
5.1. 듣기
5.2. 독해
5.3. 작문
6. 시행
7. 회화 시험(HSKK)
8. 개정 이전의 구HSK와 난이도 문제
9. 비판
10. 기타


1. 개요


'''한어수평고시'''(汉语水平考试) '''HSK'''는 전세계 중국어 능력 시험 중 공신력이 가장 높은 시험으로, 표준중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의 중국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중국 정부 교육부 지정 유일의 국제 중국어(한어) 수준(수평) 시험(고시)이다. 1992년부터 시행되었으며, 생활, 학습, 업무 등 실생활에서의 중국어 능력을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2014년 기준으로 58개 국가, 159개 지역에서 실시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 산하 중국국가한판(国家汉办)[1][2]에서 주관한다. '''신HSK 기준으로 최고급수는 6급'''이다. 한국일본한자문화권에서는 4급부터 활용도가 있고 취직 등을 위해서는 반드시 5급 이상이어야 메리트가 있다.
'''시험 대상자가 '외국인'이 아니라 '표준중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 '''이라는데 주의할 것. 그래서 중국인중에서 해외에서 오래 체류한 사람이나 소수민족 출신자[3]도 이 시험에 응시할 수 있고 실제로도 응시한다.
PBT(종이 시험)와 IBT(컴퓨터를 통한 인터넷 시험) 두 종류로 시행 중이다. 6급의 경우 400자 내외의 작문을 할 때 많은 응시자들이 한자 때문에 골머리 앓는 점을 감안하면, 한자를 직접 쓰지 않고 중국어 입력기를 이용할 수 있는 IBT가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사람에 따라서는 IBT가 더 불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독해나 작문의 지문을 읽을 때 펜으로 밑줄 그어가며 읽는 습관 있는 사람이나 컴퓨터 화면으로 장시간 글을 읽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 타자가 느린 사람 등등. 그리고 PBT는 듣기 방송이 나올 때 키워드를 문제지나 답안지에 연필로 써 놓을 수 있지만, IBT는 필기 도구 지참이 금지되어 순수하게 자신의 듣기 실력과 기억력에 의지해야 한다. IBT가 PBT보다 작문에서 유리한 대신 응시료가 더 비쌌지만 최근 PBT 응시료가 올라서 IBT 응시료와의 차이가 줄어 들었다.
2010년에 시험이 한 번 대폭 개편된 바 있다. 상면의 소개는 2010년에 개정된 신(新)HSK를 기준으로 하며, 최고급수가 11급이었던 이전의 구HSK는 하단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2. 개편



2.1. 신 HSK


2010년에 개편되어 2021년 현재 시행중인 HSK를 말한다.
1급부터 6급까지 있다. 보통은 1급이 최고급수지만 HSK는 반대다. 급수가 클수록 어렵다. 만점은 1~2급의 경우는 200점, 3~6급의 경우는 300점이다. 총점의 60% 이상을 득점하면 합격, 그렇지 못하면 불합격. 즉 1~2급은 120점부터, 3~6급은 180점부터 합격이다. 만점에 비해 커트라인이 낮은 편이다. 영역별로 과락은 없다.
시험은 듣기(听力[팅리]), 독해(阅读[위에두]), 작문(书写[슈시에]) 3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러나 독해 과목은 이름만 독해일 뿐, 실제로는 독해, 문법, 어휘 문제가 모두 출제된다. 세 영역 모두 문학, 과학, 역사, 예술, 사회 등 전 분야를 망라하며 각종 명승 고적과 중국 고전에서 유래한 이야기들, 유명인들의 성공담, 인터뷰도 출제된다. 보통 4급이나 5급에서는 중국 고전이나 이솝 우화 등과 같이 철학적, 교훈적인 내용이 많이 출제되며 유명인들의 성공담이나 인터뷰는 6급에서 많이 출제되는 편이다.
新HSK는 유럽언어기준과 연동되었으나 2010년 이후 중단되었다. 전에는 HSK 6급이 유럽언어기준 C2[4]에 해당한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B1에서 B2 수준이라는 말이 해외의 응시생들이나 중국어 교사들 사이에서 계속 나왔다. HSK를 주관하는 중국국가한판에서도 그런 여론을 의식한 탓인지 유럽언어기준과의 연동을 중단했다. 참고로 한국 정부의 공무원임용시험령에서는 HSK 6급의 180~210점은 C1으로, 210~300점은 C2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2.2. HSK 3.0


아직 공식적인 발표는 안났지만, 신 HSK 시행후 중국어 학습자들의 실력이 하향 평준화 되었다는 의견 때문인지 HSK가 다시 개편된다는 이야기가 있다. 개편되는 HSK 3.0에 대한 글을 게재한 곳은 원임대외한어(元任对外汉语)의 위챗 공식 계정인데, 원임대외한어는 대외한어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인강, 교재 등을 판매하는 업체라고 한다.
원임대외한어의 글에 따르면 개편될 HSK 3.0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음절(병음), 한자, 어휘, 어법 4가지 방면의 언어 능력 수치화 지표를 확립
    • 기존 HSK와 비교했을 때 음절, 한자 등의 항목이 추가된다.
  • 1~3급은 초등 수준, 4~6급은 중등 수준, 7~9급은 고등 수준으로 한다.
    • 즉 현재 6급까지 있는 HSK 체제가 9급까지로 변화하며, 고등 수준인 7~9급의 어휘량이 많이 추가될 것이다.
  • 각 등, 급에 대해 언어 능력 수치화 지표, 언어 교류 능력, 문제 해결 총 3가지의 관점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번역 총 5가지의 능력을 평가한다.
    • 기존 HSK와 비교했을 때 HSKK에서 별도로 평가하던 말하기가 통합되고 번역이 추가된다.
  • 원임대외한어에서 제시한 어휘량 변화는 다음과 같다.[5]


음절
한자
어휘
어법
고등
7~9급
1110
3000
11092
572
중등
6급
908
1800
5456
424
5급
822
1500
4316
357
4급
724
1200
3245
286
초등
3급
608
900
2245
210
2급
468
600
1272
129
1급
269
300
500
48
그러나 중국국가한판의 공식 발표가 아닌 만큼 다소 의문이 드는 점도 있다.
  • '번역'을 평가한다고 하였는데, 번역은 중국어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주로 모어)에 대한 실력도 필요하다. 즉, 번역을 평가하는 데는 중국어 실력 뿐만 아니라 모어나 다른 언어에 대한 실력도 개입될 수밖에 없다. 또한, HSK의 응시자는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다. 번역을 도입하려면 수많은 응시자들의 모어와의 번역을 모두 지원해야 하는데 그것이 가능할지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한국어, 일본어부터 포르투갈어, 태국어, 하우사어 등 매우 다양한 언어를 지원해야 응시자들이 중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에 대한 언어적 장벽 없이 응시가 가능하다.)
  • 어휘량 변화가 과도하게 크다. 제시된 어휘량 변화에 따르면 '초등 수준'에 해당하는 3급의 어휘량 총량이 현재 공식적으로는 고급 수준으로 분류되는 5급에 맞먹는다. 2급의 어휘량 총량이 현재의 4급의 어휘량 총량보다 많다. 한국인이나 일본인 입장에서야 HSK 4급이 별 거 아니겠지만, 서구권 학습자들에게는 어느 정도 난이도가 있다고 여겨질 수 있는 수준임을 감안하면, 초반 허들이 너무 높다는 것.
  • 1~6급과 달리 7~9급은 하나의 시험지에서 급수를 나누는 방식으로 설명되는데, 통일성의 측면에서 비합리적이다.

3. 등급별 실력


등급
어휘량(아는 한자수)
공식 수강 시간[6]
실질 수강 시간[7]
1급
150
40 ~ 60
60
2급
300
80 ~ 120
120
3급
600
120 ~ 180
180
4급
1,200
190 ~ 400
280
5급
2,500[8]
400~
380
6급
'''5,000 이상'''
-[9]
780
보통 대학교에서 개설하는 기초 중국어수업 상, 하 커리를 따라갈 경우 대개 4급 수준까지는 살짝 맛볼 수 있다. 물론 시험을 위해서는 추가로 공부가 필요하지만.
5~6급이 유럽언어기준에서 어느 정도 실력에 해당하는지는 좀 애매하다. '언어학적으로 가까운 언어일 때', 영어 원어민에게 스페인어를 가르칠 때 C1까지 380시간, C2까지 780시간 정도 소요된다. 영어 원어민 대상 스페인어 어학원 그리고 한국인에게 중국 어학원이 가르칠 때에도 5급까지 380시간, 6급까지 780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교습시간만 놓고 보면 C2라고 해도 할 말 없다.[10]
한자검정시험과의 상관관계를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꽤 되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두 시험간에는 관련이 거의 없다.''' 한국의 한자검정시험은 한국식 한자, 즉 번체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체자 위주의 HSK와는 지향점부터가 다르다. 게다가 한자검정시험도 여러 종류가 있기 때문에 같은 급수라도 실력이 동일하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4. 활용도


유효 기간은 취득일부터 2년이다. 4급의 경우 대부분의 중국 대학에서 '입학 지원 자격'으로 인정하나[11] 취업 이력서에 한 줄 채워넣는 정도로 쓰려면 '''최소 5급'''이다. 중국어 실력이 정말로 중요한 분야[12]에서 '''스펙으로 쓰려면 6급 합격만으로는 부족하고 6급 고득점'''이 필요하다.
참고로, '지원'은 필수 자격이고, '우대'는 없어도 상관 없지만 있으면 가산점을 준다는 것이다.
등급
점수
항목
6
285
국가정보원 7급 중국어 전문가 특별 채용 지원
210
베이징대학 인문사회계 대학원 입학 지원
베이징대학 학부 서류전형 입학 지원[13]
200
베이징대학 이공계 대학원 입학 지원
180
상해외국어대학 대외한어과 3학년 1학기 편입 지원
2014년 일부 '''한국 대학교 특기자''' 전형 지원[14]
중국어 어학병 지원[15]
5
210
'''외교관후보자시험''' 일반 전형 지원
중국 인문사회계 대학원 정부 장학생 초청
195
'''삼성그룹/채용''' 우대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자격
180
'''국가정보원''' 특정직 7급 채용 우대
칭화대학 학부, 인문사회계 대학원 입학 지원
중국 이공계 대학원 정부 장학생 초청
북경어언대학 대외한어과 2학년 1학기 편입 지원
경희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자격
4
210
북경어언대학 대외한어과 1학년 2학기 편입 지원
195
칭화대 이공계 대학원 입학 지원
180
북경어언대학 대외한어과 1학년 1학기 입학 지원
칭화대학 학부 최소 입학 지원[16]
스펙으로 쓰려면 보통 5급, 최소 4급이어야 쓸모가 있기에 국내 수험생들은 1,2급은 거의 보지 않는다. 대개 비한자문화권 사람들이나 초등학생들이 본다.
한편 일본에 취업하거나 일본계 회사에 지원 할 때에는 HSK는 급수가 높을수록 어렵다고 별도로 표기 해 주는 것이 좋다. HSK 5급 또는 6급을 보유하고 있다고 적었다가 가장 낮은 급수라고 오해받는 경우가 꽤 많다. 이는 JLPT의 경우 HSK와는 반대로 N1이 가장 높은 급수라 이런 오해가 생기는 듯 하며 이런 경우를 대비해서 이력서 등에 '6급(고급)'과 같은 식으로 기술 해 주는 것이 좋다.

5. 구성


전체 문제 수는 1급이 40문제, 2급이 60문제, 3급이 80문제, 4, 5급이 각각 100문제씩, 6급이 101문제이다.

5.1. 듣기


듣기
문제수
시간(분)
방송 횟수
1급
20
15
2회
2급
35
25
3급
40
35
4급
45
30
1회
5급
45
30
6급
50
35
  • 3급
지문도 대체로 그리 길거나 어렵지 않고 듣기도 한 번의 반복이 있기 때문에 대체로 무난하게 진행할 수 있다. 1, 2급과는 달리 문제에 병음이 달리지 않는다.
  • 제1부분 사진파악 10문항
들려주는 지문과 관련된 사진 찾기. 사진에서 바로 보이는 단어가 들리면 답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 제2부분 일치 여부 판단 10문항
지문의 내용과 문제에 주어진 문장의 내용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묻는 문제. 이 역시도 핵심단어가 들리는 경우가 많지만 같은 뜻을 다른 말(멀다=가깝지 않다.)로 바꿔 말하는 경우가 있으니 잘 생각해서 체크해야 한다.
  • 제3부분 대화문 10문항
남자와 여자가 각각 한 문장씩을 말하며, 마지막에 문제를 들려주고 그 문제에 알맞은 정답을 고르는 문항이다. 한 마디씩만 하기에 굳이 오래 생각하지 않아도 되며, 보기를 보고 무엇을 물어볼지 미리 예측해 볼 수 있다.
  • 제4부분 대화문 10문항
제3부분과 같으나 남녀가 각각 두 문장 이상씩을 말해 조금 길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푸는 방법은 동일하다.
  • 4급
이전 급수에 비해 가장 체감 난이도가 높아지는 급수이다. 듣기의 반복이 사라지기 때문! 3급과 비교시 지문이 꽤 길어지고 말이 빨라지나 사실 영역 구성에는 큰 차이가 없다. 다만, 보기가 3개였던 것이 4개로 늘어나고(일치 여부 OX문제 제외) 보기의 내용도 조금씩 길어져 5자 내외의 구까지 나온다는 점과, 패러프레이징[의역]이 노골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다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또한 막판에는 1지문 2문항이 등장한다. 그래도 대다수는 답이 바로 드러나기 때문에 크게 어렵진 않다.
  • 제1부분 일치 여부 판단 10문항
3급 듣기 2부분과 마찬가지로 주어진 문장 내용이 일치하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 제2부분 대화문 15문항
3급 제3부분 문제유형과 동일
  • 제3부분 대화문 10문항 및 서술문 10문항
26번~35번 문항까지는 3급 제4부분과 동일하나 후반 36~45번 문제는 1지문 2문항 한 사람이 30초 이상 얘기하는 서술문이 등장한다. 보기와 내용을 잘 파악하자
  • 5급
문제 유형은 4급과 유사하다. 다만 답이 바로 드러나는 4급과 달리 대화의 흐름을 이해하고 추론해서 풀어내는 문제가 많다. 그리고 패러프레이징 역시 문항 수가 4급에 비해 많다. 이전 급수와는 달리 예시가 사라졌다는 점도 주의할 것. 그만큼 선지를 빠르게 스캔해야 한다. 또한, 제2부분에는 '1지문 2~3문항'이 있는데[17], 문제를 지문을 불러주기 전에 미리 나오지 않고 지문 이후에 한 번만 나오므로 빠른 스캔과 더불어 문제 유추도 어느 정도 필요하다.
  • 제1부분 대화문 20문항
4급 제2부분 문제유형과 동일
  • 제2부분 대화문 10문항 및 서술문 15문항
21번~30번 까지는 3급 제4부분, 4급 제3부분의 대화문과 동일하나 3,4급과 달리 남녀가 각각 3문장 이상 말하기도 한다. 그래도 푸는 방법은 동일하다. 31번~45번 까지는 한 사람이 1분 이상 말하는 서술문이 등장하는데 듣기에 익숙하지 않을 경우 5급 중 이 부분이 가장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4급과 달리 속도도 빨라지고 패러프레이징이 더 많아지기 때문에 많은 학습이 필요하다.
  • 6급
5급까지 나오는 남녀간 대화가 나오지 않는다. 중국 뉴스를 교재 삼아 공부를 하는 것이 추천되는 수준. 또한 시중 문제집의 듣기 속도보다 실제 시험 듣기속도가 더 빠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듣기를 공부할때 1.2~1.3배속으로 듣는것이 좋다.
  • 제1부분 일치하는 보기 고르기 15문항
한 사람이 무언가를 설명 또는 주장하는 30초 정도의 지문이 나오며, 지문 1개에 문제 1개씩 나온다. 해당 내용과 일치하는 선택지를 찾아야 한다. 문제가 끝나면 얼마 지나지 않아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보기 스캔을 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 제2부분 인터뷰 파악 15문항
평균 2분 30초~3분 분량의 인터뷰(혹은 상담, 홍보, 강연 등)가 나오며 지문 하나당 5문제, 총 3세트가 나온다. 내용을 빠르게 파악하고 해당 핵심문구를 잘 캐치하면 할만하다.
  • 제3부분 서술문 20문항
평균 1분 30초~2분 정도 되는 이야기, 설명문, 논설문 등의 지문이 나오며 지문 하나당 3~4문제에 답한다.[18] 주로 3문제 4세트와 4문제 2세트, 총 6세트가 나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듣기 시간 중 5분(1급과 2급은 3분)은 OMR 카드에 씌여진 답을 시험지에 체크하는 시간으로 준다. 보통은 이 5분을 시험지에 체크하기보다는, OMR 카드에 곧장 체크하고 5분을 독해 문제에 사용하는 게 낫다. 다만 이 5분은 원래 듣기 부분에 써야 되는 시간이기 때문에, 깐깐한 감독관을 만날시에는 돌아다니면서 독해 부분을 풀지 못하게 막는다. 감독관 운이 잘 따라줘야지 여러모로 편리하다.

5.2. 독해


독해
문제수
시간(분)
한어병음표기
1급
20
17
있음
2급
25
22
3급
30
30
없음
4급
40
40
5급
45
45
6급
50
50
  • 3급
    • 제1부분 관련 문장 짝짓기 10문항
1~3문장 정도의 글을 제시하고 내용이 일치하는 짧은 문장을 골라야 한다. 한어 병음이 없기에 초보자가 많은 3급 수험생들이 가장 당황하는 부분. 문제를 꼼꼼히 읽자.
  • 제2부분 단어 넣기 10문항
보기에 단어가 제시되고 문장에 단어를 채워넣는다. 단어만 제대로 알면 어려울 것 없다.
  • 제3부분 단문 독해 10문항
대개 3줄을 넘지 않는다. 처음 독해한다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지만 적응하면 절대 어렵지 않다.
  • 4급: 3개 영역 중 가장 쉽다. 3급과 비슷.
    • 제1부분 단어 넣기 10문항
단어만 제대로 알면 어려울 것 없다. 3급의 제2부분과 비슷하다.
  • 제2부분 문장 배열 10문항
문장을 순서대로 배열하는 것이다. 4급 독해의 최대 난코스. 논리력이 떨어지면 틀리게 답할 위험이 있는 문제도 있지만, 대부분은 접속사를 잘 파악하면 풀린다.
  • 제3부분 단문 독해 20문항
3급의 제3부분과 비슷하다. 다만 3급의 제3부분과 달리 후반부에서 한 지문에 두 문제씩 답하는 것이 있다. 보통 3~4줄 정도이며, 후반부의 경우 4~5줄 정도이다.
  • 5급: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 제1부분 단어 넣기 15문항
4급과 달리 정확하게 독해해야 된다. 또한 단어뿐만이 아닌 어구를 묻는 문제도 나온다. 단어의 미묘한 뉘앙스 차이에 주의하자.
  • 제2부분 단문 독해 10문항
단문이지만 시간이 없다. 빨리 요점을 파악하도록 하자. 시간 대비 비중이 적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에 푸는 것을 추천한다.
  • 제3부분 장문 독해 20문항
4급과 달리 지문길이가 확 길어진다. 반드시 지문보다 문제를 먼저 읽자.
  • 6급: 또 다시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똑같이 문제 당 1분 꼴로 시간이 주어지지만 문장은 훨씬 어려워지고 문형도 까다로워진다. [19]
    • 제1부분 어법상 틀린 문장 고르기 10문항
6급에만 있는 유형이다. 문제당 4개의 문장이 제시되며, 이 중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을 찾아내는 것인데 문법을 끼고 살지 않으면 시간 내에 풀기 힘들기 때문에 수험생을 고문하는 유형 중 톱으로 꼽힌다. 중국인조차 많이 틀리는 유형이다! 난이도도 난이도거니와 실전에선 한 문제를 푸는 데 1분 정도밖에 주어지지 않아서 문법 지식뿐만 아니라 상당한 독해력 및 어감도 필요로 한다. 그래서 많은 수험생들이 1부분에서 출혈을 피하기(...) 위해 머리를 굴린다. 독해 2, 3, 4부분, 듣기, 쓰기 다 맞을 정도로 연습해 두고 1부분은 몽땅 찍기, 반만 풀고 반만 찍기, 몇 년치 기출 문제 무식하게 외우기 등등... HSK 6급 독해 영역 중 가장 어려운 파트라는 시각이 일반적이어서, 나머지 부분(2, 3, 4부분)을 다 풀고 마지막에 푸는 사람들이 많다. 4개 파트 중 일단은 들이는 시간 대비 얻을 수 있는 점수가 가장 적기 때문에 2, 3, 4부분을 풀고 이 부분은 다 풀지 못하거나 아예 포기하고 찍는 사람들도 많다.
  • 제2부분 단어 넣기 10문항
짧은 문장 안에 빈 칸이 3개~5개가 존재하며 문맥과 상황에 따라 알맞은 단어들을 집어넣는 파트. 이 파트는 무작정 단어만 많이 외운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뜻이 같은 여러 단어 사이의 미묘한 뉘앙스 차이를 꼼꼼하게 익히고 있어야 한다. 그러한 차이들을 전부 다 외우고 있지 않아도 합격은 가능할 지 모르나, 고득점을 위해서는 모두 알아둬야 한다. 객관식이기 때문에 모든 빈 칸을 보지 않아도 빈 칸 한 개만 채웠는데도 답이 보이는 경우가 종종 존재해서 어떤 문제는 매우 빠르게 풀리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어디까지나 난이도가 쉬운 문제일 경우이다. 보통 2~3개의 빈칸을 채워야 풀린다. 아는 어휘가 많을 경우 가장 많이 시간을 벌 수 있다.
  • 제3부분 긴 문장 빈 칸 채우기 10문항
긴 글 하나와 다섯 가지의 짧은 어구를 주고, 적재적소에 어구들을 배치하면 되며 이러한 지문이 두 세트 등장한다. 보통 시험의 해당 유형의 문제에는 지문의 어디에도 들어가지 않는 '가짜 어구'를 하나쯤 집어넣어 수험생들을 혼란시키지만, HSK에서는 그런 '가짜 어구'가 존재하지 않으니 안심하자. 이야기의 전체 스토리를 제대로 파악하고 소거법을 이용하면 수월하게 풀 수 있다. 그러나 문제의 특성상 한 개만 틀려도 다른 문제까지 틀리게 되므로, 신중을 기하지 않으면 점수가 더블로 깎이게 된다. 참고로 하나라도 더 맞춰보자고 같은 답을 2개 이상 고르는 사람도 많은데 이 경우 그 부분 5문제가 모두 무효처리 될수 있으므로 절대 2개이상 골라서는 안된다.
  • 제4부분 장문 독해 20문항
4개의 문제가 달린 지문이 5세트 등장한다. 긴 글 하나를 읽고 주어진 문제들에 답하면 되며 문제의 유형은 세부 사항 파악, 밑줄 친 단어의 함의 찾기, 알맞지 않은 내용 고르기, 알맞은 내용 고르기, 주제 찾기 등이다. 즉 순수한 독해력을 측정하는 영역이다. 또한 지문이 길다보니 문제 풀 시간이 상당히 촉박하다. 주어진 시간에 문제를 다 풀려면 평소 다양한 종류의 글과 기출문제를 많이 접해서 독해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HSK 5급 및 여타 언어들의 독해력 시험과 마찬가지로, 반드시 문제를 먼저 읽고 지문을 읽자. 문제 푸는 데 필요없는 부분은 읽지 않는 스킬도 길러두면 큰 도움이 된다. 이 부분은 hsk 어휘를 벗어나서 나오기 때문에 적어도 HSK에서 권장하는 모든 단어는 모두 알고 있어야 하며 모르는 단어가 나오더라도 그 단어의 한자를 이용해 뜻을 추론할수 있어야 하며 안되면 과감히 넘어가야 한다.[20]

5.3. 작문


작문
문제수
시간(분)
1급
작문 문제 없음
2급
3급
10
15
4급
15
25
5급
10
40
6급
'''1'''
45
  • 3급
    • 제1부분 문장 완성하기 5문항
주어진 단어의 어순을 배열하여 문장을 완성하는 유형이다. 어느 정도의 어법지식을 요구를 하기 때문에 3급 수험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 제2부분 병음을 한자로 전환하기 5문항
문장 빈 칸에 알맞은 단어를 넣는 것. 한어병음을 제시한 후 그에 맞는 한자를 쓴다. 복잡한 한자는 거의 안 나오니 너무 겁먹지 말자.
  • 4급
    • 제1부분 문장 완성하기 10문항
형식은 3급과 동일하다.
  • 제2부분 문장 작문하기 5문항
각 문항 당 1개의 사진과 그 사진을 대표하는 1개의 단어가 주어지며, 이 단어를 이용해서 사진을 표현하는 한 문장을 만들어야 한다. 참고로 주어진 단어들은 대다수가 동사이기 때문에 단어를 모르더라도 어떤 형태의 단어인지만(동사인지 명사인지)잘 파악하면 쉽게 해결할수 있다. 짧은 문장 작문이기 때문에 어렵지 않다.
  • 5급
    • 제1부분 문장 완성하기 8문항
형식은 3, 4급과 동일하다.
  • 제2부분 단문 작문하기 2문항
총 2문제로 각 문제의 유형이 다르다.
  • 99번 문제
5개의 주어진 단어들로 80자(字) 내외로 작문하는 문제이다. 5개의 단어를 모두 사용하여야 하되 순서는 상관하지 않는다. HSK 1~5급 단어를 모두 알아야 헤매지 않는다.
  • 100번 문제
주어진 그림 한 장을 보고 비슷하게 80자 내외로 작문하는 문제이다.
  • 6급
단 한 문제만 존재하는데 1,000자 정도의 글을 10분 내에 읽고 해당 내용을 외운다. 그 후 그 글이 적힌 종이는 회수되며 이후 35분 동안 해당 글을 400자 내외로 객관적으로 요약한다. 글을 읽는 10분간 필기 도구를 쓸 수 없다.[21] 중국 본토 시험은 장소에 따라 필기 도구를 쓸 수 있는 곳이 있는데 미리 연필과 흰 종이를 감독관에게 보여 주면 된다. 사람에 따라서는 독해 1부분보다 이 작문 시험이 훨씬 악랄하게 느껴질 수 있다.[22] [23]지문의 흐름을 확실히 이해하고, 주요 단어를 기억해야 된다. 절대 틀리지 않는 주어+동사+목적어 형식의 문장을 쓰면 어법에서 감점되지 않는다. 괜히 길고 화려하게 쓰려다가 어법을 틀리거나, 자신의 의견을 넣으면 감점된다.참고로 6급 쓰기는 유명인의 성공 이야기나 교훈을 전하는 수필 위주로 출제되며, 1년에 1~2번은 중국 역사 속 일화가 출제된다.

6. 시행


거의 매달 시행된다. 서울, 부산, 인천, 대전, 대구, 광주 등 대도시 위주로 시행되며, 경기 수원이나 충남 천안전북 전주, 제주같은 곳에서도 시행된다. 시험 접수는 시험일 3주 전까지는 해야 한다.
특이하게도 시험시행처가 다원화되어 있다. PBT는 'HSK시험센터', '한국HSK사무소'와 '공자학원' IBT는 'HSK시험센터','한국HSK사무소', '탕차이니즈'다. 시험시행처에 따라 시험장소가 다르니 각 시험시행처의 시험장소를 알아보고 자신이 찾아가기 편한 시험장소가 있는 곳에 접수하면 된다.
'''시험 실시 1개월 후'''[24] 중국 고시 센터 홈페이지 또는 각 시험시행처에서 응시자 개별 성적 조회가 가능하다. 시험일로부터 40일 경 지나면 개인 성적표가 발송된다.
  • 우편 수령 신청자의 경우, 등기 발송
  • 방문 수령 신청자의 경우, 각 시험시행처에서 수령 가능하다.[25]

7. 회화 시험(HSKK)


2010년부터 HSK는 '''HSK 1급-6급의 필기 시험'''과 '''HSK 초급·중급·고급 회화 시험'''[26]으로 나뉘어 시행되며, 필기 시험과 회화 시험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됨으로 개별적으로 응시할 수 있다. 등급별 각각 실시된다.
고급 회화 시험은 중국인들도 같이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상대평가점수가 짠 편이다. 중국인이 시험을 보는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중국인(중국 국적자)이되 중국어가 모어가 아닌 소수민족이 있기 때문으로, 이들은 진학이나 취업을 위해 본다. 하지만 중국의 소수민족은 중국의 주류 민족인 한족보다 중국어에 서툴 뿐이지 외국인보다는 우수한 경우가 많아 소수민족이 시험에 많이 참가할수록 당연히 외국인 수험생 점수에는 불리하다.
초급은 따라 말하기, 짧은 문장에 답하기, 90초 동안 질문에 답하기(2문제 총 준비 시간 7분) 유형, 중급은 따라 말하기, 그림 보고 2분 동안 설명하기, 2분 동안 질문에 답하기(제2~3부분 4문제 총 준비 시간 10분) 유형, 고급은 긴 지문을 듣고 그 내용을 말하기, 긴 지문을 보면서 읽기, 2분 30초 동안 질문에 답하기(제2~3부분 3문제 총 준비 시간 10분)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급과 고급 간 난이도 격차가 심각하게 크다. 고급의 경우, 제1부분의 지문 길이가 필기 시험 4급 독해 제3부분보다 조금 길기 때문에 지문을 듣고 바로 외울 수 있는 능력이 없으면 제대로 답변하기 힘들다.

8. 개정 이전의 구HSK와 난이도 문제


구(旧)HSK는 1992년부터 2010년까지 시행되었다.[27] HSK는 원래 북경어언대학(北京语言大学)에서 출제했으나 2007년 이후 지금처럼 중국국가한판(国家汉办/孔子学总部)로 바뀌었다. 개정 전에는 합격, 불합격만 존재했으나 新HSK로 부터 점수를 따지게 바뀌었다.
旧HSK는 旧기초(旧1급~旧3급), 旧초중등(旧3급~旧8급), 旧고등(旧9급~旧11급)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공식 성적 치환표를 보면 출제자들은 신 HSK를 구 HSK보다 더 높게 평가하는 듯하다. 표를 보면 '''출제기관인 중국국가한판에서는 신HSK 6급 210점 이상이면 구HSK 11급으로 인정한다.'''
아래는 중국국가한판이 공식적으로 발표한 구HSK 와 신HSK의 점수 비교이다.
  • 旧기초 : 300점 만점. 3000자 범위
  • 旧1급~旧3급 = 신HSK 3급
  • 旧초중등 : 400점 만점. 5000자 범위
  • 旧3급~旧5급 = 신HSK 4급
  • 旧6급~旧8급 = 신HSK 5급
  • 旧고등 : 500점 만점. 8000자 범위
  • 旧9급 = 신HSK 6급 180-194
  • 旧10급 = 신HSK 6급 195-209
  • 旧11급 = 신HSK 6급 210-300
그러나 중국국가한판의 공식적인 입장과는 달리 '''실제로는 구HSK 고등이 신HSK 6급보다 어려웠다는 평가가 많다.''' 구HSK는 구어(말하기)가 들어가 있었고 난이도도 훨씬 어려웠다.
신HSK6급 210점은 응시자의 상위 30% 이상이 받는 점수이며[28] 국내 학습자들도 많이 딸 수 있을 정도의 점수다. 또 사례 하나를 보면 중국 유학을 다녀온 사람이 구HSK 10급을 턱걸이로 겨우 땄는데, 7년간 회사생활하면서 중국어를 많이 까먹고 공부도 별로 안 한 상태로 다시 신HSK 6급을 쳤는데도 230점이 나왔다. 이 사례를 보면 신HSK 6급 230점이 구HSK 10급보다 훨씬 쉽다고 볼 수 있다. '''중국어 교사나 사설학원 등에서는 신HSK 6급 270점 이상은 되어야 구HSK 11급에 해당한다고 말하고 있다.'''[29]
사실 신HSK 난이도가 구HSK보다 낮아진데에는 중국어 보급을 위한 중국 정부의 의도가 깔려있다. 구HSK는 무척 어려웠기 때문에 고급(9~11급) 합격자 절대다수가 한자문화권인 한국과 일본 학생이었고, 한자에 낯선 다른 나라 학습자들의 학습의욕이 꺾인다. 그러자 국제사회에서의 소프트파워를 높이려고 애쓰는 중국 정부에서는 한자문화권이 아닌 지역에도 중국어를 많이 보급하기 위해 신HSK의 난이도를 대폭 낮췄다. 그래서 '''구HSK 고급에서는 8822개나 되었던 단어학습량이 신HSK 고급에서는 약 5100여개로 줄어들었다.''' 또 시험이 개정되면서 신HSK 1급과 2급이 중국어 입문자를 위해 신설되었다. 쉬워진 신HSK 시행 이후 구미권 사람들의 HSK 응시가 늘어나는 등 중국 정부가 원했던대로 중국어 보급 측면에서는 효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시험의 변별력이 떨어지고 중국어 학습자들의 전체적인 수준이 하향평준화되는 문제도 발생했다.
중국국가한판도 이런 문제점을 의식하는지 최근에는 HSK 출제 난이도를 점점 높이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30]그러므로 몇년만에 HSK를 치는 수험생들은 주의해야한다. 최근의 HSK 난이도는 여전히 구 HSK보다는 낮지만 초창기의 신HSK보다는 많이 높아졌다.(특히 듣기 )

9. 비판


쓰기 영역이 있다는 것을 감안해도 응시료가 상당히 비싼편이다. 대학입시나 취업 등에 스펙으로 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응시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5급이나 6급에 응시하는데, 5급의 응시료가 88,000원이고 6급은 98,000원이다. 이것은 종이시험(PBT) 기준이고, 컴퓨터로 치르는 IBT 시험은 5급이 95,000원이고 6급은 110,000원이나 된다. 토익 응시료 44,500원과 비교해보면 두배가 넘는 비용이 든다. 또한, 온라인접수할 때 추가비용이 있다보니 접수비와 온라인접수할때의 추가비용을 합치면 많이 늘어나기도 한다.
이렇게 비싼 응시료를 받으면서도 시험관리는 상당히 허술하다.
HSK한국사무국 홈페이지를 보면 시험 성적은 다음달 같은 날짜에 공개한다고 되어 있다. 6월 15일에 시험을 봤으면 다음달 15일, 즉 7월 15일에 성적 조회가 가능하다는 뜻. 그런데 이 날짜를 지키지 않고 자기들 마음대로 성적발표를 연기하는 사례가 심심치 않게 발생한다. 당장 네이버 검색창에 'HSK 성적 지연' 혹은 'HSK 성적 연기' 등의 단어로 검색을 하면, 성적발표 날짜가 연기되었다며 불만을 토로하는 내용의 글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응시자들이 시험을 보는 목적은 HSK점수를 대학입학원서나 취업원서 등에 스펙으로 제출하기 위해서인데, 성적발표가 지연되어 그 사이에 대학이나 기업의 원서접수 기간이 지나버리기라도 하면 어떡할 것인가. 이는 응시자의 인생을 바꿔버릴 수도 있는 사안이므로, 약속한 날짜에 성적을 발표하는 것은 시험관리의 핵심적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으며, 비싼 응시료를 받고 시험을 주관하는 기관의 중요한 책임이다.
그런데 HSK는 이러한 기본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드물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급기야 2019년 8월 17일에는 컴퓨터로 치르는 IBT 시험의 서버 오류로 시험 자체가 아예 취소되어버리는 대형사고를 쳐서 뉴스에까지 등장했다. HSK서버오류 시험중단. 500명 정도의 응시생이 시험을 치르지 못했다고 하는데 일부 수험생은 하반기 기업 공채 마감 날짜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같은날 PBT(인쇄된 시험지로 치르는 시험)를 치른 응시자들은 이 소식을 듣고 '휴~ IBT가 아니고 PBT 응시하기를 잘했네~' 라고 생각하고 안도했으나... 성적 발표일인 9월 17일이 되어 수험번호를 입력하고 확인버튼을 누르기를 하루종일 반복해도 2019년 8월 17일 PBT 성적이 조회되지 않아 이상하게 생각하던 중, 저녁 6시가 되어서야 '택배 운송 문제로 성적발표일을 10월 1일로 연기한다' 는 황당한 내용의 문자메세지를 받았고, 이 사례 역시 언론에 보도되었다. HSK성적발표 지연. 댓글마다 울분에 찬 응시자들의 원성이 가득하다.
HSK에 응시하고자 하는 수험생은 주관사의 이런 허술한 시험관리를 감안해, HSK성적을 제출해야 하는 시점으로부터 되도록 3개월 정도의 여유를 갖고 응시할 것을 권한다. 성적발표에 1달, 성적발표 후 성적표가 도착하기까지 또 2주를 더 기다려야 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 정도의 여유는 두고 응시를 해야, 혹시 사고가 생기더라도 한번 더 응시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10. 기타


홈페이지에서 각 등급별 문제 유형이나 답안지 양식등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시간이 좀 지난 기출문제들이다. 갈수록 학생들의 수준이 올라가면서 시험의 난이도도 올라가고 있어 최근 문제들은 이것들보다 훨씬 더 어렵다고 보면 된다. 특히 청해. 모의시험지+답안 4회 분량을 제공하고 있다. 이 사이트가 접속불량할 경우 모의시험지+답안 여기서도 제공하고 있다.
듣기 시험 처음 부분에 흘러나오는 얼후(二胡) 연주곡의 제목은 '良宵'로 얼후로 연주되는 명곡들 중 하나이다. 지금은 인트로곡이 바뀌었다.
간체자뿐만 아니라 정체자로 쓰기 답안을 작성해도 감점되지 않는다. 한국의 인터넷에는 정체자를 쓸 때는 모든 답안을 정체자만으로 써야 한다는 말이 떠돌고 있지만, 그럴 필요 없이 어떤 문항은 간체자로, 어떤 문항은 정체자로 작성해도 문제 없다. 예를 들어, 5급 시험의 작문에서, 단어 배치는 그대로 간체자로 작성하고, 작문 파트만 정체자로 작성할 수도 있다. 단, 하나의 문항에 간체자와 정체자가 섞이는 것은 감점의 요인이 될 수 있다.

[1] 정식명칭은 국가한어국제추광영도소조판공실(国家汉语国际推广领导小组办公室) 2019년 8월부터 중국국가한판에서 한고국제(汉考国际)로 일부 기관에서의 명칭이 변경되었다.[2] 과거에는 베이징어언대학이 주관하였다.[3] 대표적으로 조선족.[4] C2는 사실상 그 언어를 마스터했다고 말할 정도의 기준을 가지고 있다. 문서의 조건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해당언어로 전문서적을 읽고 쓰는데 문제가 없는 수준으로, 그 기준대로라면 모국어도 C2 수준으로 하지 못하는 사람이 국민의 % 단위에 상당할 것이라는 게 함정. 유럽언어기준에서도 C2의 언어능력에 대해 ''''성인 원어민 중 상위 40% 이상의 고학력자 수준''''으로 표기하고 있다.[5] 누적된 총량만을 표기하였다. 참고[6] HSK 주관측에서 권장하는 수강시간. 예습/복습은 제외하고 강의를 들을 시간만 포함한다. 참고로 대학에서 3학점 강의를 듣는다면 수업시간만 45시간이 된다. 한자검정시험 등의 경험자라면 이보다 짧은 시간만 공부하고도 취득하는 경우도 있다.[7] 학원 등에서 권장하는 수강시간.[8] 당연하지만 2500개 가지고는 문제를 수월하게 풀기 어렵다.[9] HSK 주관측에서 권장하는 6급 수강시간 가이드라인은 존재하지 않는다.[10] 한국어-프랑스어의 언어학적 관계는 매우 멀기 때문에 한국인-중국어의 교습시간과 한국인-프랑스어의 교습시간을 비교하는 것은 옳지 않은 비교이다.[11] 베이징대, 인민대, 난징대, 푸단대 등 명문은 그 이상의 자격을 요구하며 (아예 자체 중국어 시험을 치르기때문에 HSK 점수를 요구하지 않는 학교도 있다. 문제가 이 자체 시험을 통과하려면 6급 취득자도 어렵다.) 애초에 수업을 따라가려면 6급 고득점 그 이상의 실력이 필요하다.[12] 통역사나 강사, 대학의 중국어 특기자 전형, 중국과 거래를 많이 하는 회사 등.[13] 본고사 전형의 경우 어문 시험이 있기 때문에 '''HSK 성적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IB, A-Level 학생의 경우 해당 중국어 과정 성적으로 대체 가능. 베이징대학/유학생 입시 문서 참조.[14] 가천대, 가톨릭대, 건국대, 경기대, 국민대, 충남대 등. 충남대의 경우 210점이 지원 조건으로 경쟁률은 8:1이다. 중어특기자 전형으로는 중어중문학과, 중국학과, 중국어교육과 등 중국 관련 학과만 지원할 수 있다.[15] 다만 6급 합격은 최소 지원자격일 뿐이고 고득점일수록 선발 가능성이 높아진다. 게다가 통번역 시험까지 쳐야 한다. 서류전형은 3:1비율로 뽑는데 hsk 6급 260은 넘어야 서류전형 안정적으로 통과하고 240~250는 떨어질 수도 있다. [16] 입학 후 1년 내에 5급 180점 이상을 취득해야한다. 안그러면 퇴학.[의역] [17] 31~32, 33~35, 36~38, 39~41, 42~43, 44~45[18] 31~33,34~36,37~39,40~43,44~47,48~50[19] 중국인이 직접 풀어봤는데 중국인도 어려워한다고 한다(...).[20] 애당초 HSK 6급의 어휘량은 5,000이 아닌 5,000 이상이다. 사실상 어휘의 제한이 없다는 뜻이다.[21] 펜을 집은 것만으로도 부정 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22] 6급 쓰기는 1000자 지문을 다 읽는 것만으로도 부담이 큰 데다가 독해력이 기본으로 되어야 하므로 될수 있으면 쓰기 영역은 독해 1부분과 함께 마지막으로 학습하는게 좋다.[23] 1년에 1~2번 정도는 매우 어렵게 출제된다. 이 경우에는 내용만 이해하고 쉽게 풀어서 써도 고득점을 얻을수 있다.[24] ibt는 2주 뒤[25] 이때 신분증을 필히 지참해야 한다.[26] 한어수평구어고시(汉语水平口语考试/漢語水平口語考試), 영문 명칭 HSKK.[27] 극초기에는 영어 약칭인 CPT라고도 불렸었다.[28] 2015년 이후로 성적표와 같이 배달되는 각 시험 백분위표를 볼 때.[29] 사실 6급 270보다도 어려웠다는 평이 많다. 구hsk는 지금보다 문제 유형이 훨씬 복잡했다.[30] 예를 들어 초창기 신hsk 때에는 필수 단어 내에서만 나왔다면 요즘은 5급 시험에 6급 단어가 대거 나타나는등 단어 수준이 전체적으로 많이 높아졌고 듣기 속도도 많이 빨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