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영어 영역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가 우선 적용되는 문서입니다. 다른 문서들과 달리 개인적인 의견을 배제하여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서술로 바꾸실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현재 적용 안 됨.)


1. 개요
2. 역사
2.1. 상대평가 시절
2.2. 절대평가 시대
3. 특징
3.1. 듣기·말하기(청해)
3.1.1. 꿀팁
3.2. 읽기·쓰기(독해)
4. 문제 유형
4.1. 듣기
4.2. 읽기
5. EBS 연계
6.1. 관련 문서
7. 공인영어시험과의 상관 관계


1. 개요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력(영문) 평가 명칭 변화'''
외국어(영어) 영역
(2013 수능까지)

영어 영역
(2014 수능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교시(13:10~14:20) 응시 영역.[1] 제1외국어(영어)의 지식수준과 이를 통한 언어 및 논리능력을 테스트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역이다. 수능 답안지 색상은 하늘색이며, EBSi의 색상은 주홍을 쓰다가 2021학년도엔 잠시 플라밍고색으로 바뀌었다.

2. 역사


학년도[2]
문제 수
시간
만점
1994 ~ 1995
50 (듣기 8)
80분
40점
1996
50 (듣기 10)
80분
40점
1997 ~ 2000
55 (듣기 17)
80분
80점
2001 ~ 2004
50 (듣기 17)
70분
80점
2005 ~ 2013
50 (듣기 17)
70분
100점
2014
45 (듣기 22)
70분
100점
2015 ~ 현재
45 (듣기 17)
70분
100점

2.1. 상대평가 시절


학력고사에서 수능으로 입시제도가 바뀌면서 가장 수준이 폭락했던 영역이다. 언어 영역수리탐구 영역(Ⅰ)이 수능 초기인 94~97년도에는 수준이 나름 어려웠던데 비해, 외국어는 수능 체제로 바뀌자마자 갑자기 쉬워졌다. 특히 학력고사에서 줄창 물어보던 문법과 어휘 암기 문제가 사라지고 그 자리를 듣기와 독해가 차지하게 되면서(학력고사 때는 듣기가 없었다), 초반에만 잠깐 학생들이 적응하지 못했을 뿐…적응하자마자 외국어영역은 사실상 양민학살의 영역이 되었다.[3]
6차 교육과정 시대에는 수준이 더욱 더 낮아졌다.(…) 안 그래도 덜 물어보던 문법은 50문제 중에서 2문제밖에 나오지 않았고, 어휘수준은 고1 공통영어(6차)에 맞춰지면서 만점자 및 기껏해야 1개 틀린 학생들을 양산했다. 그 어려웠다던 02수능에서도 외국어 영역에는 아무도 관심이 없었다. 이 당시 외국어영역은 너무 쉬워서 최상위권 학생들은 고'''1''' 겨울방학 이후로는 문제집이나 실전모의고사만 꾸준히 풀 뿐 별도로 영어공부는 하지 않는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고, 많은 학원 영어강사들이 어떻게든 영어의 중요성을 강조해 보려 해도 수험생들은 상큼하게 무시하고 그 시간에 언어나 수리, 공통사회, 공통과학을 공부했다.
그러다가 교육과정이 7차로 바뀌면서 어휘 수준이 고2 영어1(7차)까지 확대되어 어려워지고 수준이 올라갔다. 2005년도부터 2008년도까지는 나름 평이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2009년도부터 본격적으로 어려워지기 시작해 2011년도에 정점을 찍었다. 2008년 이전 수능과 2011학년도 수능을 같이 놓고 비교하면 지문 길이서부터 눈에 띄게 차이가 난다. 2011학년도 6월, 9월 모의평가, 수능에서 외국어 사상 최악의 불쇼가 펼쳐졌다. 6월 평가원에서 최고난도 유형인 '''빈칸 추론이 7문제 출제되었고''' 어휘문제에서 그림이 삭제되어 '''그림'''으로 옳지 않은 어휘를 고르는 문제가 '''문맥'''으로 옳지 않는 어휘 찾기로 바뀌었다. 그런데도 EBS 버프에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아서 1등급컷이 93점.
그리고 9월 평가원에선 빈칸 추론 중 한 문제가 접속사로 출제된 덕에 순수 빈칸이 '''6문제'''로 줄긴 했지만 오히려 1등급 컷은 '''90점'''까지 떨어졌다. 이때 오답률 베스트를 꼽으면 빈칸추론만 나열될 정도로 빈칸 추론의 수준이 사상 최악을 찍고 굉장히 어려워졌다. 9월 평가원 모의고사에 대해 EBSi에서 오답률 외국어영역 부문을 보면 1,2,3,5위가 모두 빈칸이었고 모두 높은 오답률을 보였다.[4] 9월 28번은 21%였다. 11 수능에서는 최악의 정답률을 기록한 문제도 등장하였다. 26번이 13%의 정답률을 기록. 수학적으로는 차라리 찍는 게 더 정답률이 높을 지경이다. 등급컷은 또다시 '''90점'''을 찍었고 이에 따라 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외국어 불쇼'''를 구경할 수 있게 되었다.[5] 깜짝 놀란 평가원이 12수능에서 난이도를 낮춰봤지만 1컷이 97로 수직 상승했고 13수능에서는 93으로 다시 내려왔다.
2014 수능에서는 A형/B형으로 나누고 듣기를 22문항으로 늘렸다. 하지만 대부분의 상위권 대학교에서 문이과 공통으로 영어B를 입시조건으로 달아 버려 A형을 보는 것이 사실상 의미가 없어서[6] 결국 딱 한 번 하고 바로 다음인 2015 수능부터는 폐지되었다. 이 때의 영어 B형은 A형으로 빠진 인원들로 인해 13수능급 이상의 헬수준에도 1등급컷이 '''93점'''으로 잡히는 위엄을 자랑했다.[7] 반면 A형의 경우 매우 쉬운 수준에도 6, 9평에서 1컷 87점이 나오는 등 안습한 상황을 겪다가 본수능에서 A형으로 탈출한 중위권들에 의해 1등급컷이 95점까지 올랐다. 하지만 15학년도 곧바로 폐지 수순을 밟았다.
대한민국에서 영어로 인한 영어 사교육비 비용은 '''2012년 기준 전 과목 통틀어 1위'''였다. 심지어 수학보다도 많았다. 수능 영어는 그간 이렇게 사교육을 받은 고득점자의 수준에 맞추다보니 문제를 어렵게 출제하고, 어려운 문제 때문에 다시 영어 사교육이 늘어나는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다. 갈수록 올라가는 난도에 하버드대 교수가 쓴 글에 빈칸을 뚫어 문제를 출제하기에 이르렀으니 사교육이 줄어들 수가 없는 구조. 물론 이는 수학 영역이나 국어 영역, 탐구 영역 등도 마찬가지이다. 사교육으로 인한 수준 상승은 사실 최근 수학 영역(특히 가형)이나 과학탐구 영역(특히 화학, 생명과학)도 만만치않다. 영어 회화라든지 원어민급 듣기 능력을 평가한다면 모를까 수능 영어는 고등학교 3학년 수준의 독해, 듣기 실력을 갖추었다고 한다면 결국 사고력과 독해력에서 갈린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일상 생활에서나 학교에서 치르는 영어 시험에서 해외 거주 경험 혹은 영어 조기 교육으로인한 실력차가 체감이 될 정도인데다가 영어라는 언어를 학습한다는 점에서 수능의 다른 영역과 비교했을 때 사교육으로 얻는 능력치가 명확히 차이가 나는 분야가 영어이기 때문에 기성 세대의 입장에서는 특히나 사교육을 조장하는 영역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어왔다.

2.2. 절대평가 시대


이에 2018학년도 수능부터는 영어 영역 절대평가를 실시했다. 1등급컷이 90점으로, 이후 등급컷이 80, 70,...으로 10점씩 낮아진다.
절대평가 첫 해인 2018 수능에서는 부쩍 쉬워진 난이도에 1등급이 자그마치 10%나 나오며 변별력을 상실하고 말았다. 이에 수험생들은 영어보다 다른 과목에 시간을 쏟기 시작했고 결국 2019 수능에서 1등급 비율이 지난해의 절반인 5%로 뚝 떨어지는 대참사가 발생하고 만다. 아무리 상대평가 시절보다 쉽다고는 해도 평가원이 언제 뒷통수를 칠 지 모르기 때문에 철저히 준비해 둬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 부분. 2020학년도에는 1등급 비율이 7~8% 사이에서 집계되며 난이도 조절에 성공한 것으로 보였지만 2021학년도에는 1등급 12%로 제대로 물을 먹고 말았다. 이처럼 연도별로 난이도가 널뛰기를 하고 있어 다음 해에 어떤 기조로 나올지 예측이 전혀 불가능하다!
정시 입시에서는 서울대학교고려대학교[8], 서강대학교와 같이 아예 등급당 0.5점~1점씩 감점해서 영향력이 대폭 줄어든 학교와 연세대학교한양대학교, 중앙대학교와 같이 2등급은 4~5점을 깎아버리고 그 이하로는 더 큰 폭으로 점수를 깎아버려서 2등급 밑으로는 지원할 생각도 못 하게 만드는, 여전히 영어의 실질 반영비가 큰 학교들로 나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영어 성적이 1등급인 학생들은 후자의 학교에, 2등급 이하인 학생들은 전자의 학교에 지원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아무리 대학들이 영어의 반영비를 높이려고 노력해도 경희대학교 같은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9] 표점으로 반영하던 시절보다 변별력이 많이 떨어진 건 분명하다. 한편 수시의 경우는 수능최저등급에서 영어도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3. 특징


45문항 100점인 것은 국어영역과 같으나, '''시험시간이 국어보다 10분 짧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이 금이다.'''[10][11]
절대평가로 전환되기 이전에는 문과 한정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최종보스 중 하나였다. 특히 그 해 국어영역이 쉽게 나왔을 때 이 말은 전혀 과언이 아니었다. 사실상 문과는 국어, 영어에 비해 수학 성적 반영을 낮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지라 이과에 비해 수학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 않으며 탐구영역의 경우에는 다양한 선택권이 있고 좋아하는것을 선택하다 보니 그다지 큰 부담을 느끼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제 2외국어는 반영 안하는 대학이 많아서 하는 학생들만 하고, 국어 영역의 경우에는 최상위권에서나 최종 보스 취급을 받을 뿐 중하위권들은 그냥 저냥 기본만 하자는 생각을 가진 경우가 대부분이며 실제로도 시간을 많이 투자한다고 성적이 눈에 띄게 오르는 과목이 아니다 보니 결국 '''고3 문과 수험생들은 공부시간의 많은 부분을 영어에 투자했었다.'''[12]
특히 2010년대 중반까지 대학들이 꾸준히 국어 반영비를 줄이고 영어 반영비를 높여서 절대평가 전환 직전에는 대부분의 상위권 대학들이 문이과 할것없이 국어 반영비보다 영어 반영비를 높게 책정하게 되었다.[13]

3.1. 듣기·말하기(청해)



루이지 보케리니의 미뉴에트[14]

'''안녕하십니까? 20XX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듣기평가 안내방송입니다.'''

'''실제로 영미권에서 말하는 사람들의 말 속도에 비하면 상당히 느리다.''' 토익이나 토플 듣기와 비교하면 정말로 느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텝스에 단련된 특목고 학생들에게는 더더욱.'''[15] 수능 본시험에서는 미국 백인 발음이 100% 출제되었다. 평가원 모의평가에서는 캐나다 출신으로 바꾸는 실험을 하기도 했다. 고교 시도교육청 영어듣기에서는 4~5문항 정도 영국식 영어 발음이 나온다.[16] 아이엘츠에서는 종종 나오는 미국 흑인 영어 성우, 인도 영어 성우, 호주 성우 등이 나온 적은 지금까지는 절대 없었으니 안심해도 좋다.
듣기 대비한답시고 서점가서 문제도 이상하고 말만 빠른 공인영어시험용 듣기 책 사서 듣지 말고, 반영 비율이 상당히 높은 연계교재인 EBS 수능특강 영어듣기 또는 평가원, 수능 기출문제를 받아 반복해서 듣는 걸 추천한다. 평가원은 수능 듣기에서 그다지 변별력을 확보하려 하지 않는다. 수능/평가원기출이 지겨워지면 교육청 기출도 좀 풀어보자. 15분짜리 사설 듣기평가를 듣다가 '''20분'''짜리 수능 듣기를 들으면 체력이 안 생겨서 막판에 집중을 못 해서 뒷부분 말아먹는다. 그리고, 수능의 듣기와 토익, 토플의 듣기는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두도록 할 것. LC 수준을 비교하자면 토플 >> 토익 >> EBS 전국영어듣기평가 >> 수능이다. 네이티브라도 시험이 무슨 식으로 나오는지는 알고 시험치러 가자. 사설 모의고사나 시중 영어듣기 교재로 공부하다가 평가원 문제나 수능 기출 문제를 들으면 굉장히 느린 것을 느낄 수 있다. 이런 느린 속도에 적응 못해서 망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 의외로 수능에 가까워지면 이렇게 느린 듣기 속도 때문에 더 고역이라는 걸 알 수 있다.이 속도에 적응 못하면 영어 듣기와 독해는 기본이요, 경우에 따라서는 탐구와 제2외국어까지 싹 말아먹는 참사가 발생할 수도 있다.[17][18]
첫페이지 한정으로 스크립트를 잘 못들었으면 듣기와 독해를 멀티태스킹하는 아이들의 페이지 넘기는 소리로 답이 어디쯤인지 추측하는 사운드 플레이가 가능하다. 특히 답이 비교적 명확하게 제시되는 그림 일치 문제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방법. 두번째 페이지라면 ...굿 럭. 다만 요즘엔 이런경우 때문에 일부러 문제 스크립트가 끝날때까지 마킹이나 넘기지 않는 학생들이 많다. 게다가 끝부분에 훼이크가 나올수도 있어서 더더욱.
그리고 한 가지 더, 영어듣기평가에서 대화에 임하는 모든 사람은 무한히 인내적이고 무한히 이타적이며 무한히 선량한 사람들로 간주한다. 이어질 응답 추론 문제의 보기 중에 '''그럴듯하지만 왠지 내용이 삐뚤어진''' 답안은 절대로 답이 될 수 없다.
만에 하나 사고나면 '''얄짤없이 고소당할 각오를 해야하는 부분이다.''' [19]
듣기 정답률이 높으니까, 듣기 비중을 높이면 사교육 비용이 감소할 것이라고 바꿔났는데 가뜩이나 쉬운 시험, 듣기 비중 50%로 늘리면 곧바로 1등급 커트 100점이 현실화 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으나 이젠 절대평가로 등급을 산출하니 안심.
사실 듣기와 독해의 멀티태스킹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듣기 들으면서 지문을 쭉 읽고 답이 한번에 안 나오는 문제는 넘겨버리는 것이다. 막혀서 당황하다간 오히려 안 하는 것만 못하다. 듣기 들으면서 한번 죽 읽고 답이 안 나오는게 사실은 당연하다는 것을 미리 머릿속에 깔아놓고 읽어야 한다. 필수가 아니라 선택인 만큼 부담감 없이 푸는 게 중요하다. 주제/제목 문제가 어느 정도 수준 있게 출제되었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도표나 실용문 일치/불일치, 내용 일치/볼일치, 지칭 추론, 심경/분위기 추론 등의 유형들을 먼저 풀어버리는 전략도 괜찮다. 43~45번의 장문독해를 듣기에서 푸는 경우도 있는데 흔히 나오는 순서 배열 형태의 지문일 경우에는 다소 까다로울 수 있으나 순서가 맞추어져 있고 심정, 분위기 추론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금방 풀어버릴 수 있으므로 나쁘지 않은 방법이다.
가끔가다 듣기 시간에 '''빈칸추론'''과 '''간접쓰기'''(문장삽입, 순서배열 등)를 시도하는 기인이 존재한다. 듣기가 끝나기 전까지 31번부터 40번까지를 풀어버릴 경우 여유시간이 기본 20분 이상, 심하면 30분까지도 나온다. 하이 리스크 로우 리턴인 짓인 만큼 멀티태스킹 실력에 웬만큼 자신이 있지 않은 이상 시도조차 하지 말자.

목표하는 등급에 관계없이 무조건 다 맞혀야 한다는게 정설. 듣기에서 사고 치면 그 압박감 때문에 뒷부분 독해를 말아먹을 수도 있고.... 독해 파트만 나와있는 문제집에서는 듣기 다 맞았다는 전제 하에 점수를 계산한다.
2019학년도 9월 평가원 이후로 듣기가 어려워졌다는 얘기가 있다. 특히 페이크 주거나 단어 하나 잘못 들으면 답이 완전히 달라지는 문제가 몇몇 있어서 방송장비가 좋지 않은 학교 학생들이 피해를 많이 보았다.

3.1.1. 꿀팁


듣기 부분의 경우 일단 음성이 나와야 문제를 풀 수 있으므로 문제 푸는 시간이 사람마다 다 같은 반면 독해 부분은 그렇지 않고 상술했듯이 외국어 영역은 시간이 금이기 때문에 문제 사이사이의 공백 기간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게다가 듣기를 푸는 중에 독해를 풀지 못하게 막는 규정도 없어서, 이를 이용해 뒷 문제 몇 개를 풀어버리는 학생들도 꽤 있다. 쉬운 문제는 듣는 중간에 답이 나와버리기 때문에 체크하고 재빨리 뒤의 독해지문을 읽으면 그만큼 시간이 절약된다. 잘 모르겠으면 여러 번 직접 해 보면 감이 온다. 숙달되면 듣기문제가 나오는 동안 9~11개의 독해문제를 풀어버리기도 하는데 이 경우 10분 이상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셈. 듣기 도중에 다른 문제를 미리 보는 것이 허용되기 때문에 부정 행위가 아닐 뿐더러 엄연히 고득점을 위한 하나의 전략이다. 다만, 1번과 2번 문제는 다른 문제와 달리 스크립트가 너무 짧아 한 마디만 놓쳐도 답을 알 수 없는 경우가 허다하니 3번쯤 부터 독해를 시작하는 것을 추천한다. 멀티태스킹을 더 향상시키는 방법은 듣기 문제의 유형을 간파하는것. 어차피 영어 듣기는 정말 나오던 대로만 나온다. 이 유형을 간파했다면, 덜 중요한 부분은 아예 듣지를 않으면 된다. 포인트가 나오기 전에 이루어지는 대화에는 귀를 조금 열어두고 독해를 하다가, 포인트가 나오면 답을 체크하고, 그 후에 이어지는 대화에는 귀를 조금 열어두고 풀면 된다. 다만, 이 방법에는 두 가지 약점이 있는데, 첫 번째로는 모든 내용을 들어야하는 문항(세부 내용을 묻는 문항)에서는 어쩔 수 없이 다 들어야 한다는 점이고, 두 번째로는 평가원에서 일부분만 골라 듣는걸 막기 위해 파놓은 함정에 주의해야 한다는 점이다. 다만, 이 함정을 파는 문제도 획일화 되어있어 대비가 가능하니 너무 걱정하지는 말 것. 이 두가지만 유의하면 멀티태스킹이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대학에 가서도 많은 사람들이 토익 시험에서도 디렉션 시간에 파트5나 파트7 문제를 푸는 식의 스킬을 쓰기도 한다.[20][21]
그러나 2010년대 중반에 들어서 '''평가원도 이 사실을 간파했기 때문에''' 이 전략이 통하지 않도록 독해 초반부 문제를 어렵게 내게 한다. 실제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에서는 읽기 18~19번의 수준이 보자마자 답이 나오는 쉬운 문제가 아니었기 때문에 당황하다가 듣기 2번을 틀리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수능에서는 본인이 정말로 한쪽 귀를 막고도 듣기를 다 맞힐 정도의 실력이 없다면 '''절대로''' 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피보는 수가 있다!
그리고 '''수험생들은 이 사실을 다시 간파하고''' 4쪽부터 풀기 시작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4쪽에는 주로 25~28번 문항이 들어가는데 25~27번 문항이 가장 쉬운 일치/불일치 문항이기 때문. 또한 한쪽 앞인 3쪽에는 도표 문제가 있고 5쪽에는 지칭 추론 문항이 있는데, 이들은 기본 실력 테스트용으로 매우 쉽게 나오는 문제들이기 때문에 차라리 이쪽부터 푸는 것을 권장한다. 실제로 45문제 전체를 통틀어서 도표 불일치/일치 문제와 안내문 문제는 가장 쉽고 빠르게 풀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두 번 들려주는 문제인 16-17번을 한 번에 풀어뒀다면, 25-28번 문제를 풀고 있는것도 전략. 4쪽을 접어 2쪽 듣기 문제들과 함께 보이게 하거나, 아예 시험지의 위치를 바꾸어 1페이지를 3페이지의 위에 놓고 접는 방법이 유용하다.
특히 음질에 민감한 사람들을 위한 꿀팁. 안드로이드 어플 중 'Audiosdroid'라는 앱을 설치하여 영어듣기 파일을 불러온 후, Effect 탭에서 필터효과 3에 High Tone을 0에 가깝게 설정하면 스피커 특유의 뭉게지는 음향을 재현할 수 있다.

3.2. 읽기·쓰기(독해)



*ukin' stupid!

-이근 대위-

지문의 길이는 초반에는 그리 긴 편이 아니지만 후반에는 3문단 순서 맞추기 같은 문제들이 나와서 영어 못하는 하위권은 갑자기 힘들어진다. 아예 뒤에서부터 푸는 사람들도 볼 수 있는 영역. 사실 많은 선생이나 강사들이 외국어영역 푸는 시간이 모자라면 뒤에서부터 푸는 것을 추천한다. 아니면 자기만의 풀이 순서를 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22]
국어 영역과는 다르게, 이 영역은 '''거의 다 비문학''' 지문만 나온다. [23] 다만 사설, 교육청 모의고사에서 영문학 지문이 보일 수 있으며, 작가의 심경을 묻는 문제 / 지칭을 추론하는 문제 / 3문제 복합문단을 문학에서 발췌해 적당히 가공해서 내는 경우도 있긴 하다. 2007학년도 3월 3학년 모의고사의 글의 분위기를 묻는 문제에서 소설 '''브로크백 마운틴'''이 지문으로 나왔다. 소설 '''반지의 제왕'''의 내용이 일부 발췌, 수록된 모의고사도 있었다. 2016년 9월 고1 학평에서는 Lois Lowry의 'Number the Stars' 중 일부가 실렸다. 어떤 순서추론 문제에는 '셜록 홈즈의 모험' 중 '녹주석 보관'의 일부가 출제된 적이 있다.[24]
비교육적인 지문은 잘 출제되지 않는다. 시험 문제에서 과연 죽음을 소재로 하는 글을 다루는 것이 적절한 지에 대하여 의견이 난무했던 적도 있었다. 시험 중 학생들의 심리 상태를 고려하여 가급적 부정적 상황으로 보여지는 글은 선정하지 않아야 한다는 주장과 그런 거 넣어도 크게 상관없다는 주장이 양립했었다.
'영어 실력' 그 자체를 보기 보단 '''영어로 쓰인 글의 논지를 파악하는 논리력'''을 보는 시험이라, 원래는 나름대로 논리적인 지문이 많았다. 그러나 이것이 변질되어 한 문제 당 몆 초만에 정답과 관련된 내용을 찾거나, 유추해서 아주 쉽게 풀 수도 있는 영역이 되었다.[25] 그리고 2010년 EBS 연계정책 이후부터 많은 지문들이 짜깁기 의혹을 불러 일으킬 정도로 논리적으로 난해한 구조를 보여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26] 오직 변별력 강화, 즉 '못 맞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만드는 문제이기 때문에 문장을 일부러 꼬아서 쓰거나 일부러 중언부언을 해서 이해할 수 없게 내는 문제가 많아졌다. 비단 영어로 된 학술논문 뿐만 아니라 어떤 글쓰기도 마찬가지지만, 읽었을 때 무슨 말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간결하게 쓰는 것은 기본이다.
토익, 토플 쳐 본 사람들에게 수능 외국어는 껌...이었으나, 수능 수준이 상당히 올라간 지금은 섣불리 판단하기 어렵다. 다만, 수능이 문장 구조를 이리저리 길게 만들어놔서 다른 시험보다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건 사실.[27] 문장을 너무 꼬아 놓은 나머지 최근에 오히려 원어민조차 풀기 어려워지는 기현상이 일어 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로는 엉뚱한 단어선택이 있다. 아무리 뜻이 비슷하다고 아무 단어나 막 쓰면 안 된다. 어느 언어에나 문맥에 따라 어울리는 단어가 있고 안 어울리는 단어가 있는 법이다. 가령 한국어의 경우 ‘이미 오래전에’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 ‘벌써’와 다 끝나거나 지난 일을 이를 때 쓰는 부사 ‘이미’의 경우 ‘나는 그 일을 이미 알고 있었다./나는 그 일을 벌써 알고 있었다.’와 같이, 서로 넘나들어 쓰이는 것이 자연스러우나, ‘벌써 집에 가려고’라는 말을 ‘이미 집에 가려고’로 대체해서 쓰면 문맥이 자연스럽지 않게 된다. ‘예상보다 빠르게 어느새’의 뜻을 나타내는 ‘벌써’는 ‘이미’로 대체해 쓸 수 없기 때문이다. 영어도 마찬가지다. 각각 단어에는 connotation, 즉 내포하는 분위기 같은게 있다. 쉬운 예를 하나 들자면 묵인하다의 acquiesce와 껴안다의 embrace는 전부 수용하다로 쓰일 수 있지만 각각 쓰일 경우 문장의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진다. 그래서 '부패한 정치인이 잘못된 정책을 받아들였습니다.'에서 '받아들이다'로는 acquiesce가 쓰여야지 embrace는 쓰일수 없다.[28]
그런데 이렇게 중요한것을 단순히 문제를 어렵게 만들기 위해 단어의 수준을 높이려고 무시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위의 acquiesce와 embrace는 정확한 의미만 알면 쉽게 구별할 수 있었지만 argue a claim (주장하다)과 establish a claim (주장하고 증명까지 하다, 즉 규명하다) 처럼 얼핏보면 쉽고 비슷해보이는데 막상 다른것들도 많다. do, act, practice, perform, conduct, execute, implement도 전부 똑같은 '하다'로 해석될수 있지만 각각 주어에 따른 쓰임새가 미묘하게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do'를 써야하는 문장을 단순히 어렵게 만들어 보겠다고 'execute' 같은걸 넣으니깐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ex: 심부름을 하다 → 심부름을 수행하다) 이런 문제는 수식의 역할을 하는 형용사/부사에서는 더 심하게 나타난다. 얼마나 강한/약한 어조를 가지고 있는지 크게 생각하지 않는것 같다. 또, 단어가 지닌 connotation이 지문의 전체적인 tone이랑 안 맞는 경우도 꽤 많다 (물론 출제하시는 분들은 이런거 다 알고 계시겠지만 적당한 수준으로 난이도 조절을 하려면 어쩔수 없는듯 하다). 유튜브에서 외국인들이 어려운 문제들을 풀면서 뭔지 이해는 되는데 자기들은 단어 이런식으로 안쓴다고 하는 이유가 이거 때문인걸로 추정된다.
교과서와는 수능에 잘 연계가 안되는데, 이는 범교과적인 소재를 다루고자 하는 수능 본래의 취지도 있거니와, 영어교육학에서 영어독해 능력은 학습자가 읽어보지 못한 지문으로 해야 제대로 평가가 이루어진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5년 넘게 지속되고 있는 최근의 연계 정책은 많은 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하위권의 경우 심경, 분위기 추론과 글의 요지, 주제, 목적, 자료 분석, 내용일치, 지칭 추론 등과 같은 쉬운 문항을 먼저 맞추는 것도 좋다. 중요한 것은, 기초적인 문법과 단어 암기다.
어느 정도 실력이 붙으면 무관한 문장 찾기 [29] , 어휘, 어법, 제목, 요약문 등과 같이 좀 까다로운 문제를 다룰 필요가 있다. 좀 귀찮지만 장문 독해도 할 필요가 있다.
상위권의 경우에는 빈칸, 문장의 위치 추론, 글의 순서 맞추기 등과 같은 고난도 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문장 위치나 글의 순서는 논리력이 필요하다. '''특히 빈칸추론은 가장 출제빈도도 높고 오답률도 굉장히 높다.'''[30] 최상위층도 힘들어 하는 유형이 바로 빈칸이다. 그리고 3점 문제는 빈칸 추론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수능 독해 유형 중 최고의 수준을 자랑한다. 빈칸은 주제형 문제인데다 앞뒤 문맥의 흐름을 파악해야 하므로 구조에 대한 이해도 필수. 그리고 선택지의 어휘 역시 상상을 초월하기 때문에 어휘를 모르면 지문을 다 독파하고도 찍게 된다. 귀찮으니까 그냥 읽으면서 풀자. 어차피 라노벨을 영어로 읽을 수 있는 정도면 의외로 이게 더 쉽다. 그리고 이 유형은 텝스, 토익, 공무원 시험 때도 지긋지긋하게 따라다닐 것이다... 너무 어렵다면 그냥 선지를 좋은 말, 나쁜 말로 나눠보자.
가끔, 혹은 자주 문단의 앞뒤만 읽고 푼다든가 그런 문제스킬이 뒤떨어져 난감해하는 학생들이 많은데, 사실 어느정도 영어실력이 높아졌다 싶으면 문제를 다 읽고 푸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 오히려 문제에 대한 이해나 답에 대한 확실성은 높은듯. 어차피 70분안에만 마킹하고 풀면되니 무조건 일찍 끝낼려고 애쓸 필요는 없다.

4. 문제 유형


문제 유형이 다른 과목에 비해 비교적 정형화되어 있으며 문제 출제 순서 정도만 바뀔 뿐 비율도 항상 같게 나온다.

4.1. 듣기


  • 목적 추론 : 안내문으로 되어 있는 유형. 공지, 홍보, 강의, 조언 등이 주된 주제. 이 유형의 지문 중간에 나오는 것은 낚시일 확률이 높다. 또한 이 낚시가 선지에도 있기 때문에, 키워드 하나에만 집중하지 말고 모든 부분을 두루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의견 추론 : 간단한 대화문으로 되어 있으며, 남녀 중 한 명이 주장하는 바를 찾는 것이다. 주로 의견을 먼저 말하고 그것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나중에 말하기 때문에 중후반부에 집중해서 들으면 답을 캐치할 수 있다.
  • 주제 추론 : 안내문과 대화문 모두 나올 수 있다. 위 의견 추론의 확대 버전으로, 대화 혹은 지문 속에서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해야 한다.
  • 관계 추론 : 어떠한 직종 및 역할이 있는 두 사람의 대화문으로 되어 있으며, 처음과 중간엔 헷갈리게 하는 담화가 계속되다가 마지막에 힌트가 주어진다. 한번 관계를 확정시키면 그 이후로는 술술 들리는 유형.
  • 그림 정보 파악 : 대화문을 듣고 문제의 그림과 대화의 상황이 일치 하지 않는 것을 고르는 유형. 보통 어떠한 사진이나 상황을 보고 감탄하면서 선지 순서대로 짚어가는 내용이다. 쉬운 유형이지만 단어 하나하나까지 세심하게 들어야 하며 어휘가 발목을 잡는 경우도 있다. 확실하다면 옆에 표시를 해 두자. 가끔 낚시를 하는 문제도 있으니 대충 듣지 말기 바람. 여담으로 이 문제가 찍어서 맞을 확률이 더 높은데, 선지가 하나씩 끝날 때 다른 학생들의 마킹 소리가 들리는 유일한 문항이기 때문이다. 답안을 헷갈리거나 문제 자체를 듣지 못했을 경우, 최후의 방법으로 이걸 쓰는 것도 나쁘진 않다.
  • 할 일 파악 : 일상 상황의 대화문으로, 마지막에 할 일이 그대로 나오며 대화가 마무리된다. 이 때 도움이 필요하다 혹은 도움을 주겠다는 말이 나왔을때 집중하고 듣기. 반전이 있는 경우가 꽤 있으므로 끝까지 주의를 집중할 것.
  • 부탁한 일 파악 : 위의 할 일 파악에서 '남자(여자)가 해야 할 일'이 '남자(여자)가 여자(남자)를 위해 할 일'로 바뀐 형태다. 이 경우 부탁하는 사람이 말을 하니 그걸로 들으면 된다.
  • 수치 정보 파악 : 前 단골 3점 문항. 2017년 중반부터 수준이 많이 하락한 이후론 2점 문항으로 출제된다. 상인과 소비자의 대화로, 보통 A물건 M개, B물건 N개를 구입한 후 할인 쿠폰을 사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의 경우는 10% 할인쿠폰이지만 가끔씩 20%나 30% 할인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10%가 아닌 10달러 할인으로 낚는 경우도 있다. 단순히 대화를 듣는 데에 그치지 않고 듣는 동안 산수 계산도 해야 하며 조금이라도 놓치면 계산이 잘못될 수 있기 때문에 자칫하다가 틀리기 일쑤이다. 이에 한술 더 떠 가끔 할증이 붙을 때도 있으며, 일정 가격 이상 배송비 무료, 심지어 무이자 할부(!)도 튀어나온 적이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집중해야 하는 문제이다. 암산으로 해결하기 버거우면 문제지 여백에 구매 정보를 필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이유 추론 : 대화문이다. 보통 이런 저런 얘기를 하다가 "난 그걸 (못)해" - "왜? 혹시 (틀린 선지) 때문이니?" - "아니, (맞는 선지) 때문이야." 같은 부분이 들어가 있다는 게 특징. 이 부분을 잘 캐치하면 쉽게 풀어나갈 수 있다.
  • 언급하지 않은 것 찾기 : 두 사람의 대화로, 보통 문제에 나온 것(보통 장소나 행사)을 소개해주는 내용이다. 친절하게도 문제에 1번~5번에 있는 순서대로 나오기 때문에 들으면서 슥슥 지워나가면서 풀자. 주로 4번 아니면 5번이 정답이므로 초반 흐름을 놓쳤다면 후반부라도 열심히 듣자.
  • 내용 일치/불일치 : 큐레이터 등이 말하는 소개문이다. 읽기 유형의 그 쉬운 문항이 아니다! 대화문이 아닐뿐더러, 대회 개최 기간을 정확히 파악해야 하는 등 단어 하나하나 다 들어야 하기 때문에 꽤나 어렵다. 하지만 진행 자체는 읽기의 그것과 비슷하게 1번부터 차례대로 언급해나가는 방식. 읽기를 푸는 것과 같이 맞는 부분에 체크해가며 풀면 수준이 내려간다. 읽기와는 다르게 1번과 2번에도 답이 나오는 경우가 있다. 첫 페이지 마지막 문제이므로 혹시 잘 못들었다면 다른 애들 페이지 넘기는 소리로 사플을 하며 답을 고르자.
  • 표 내용 파악 : (인터넷) 상점에서 살 것을 고르는 사람과 그 상대가 표를 보면서 살 것을 고르는 문제. 항목당 열 수가 4개이기 때문에, 표에 제시된 내용을 파악하고 지문을 들으면서 살 사람이 말하는 대로 제대로 들으며 구매를 원치 않는 품목을 하나씩 슥슥 지워나가면 바로 풀린다. 대체로 먼저 제일 비싼 것이 예산부족을 이유로 제외되고, 그 다음에는 제품의 성능이나 재료가 제일 부실한 것이 제외된다. 세 개의 선지가 남았을 때에는 혼자 다른 것을 우선 제외하고 그 다음에는 보통 비싼 것이 제외되지만 간혹 품질이나 필요 사항 등 다른 선택 요소를 중시하여 비싼 것을 고르는 경우도 있으니 끝까지 집중하자.
  • 이어질 응답 추론 Ⅰ : 대화문 형식이며, 지문으로 3문장(A-B-A)이 나오고 이어질 응답을 추론하는 것이다. 지문 상으로 제일 짧지만, 바꿔 말하면 처음 집중을 못하면 그대로 아까운 2점이 날아가기 때문이다. 두 문제가 출제되는데 체감 수준은 생각보다 매우 높으며, 사람에 따라서는 숫자계산 문제나 상황에 적절한 말을 추론하는 문제보다도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31] 10번 문제를 푼 다음에 11번 문제 선택지의 각 동사와 인칭대명사를 재빠르게 밑줄을 쳐야한다. 특히 마지막 대사의 동사를 잘 들어야한다. 명사는 고유명사같은 것도 존재하므로 제대로 듣지 못해도 큰 지장이 없으나 동사는 대화의 핵심이자 주제를 추측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이기 때문에 동사를 잘 들어야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그 외에도 Where(장소),When(시간),Could(부탁),지시대명사 또한 들으면 듣기문제 풀이에 더 수월할 것이다. 다른건 놓쳐도 동사만 똑바로 듣는다면 추측해서 답을 찾을 수 있으니 실수를 면할 것이다. 도저히 헷갈린다면 들으면서 선택지를 하나하나씩 소거하여 답을 찾는 연습도 해보자.
  • 이어질 응답 추론 Ⅱ : 예전에 비해 최근 들어서 지문과 선지가 상당히 까다롭게 구성되는 유형으로, 現 단골 3점 문항. 2문제가 출제되며, 위의 응답추론Ⅰ과 비슷하지만 지문 길이가 약 3~4배 쯤 길다. 듣기 후반이라 집중력이 흐트러지기 시작할 때지만, Ⅰ과는 달리, 한 문장 정도 놓쳐도 종반이 아닌 이상 돌아올 수 있다. 가장 집중해서 들어야 할 부분은 응답추론Ⅰ와 마찬가지로 마지막 문장의 동사를 잘 들어야한다. 명사는 고유명사같은 것도 존재하므로 제대로 듣지 못해도 큰 지장이 없으나 동사는 대화의 핵심이자 주제를 추측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이기 때문에 동사를 잘 들어야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그 외에도 Where(장소),When(시간),Could(부탁),지시대명사 또한 들으면 듣기문제 풀이에 더 수월할 것이다. 다른건 놓쳐도 동사만 똑바로 듣는다면 추측해서 답을 찾을 수 있으니 실수를 면할 것이다. 도저히 헷갈린다면 들으면서 선택지를 하나하나씩 소거하여 답을 찾는 연습도 해보자.
  • 상황에 적절한 말 추론 : 지문은 해설자의 상황 설명과 함께 마지막에 문제지의 문제와 같은 'In this situation, what would A most likely say to B?'[32]로 끝난다. 쉬워보이지만 막상 해 보면 상당히 어려운 유형으로 듣기임에도 정답율이 낮은 편이고, 요즘 수능에서 산수 계산 문제와 마찬가지로 듣기 3점의 단골로 나오는 문제이다. 실제로 14수능 이전 세트문항이 없던 시절에 이 문제가 듣기의 마지막 문제였을 정도. 푸는 방법은 응답추론과 비슷하다. 미리미리 선택지의 동사와 인칭대명사에 밑줄을 쳐 준 다음(밑줄을 친 것과 치지않는 것은 그야말로 천지차이라고 볼 수 있겠다). 후반부에 However,So,Therefore과 같은 접속사가 나오면 집중하여 'In this situation, what would A most likely say to B?' 의 바로 직전에 있는 문장의 동사를 잘 듣도록 하자. 패턴은 마지막 직전 문장과 가장 비슷한 선지를 찾는 것이다. 예를들어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 15번 문제를 들어보면 'So, Brian, the team leader, want to tell MS.Clark that the team member appreciate~~' 인데 저 문장의 동사가 'appriciate' 즉, 감사하다 라는 뜻이니 5번 선택지에 'thanksful'이 있지 않은가? 이렇게 비슷한 동사단어를 잘 찾으면 되는 것이다.
  • 세트 문항 : 1분 정도의 설명문이나 강의가 2번 반복하여 재생된다. 보통 주제를 먼저 말한 뒤, 하나하나 예를 들어가면서 설명하는데, 문제도 마찬가지로 16번에는 제목/주제가, 17번에는 언급여부가 나온다. 두 문항 모두 3점으로 나올 가능성이 있으며, 3점이 하나라도 있을 시 지문 수준은 대폭 올라간다. 보통 처음 들을 때 16번을 풀고, 두 번째 들을 때 17번을 푸는 게 정석이지만, 정석대로 푸는 수험생은 아무도 없다. 듣기평가 난이도 자체가 타 공인영어시험보다 쉬우므로 한 번 들은 것만으로 풀어야 이득이기 때문이다. 애초에 딸려나오는 문제가 2개밖에 안 되는데다가 그나마 그 중 하나는 언급여부라 세부적인 내용 파악이 그다지 필요없는 수능 세트 문항의 특성상 이걸 한 번 듣고 다 풀지 못한다면 토익이나 토플 등 공인영어시험에서 한 번만 들려주는 1지문 n문항 문제[33] 푸는 순간 망한다. 시간이 금인 영어 영역에서는 본 문항을 한 번만에 풀고 바로 귀 막고 읽기로 넘어가는 걸 추천한다.

4.2. 읽기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준. 아래에 순서대로 서술함. 한글 선지 문항만 별도 표시
  • 글의 목적 - 수준 ★☆☆☆☆ , (한글 선지)

다음 글의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8번. 독해의 첫 번째 문제로 나온다. 가장 쉬운 유형이다. 보통 이 지문은 목적을 가지는 문장, 즉 글쓴이가 원하는 뜻을 지닌 동사(want,hope,wish,should,would,ask 등)를 지닌 문장과 그 문장의 앞 뒤 맥락을 대충 훑어보면 바로 목적을 찾아낼 수 있다. 대게 위의 동사를 지닌 문장은 지문의 중반~종반에 있으며 대명사 I로 시작하거나 조동사를 앞에 세우는 경우가 허다하다. (예로 I want to ~ / I wish ~ / Would you ~ / I should ~ 등) 그러나 간혹 가다 페이크가 있기도 하니 무작정 답을 체크하지 말고 앞뒤 맥락을 살피면서 고르자.
  • 글의 분위기 / 심경 - 수준 ★☆☆☆☆
> 다음 글에 드러난 '???[34]'의 심경 (변화)(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9번. '''형용사=답'''인 문항으로 듣기에서도 출제한다. 항상 정답률 80% 이상을 찍는 매우 쉬운 문항. 패턴은 두 가지인데 하나는 분위기, 심경 '''변화'''를 맞추는 문제고, 하나는 글의 전체적 분위기, 심경을 맞추는 문제다. 변화를 맞추는 문제는 글의 앞, 뒷부분의 분위기를 보고, 전체적인 분위기는 앞부분이든 뒷부분이든 맘에 드는 쪽을 읽자. 형용사를 2개씩 주는데, 하나하나 없애가기만 해도 틀릴 일이 사라진다. 게다가 1학년부터 쭉 써오던 어휘만 나온다. desperate, regretful, frustrate 등등 기초적인 어휘들로만 나오기 때문에 매우매우 쉽다. 단, 2020-9월/ 2020-수능처럼 함정을 파는 사례도 있으니 주의. 어휘력이 약하면 약간 어려울 수도 있다.
  • 대의 파악[35] - 수준 ★☆☆☆☆ ~ ★★★☆☆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한글 선지)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한글 선지)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 22 ~ 24번. 마지막 부분에 핵심 내용이 나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지문을 끝까지 잘 읽고 답을 고르도록 하자. 지문 자체는 평이한 경우가 많고, 영미권에서 최근에 자주 쓰이는 자연스러운 문체의 글이 많이 나오지만, 가끔 전체를 이해해야 겨우 풀 수 있을 정도로 글이 어렵게 나오는 경우도 있다. 선택지의 경우 글의 주장과 요지는 한글, 글의 제목과 주제는 영어로 제시된다. 대의 파악 문제들은 강조나 긍정의 의미를 지닌 동사나 형용사를 찾아보도록 하자. 그게 답일 가능성이 높다. 다만 글의 제목의 경우 제목의 특성상 선택지에 비유적/관용적 표현이 들어가 있는 경우가 많아 나머지 유형들과 비교하면 상당히 어렵다.
  • 함축 의미 추론[36] - 수준 ★★★☆☆ ~ ★★★★★

밑줄 친 ???[37]

이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21번. 3점으로 더러 나온다.[38] 초창기에 잠깐 반짝했다가 사라지고 2018년 즈음부터 지칭 추론 대신 다시 출제되는 유형으로 단어나 어구에 밑줄 치고 이게 문맥적으로 뭘 의미하는지 묻는 문제다. [39] 주로, 속담을 쓰는 등 비유적인 문장을 사용한다.[40] 사실상 빈칸추론의 하위호환. 해당 단어나 어구의 함축적이고 비유적인 의미를 묻기 때문에 문맥을 파악하지 않으면 풀 수 없다. 어렵게 내기엔 어느정도 한계가 있는 지칭 추론과는 달리 의미 추론은 지문 내용에 따라 난이도 상한이 없다.
  • 도표 이해 - 수준 ★☆☆☆☆

다음 도표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25번. 그래프를 보고 틀린 걸 찾는 문제. 쉬어가는 타임이다. 선지 하나 보고 그래프 보고 다음 선지 하나 보고 그래프 보는 게 정석이다. 문제 특성상 답이 4,5번이 많기 때문에 5번부터 거꾸로 푸는게 더 빠르다. 2010학년도 6월에는 특이하게도 3점으로 출제.
  • 내용 일치 / 불일치 - 수준 ★☆☆☆☆

???[41]

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않는 것은?[42]

26번. 도표나 실용문 문제보단 덜하나 3,4,5번에 답이 있는 경우가 많고 10% 확률로 2번이 답인 경우도 있다. 수능/평가원에서 1번이 답인 경우는 아직 없다. 본문에는 특정 인물의 일대기가 나오므로 선지에도 고유 명사가 많다. 그러므로 선지에 있는 고유명사를 지문에서 찾으면 그 선지에 관련된 문장을 쉽게 찾을 수 있다.
  • 실용문 일치 / 불일치 - 수준 ★☆☆☆☆

다음 안내문[43]

의 내용과 일치하는(일치하지 않는)는 것은?

27, 28번. 하나의 안내 포스터를 보고 맞(지 않)는 것을 찾는 쉬어가는 타임이다. 이런 4점을 꽁으로 먹으라고 주는 문제는 가급적 1분 안에 풀어야 된다. 그 시간도 아깝다면 듣기 때 풀어버리면 된다. 역시 이 유형도 선지 먼저 보고 눈에 씹히는 단어 하나 고른 다음 지문에서 있나 없나 찾으면 된다.
  • 어법성 판단 - 수준 ★☆☆☆☆ ~ ★★★★★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29번. 3점으로 더러 나온다. 50문항 시절에는 박스, 밑줄 두 가지가 존재했으나, 45문항으로 변경 후 주로 밑줄 위주로 출제하고 있다. 난이도 편차가 상당히 큰데 쉬우면 엄청 쉽고 어려우면 엄청 어렵다.
  • 단어 쓰임 판단 - 수준 ★★☆☆☆ ~ ★★★★★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0번. 어법과 마찬가지로 2, 3점으로 섞여서 나오지만, 어법이 3점이면 어휘는 2점으로 혹은 그 반대로 출제할 때가 많다. 50문항 시절에는 박스, 밑줄 두 가지가 존재했으나, 45문항으로 변경 후 어법과는 반대로 박스선택형으로 출제되었다.[44] 2018학년도 수능 이후로는 밑줄 친 낱말이 문맥에 맞는 지 판단하는 문제로 주로 등장하고 있다. 역시나 정확히 문장을 해석해야 한다. 단순한 어휘 지식 외에 문장의 정확한 해석을 요구한다. 정독. 어법 판단만큼은 아니지만 난이도 편차가 큰데 쉬우면 엄청 쉽고 어려우면 엄청 어렵다. 굳이 팁을 주자면, 정답은 주로, 반의어가 확실히 존재하는 단어들이 답일 확률이 크다. 참고로 30번이 1지문 1문항 지문들 중 마지막 순수 읽기 지문이다. 31~40번은 간접쓰기 지문.
  • 빈칸 추론 - 수준 ★★★☆☆~★★★★★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1 ~ 34번.[45] 영어영역의 최고난도 유형 중 하나이며, 대부분 이 유형을 가장 마지막에 푼다. 절대평가가 된 시점에서도 1, 2등급을 가른다. 지문을 읽고 주제를 추론해 빈칸을 들어갈 만한 단어 혹은 문장을 찾으면 된다. 보통 지문의 핵심 단어 혹은 문장이 빈칸으로 가려진다. 따라서 이 유형은 초반부의 글의 대의 파악류의 문제들과 본질적으로 같다. 빈칸이 추상적이거나 비슷하지만 정반대의 의미의 단어 단위로 꼬면 정답률은 25% 넘기는 것도 힘들다. 문제를 잘 풀기위한 요령은 일단 빈칸 포함 문장은 주제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46] 다만 2017 수능 33번 같이 안 그래도 추상적 지문인데 "어떤 경우에 _와 같이 할 것이다" 같이 비유적인 걸 묻는 문제가 나오면 특히 어렵다. 딴 말을 이리저리 집어넣어 주제가 무슨 맥락인지 모르게 하거나[47], 예시만 제시하고 주제에 빈칸을 뚫어 어렵게 출제한다. 이럴 경우엔 문제 옆에다가 빈칸이 무엇인지 대충 한글로 적어 놓자.[* '빈칸 포함 문장'을 한글로 적으란 소리다. 너무 길면 중요한 부분만 적어놓는다. 빈칸의 수식어구를 적는다든지 그 문장의 앞뒤에서 정보를 찾던지 요령껏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이런 개념은 모든 지식과 모든 앎의 수단은 ___ 다는 해석을 담고 있다.'를 '지식의 수단=빈칸' 이렇게 간략화할 수 있다. 꼭 빈칸 완성이 아니더라도 정확한 독해를 위해서는 복잡한 문장에서 핵심을 찾는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연습하면 좋다.] 그래도 이 유형이 그리 까다롭지 않게 나오는 연도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순서 배열 및 문장 삽입에서 변별을 가르는 경우.
  • 무관한 문장 고르기 - 수준 ★★☆☆☆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35번. 간접쓰기에서는 제일 쉽고 연계도 잘되는 문항. 정답 선지에는 문제의 글의 맥락과 상관없는 이야기가 쓰여져 있다. 문맥 상 1,5 번이 답이 되버리면 전체 문맥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2, 3, 4번 중에 고르는 삼지선다형이다. 그런데 2013학년도 9월 모의평가에서는 5번이 나온 적도 있다. 정독만 할 줄 알면 요령 같은 거 없어도 잘 풀린다. 단, 2011학년도 수능 / 2012-6월처럼 함정을 파는 사례도 있으니 주의. 아직 킬러급으로 출제된 적은 없다.
  • 문단 순서 맞추기 - 수준 ★★★☆☆ ~ ★★★★★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6, 37번.[48] 최근 들어 급격하게 어려워지고 있는 유형 중 하나이다. 토플, 텝스를 비롯한 대부분의 영어시험에는 없는 매우 독특한 유형이다. 각 문단의 처음 문장과 끝 문장만 보면 100%에 가까운 확률로 풀 수 있다는 게 수험생들 사이에서의 통념이다. 왜냐하면 한 문단에 보통 두 문장밖에 없기 때문이다. 주어진 글은 다 읽고, 접속사나 지시대명사 같은 걸로 끼워맞추다 보면 쉬운 건 풀리지만 그냥 정독하는 게 속편하다. 이젠 접속사와 대명사를 일부로 넣지 않아서 직접 읽어서 글의 흐름을 파악해야만 풀 수 있는 문제가 등장하고 있다. A-B-C는 정답인 적이 없지만(선지에 나온 적은 있지만, 2011학년도 수능을 끝으로 없다.), A-C-B는 정답이었던 적이 매우 드물게나마 있다. 물론 대다수는 2~5번(B나 C로 시작)이 정답이다.
  • 주어진 문장 넣기 - 수준 ★★★☆☆ ~ ★★★★★

[38~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38, 39번.[49] 쓰기 유형 중 하나로 역시 2010년대 이후 급격하게 어려워지고 있는 유형이다. 지문 길이가 대체로 장문을 제외하면 제일 길다. 주어진 문장조차도 독해하기 까다로운 경우가 많고, 요새는 연결사도 거의 쓰지 않는 추세라 답지를 보면서도 이해가 안되는 문제가 생긴다. 애당초 언어라는 게 조금 앞에 놓든 조금 뒤에 놓든 웬만해선 논지가 흐트러지지 않기 때문에 어디에 넣어야 하는지를 바로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만일 논지가 부자연스럽게 전환되는 경우에는 해당 위치에 박으면 되지만 글의 논리가 꾸준되게 일관되고 그 중 하나에 문장을 넣으라면 For example, As a result, Furthermore 같은 힌트 단어들을 가지고 적당히 추론해야 한다. 문항 넣기의 특성상 주로 정답의 앞뒷칸에 오답이 많이 포진하는데, 정답이 4번이면 3번과 5번에 오답이 몰려있는 등. 정답은 대부분 2~5번 중 하나인데, 2011학년도 수능에서는 문제도 어려웠지만, 정답이 1번이라 오답률이 70%까지 올라갔다. 또한, 2019년 고2 9월 학평 39번에서는 지문 주제도 특수 상대성 이론에 관한 주제로 주제도 생소하고 지문 난도도 초고난도인데다가 정답이 1번이라 정답률이 12%에 그쳤다.[50][참고]
  • 요약문 완성 - 수준 ★★★☆☆ ~ ★★★★☆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와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40번. 빈칸 추론보다 어렵게 나오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간접쓰기 문항들 중 무관한 문장 고르기 다음으로 쉬운 편이며 쉽게 나올 경우 무관한 문장 고르기보다도 쉬울 수 있다. 요약문에서 요구하는 빈칸의 단어는 지문에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어휘가 더욱 중요한 유형 중 하나. 일단 전체적인 문제풀이 방식은 빈칸추론과 크게 다르지 않다. 요약문과 선지를 먼저 읽는데, A 기준으로 단독 선지는 답인 경우가 거의 없으므로 제끼는 일이 많지만, A가 모두 다른 어휘로 출제될 수 있다. 그 후에 필요한 정보만 찾아 먹으면 되는데 지문이 어려우면 이것도 힘들지만, 정독은 더더욱 무리다.
  • 기본 장문 독해 - 수준 ★★☆☆☆ ~ ★★★★☆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42.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41, 42번. 장문 유형은 5문제가 나오는데, 2문제가 이 유형에서 나온다. 대체로 밑의 복합문단 독해 유형보다는 글의 수준이 어렵지만 충분히 해석이 가능한 수준. 두 문제를 제목과 낱말 쓰임 판단으로 구성하는데, 두 문제가 쌍으로 오답률 1, 2위를 차지하는 것도 가끔씩 볼 수 있다. 복합문단 독해 지문에 비해 쉽지 않은 지문 수준과 지금까지 문제를 계속 풀면서 떨어진 집중력과 체력, 그리고 시간의 압박이 시너지를 이루는 유형이기도 하므로 사람에 따라 30번까지 푼 후 여기로 먼저 오는게 유리할 수도 있다. 당황하지 않고 죽 읽어내려가면 생각보다 쉽게 답을 찾을 수 있는 유형이므로 너무 급하게 급하게 가지 말고 정신을 가다듬고 정독을 하도록 하자. 원래는 42번에서 어휘 판단 대신 빈칸 추론이 나왔었다가 2019 수능부터 바뀌었다.
  • 복합 문단 독해 - 수준 ★★☆☆☆

43. 주어진 글 (A)에 이어질 내용을 순서에 맞게 배열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44. 밑줄 친 (a)~(e) 중에서 가리키는 대상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45. 윗글의 관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43 ~ 45번. 시험의 피날레를 장식하는 3문제 세트 문제. 가장 지문 길이가 길며, 때로는 반 쪽을 넘길 수도 있다. 하지만 41, 42번과 비교하면 글 수준은 아주 쉬운 편이다. 대체로 순서, 지칭추론, 일치/불일치가 나오는데 낮은 확률로 제목이나 빈칸추론, 비유적인 의미 추론이 나올 때도 있다. 일치/불일치의 문제 보기를 보고 순서를 파악하면 나머지 두 문제는 바로 풀린다. 듣기가 끝난 후 빈칸추론에서 시간을 날려먹고 이 문제를 구경도 못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런 사람이라면 차라리 이걸 먼저 보자.

5. EBS 연계


EBS연계는 2021학년도까지 '''직간접 연계 70%'''이었으며, 2022학년도부터 '''간접 연계 50%'''로 축소된다.비상 자료 이 연계율은 듣기, 독해 영역 전체에 해당한다. 주로 듣기에 연계문항이 다수 배치되어 퍼센트를 맞춘다.
EBS 연계 중 직접연계가 연계교재 문제와 동일한 내용의 지문을 발췌하다 보니 대학 수학능력을 테스트하지 못하고 '''얼마나 EBS 지문 내용에 대한 암기를 잘 하느냐'''를 평가하는 시험이 되었다는 비판이 있다.한겨례 기사 이는 대학 수학능력을 테스트한다는 수능시험의 본 취치에서도 벗어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EBS 전지문을 달달 외우는 학습이 성행하면서 과도한 학습량을 줄이겠다는 정부의 방침에 역행하는 부분이다.
이런 과거의 잘못된 연계방침이 많이 지적되어 결국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제대로 내기도 냈다. 하지만 예고없이 변별력있게 나와 뒤통수를 쳤다. 이런 출제 방침으로 EBS 문제의 주제나 주요 문장을 외워버리는 공부법은 점차 사라지고, EBS 문제를 통해 구문 공부와 논리독해 공부를 한번에 끝내는 것이 본질적인 실력을 올리는 방식으로 학습법이 변화될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지만, 여전한 직접연계의 존재로 인해 바뀐 건 없었다.
사교육 업계에서는 EBS 지문 강의가 하나의 커리큘럼이다.
과거 영어를 쉽게 내는 분위기 때문에 최상위권 학생들은 오히려 EBS를 전혀 안 보는 경우도 있었다. 실력있는 N수생과 반수생은 실력으로 연계, 비연계 문항을 모두 풀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머지 학생들에게 70% 연계는 큰 비중을 차지하여 어떤 학생들은 연계교재만 다독하기도 한다.
하지만 비연계 문항에서 변별력 확보를 위한 킬러가 반드시 출제되어 1, 2등급 발목을 잡는다. 따라서 안정적인 고득점을 위해선 연계교재 암기보단 진짜 독해력을 길러야 한다. 특히 훑어보면 비슷해보이는 선지에서 키워드를 잡아낼 수 있어야 한다.[51]

6. 관련 논쟁





6.1. 관련 문서



7. 공인영어시험과의 상관 관계


21세기 글로벌 시대에서 영어가 국제 공용어로써, 사실상 필수인 만큼 고교 졸업 후에 공인어학시험의 점수는 굉장히 중요해진다. 당장 대학교 들어가서부터 텝스/토익/토플공인어학시험 점수를 토대로 졸업에 필수 과목인, 교양 영어 과목의 레벨을 편성[52]하고, 교환학생이나 장학금을 신청할 때도 공인어학시험 성적 증빙 자료를 제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편입학 전형 때나 졸업 자격 심사[53]일반대학원, 의학과 법학과 등이 설치된 전문대학원 입시 때도 공인영어시험을 필수로 본다. 결정적으로 기업체 입사 원서 제출시 어지간한 중견기업과 대기업은 공인영어시험 성적표를 의무적으로 제출[54]하게 하고, 그러한 경향이 중소기업으로도 널리 퍼지고 있어 (사실 다른 나라도 안 그러겠냐마는) 한국 사회에서 돈 벌어 먹고 살려면 영어가 사실상 필수인 시대가 되어가고 있다.
이렇다보니 대학 졸업과 취직을 위해 공인시험은 사실상 필수가 되었고, 따로 공인시험 대비를 할 만한 틈이 쉽게 주어지지 않는 한국 공교육 과정 특성상 그나마 영어를 '배운다'고 말할 수 있는 수능 영어를 목표로 자연스럽게 집중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래서 잘못된 교육 방식이긴 하지만 수능 영어는 계속 중요시될 수밖에 없으며, 어쨌거나 배운 건 배운 거니까 직간접적으로 시작 단계에서 영향력을 준다. 이러한 상관관계 때문에 위에 언급된 악순환은 더더욱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략적으로 단계를 나누자면, 수능 영어를 안정적으로 1등급[55] 수준에서 유지해 온 실력일 경우 한국에서 가장 널리 보급된 공인어학시험토익 (990점 만점) 기준으로 최소 800~900점 점수대는 된다고 평가한다. 이후 상위 11% 이내 수준의 2등급이라면 700~800점대, 상위 23% 이내 수준의 3등급이라면 600~700점대로 추정한다.
상위 23% 이외인 4등급 아래로는 일반적인 4년제 대졸 신입 사원 공개채용의 이력서 심사 기준에서 심사외 등급을 받는 토익 600점 이하로 떨어지므로 구별할 의미가 사실상 없어지며, 이렇게 영어 기초가 매우 부실한 경우라면 중학교, 고등학교 레벨의 기초 영단어숙어, 영문법부터 다시 차근차근 배워 나갈 필요가 있다. 당연히 800점 이상 고득점까지 올리는 데 훨씬 더 오랜 시간이 걸리며, 보통 600~700점을 목표로 한다.
수능과 가장 관련이 깊은 공인영어시험은 단연 텝스이다. 텝스의 경우 문제 유형 자체가 정해져 있으며 상당히 직관적이고 단순하다. 더구나 텝스는 말하기와 쓰기 영역이 없고, 독해와 청해 영역에서는 단문의 제시문이 많이 출제된다는 점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과 상당히 비슷하기 때문에, 수능 영어시험에 익숙한 사람들은 다른 어학 시험보다도 텝스 문제 유형에 더 익숙하다.
토플은 말하기, 쓰기 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시험인 관계로 수평적으로 비교하기 어렵다는 평이다. 단 토플 리딩 영역과는 상관 관계가 매우 크다. 그리고 토플 리딩 영역에서 고득점한다면, 라이팅과 스피킹 영역에서 고득점하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본다.
토플 리딩 난이도 자체는 원어민이 지문을 직접 쓴 만큼 토플이 더 쉽지만 수능에 출제되지 않는 단어가 출제되고 문제 유형도 상당히 다르고, 리스닝의 경우에는 실제 대화 같이 말을 더듬거나 침을 삼키는 등의 악랄한 경우까지 동반하는 만큼 수능과는 비교를 불허할 정도로 매우 어렵다. 게다가 토플은 리스닝과 리딩 외에도 스피킹과 라이팅까지 한번에 보기 때문에 수능과는 직접적으로 단순하게 비교가 어렵다.
수능 영어 1 or 2등급 VS 토플 80점! 누가 쉬울까?

보통 수능 영어 1~2등급 수준이라면 토플 리딩(reading) 영역 (30점 만점)에서 23~25점 정도를 받는 수준이라고 한다.
토플 4개 영역 종합 성적(120점 만점)은 보통 70~80점대 정도의 점수를 받는다.
수능 영어 1등급 받기보다 토플 80점 받는 것이 더 어렵다는 평이다.
외국 교수들도 풀기 어렵다고 한다.#


[1] 2004년까지는 4교시, 15:30~16:40이었다.[2] 시행연도 +1[3] 물론 유난히 영어만 못하는 학생들은 예나 지금이나 있었다.[4] 참고 과목별 오답률 베스트에서 외국어 영역으로 맞춰주면 볼 수 있다.[5] 2010~2011 사이의 평가원 및 수능 문제가 얼마나 헬게이트인지, 심지어는 텝스 학원에서 빈칸 연습문제로 나눠주는 문제 중에 이 당시 수능 문제가 끼어있을 정도이다![6] 그래도 A형 응시자의 비율은 약 '''30%'''로 상당히 많았고 이로 인하여 B형의 등급컷은 수준에 비해 무척이나 높아졌다.[7] A형이 없었다고 가정하고 A형 인원을 B형으로 모두 몰아넣은 뒤 A형 인원들 전원이 B형에서 1등급을 받지 못했다고 가정 시, 1컷이 아주 약간의 차이로 92점이 아닌 91점이 나온다.[8] SKY 중에서 영어강의 비중이 가장 높은데도 영어의 비중을 제일 깎아 버렸다(...)[9] 여기는 아직도 영어의 반영비율이 국어보다 크다.[10] 초고수가 아닌이상 문제가 쉬워도 시간 여유는 그다지 많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잠깐 정신줄 놓으면 훅갈 가능성이 매우 높다.[11] 사실, 듣기평가 중에 독해 문제들을 얼마나 많이 푸냐에 따라 달려 있다. 정말로 대단히 잘 하는 사람들은 듣기 칠 동안에 함의추론(21번 문제), 29~42번 문제의 고난도 문항(41~42번은, 특히 42번 어휘 문제가 어렵기도 하고, 무엇보다도 어휘 장문이어서 안 본다)들을 제외한 소위 '앞쪽 문제'를 거의 건드린다. 특히 18~20번, 25~28번, 43~45번의 11개만 건드려도 17문제만 남는다. 듣기평가가 끝날 시각부터 남을 45~47분 사이를 확보하여 아주 여유롭게 풀게 된다. 이들만큼은 못해도 18~19번, 25~28번은 건드려주면 자기가 목표로 할 등급은 나올 수 있을 것이다.[12] 다수의 고교생이 기준이며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초기에 꽤 많은 양을 익혀야 하는 수학의 특성상 문과 수험생도 초기에는 수학에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하게 되고, 수학을 버리지 않는 최상위권 학생들이라면 수학에 상당히 신경을 쓴다.[13] 언어 120점 수리 외국어 80점 체제에서 언수외 100점 체제로 변화된지 10년만에 벌어진 참사이다.[14] 듣기평가 시작 전에 안내 멘트와 함께 나오는 음악이며 수험생들의 긴장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여담으로 이 음악은 2009년까지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 종착역 안내방송에도 나왔던 음악이다.[15] 텝스의 속도가 수능 듣기보다 약 1.3배 빠르다고 보면 되는데, 그래서 실제로 수능 끝난 고3이 텝스 처음 치면 듣기에서 발목을 잡는 경우도 있다.[16] 2011-1 15개시도교육청 주최 전국 중·고교영어듣기 능력평가부터 적용된다.[17] 이때는 지문의 내용을 시험지에 적으면서 들어보자.[18] 평가원에서 일본 센터시험, 중국 까오카오, 미국의 ACT/SAT 시험들을 비교분석한 문서중에서 실용영어를 강조하는 분위기이기도 하니 듣기 비중을 확대해야겠다고 하나 듣기 수준의 상승이 도농간의 격차를 불러올 수 있으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되어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공인영어시험처럼 빠르고 연음이 잘 일어나는 듣기책으로 대비한다고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라는 말.[19] 그래서 수능 전날 모든 사물함을 열어놓고 비어있는 것을 확인한 후 투명테이프로 봉인한다.[20] 물론 텝스, 토플에서는 시전이 불가능하다. 텝스는 듣기시간에 문법 풀면 부정행위로 실격이며, 토플은 듣기시간 부터가 아예 다른 과목 수준으로 분리되어 애초에 불가능하고 설사 가능하다 쳐도 지문길이와 쓰이는 어휘 수준이 그나마 평이하게 나오는 텝스, 토익, 수능과 비교해도 차원이 달라서 듣고 노트필기만 해도 정신이 나간다..... 여기에 텝스와 토플은 무조건 듣고 문제를 풀도록 되어있어서 선택지만 읽는 방법이 통하지 않는다...[21] 사실 웬만한 어학시험에서는 해당 시간에 주어진 파트가 아닌 다른 파트는 풀 수 없도록 막아둔다. 즉, 수능과 토익이 오히려 특이한 케이스.[22] 예를 들면 18~어휘(지칭이나 함축된 의미추론이 나올 수도 있음)문제-관련없는 문장찾기부터 장문까지-다시 빈칸으로, 혹은 2점짜리-3점짜리, 듣기까지 포함하자면 듣기하는 도중에 여유를 이용해서 도표, 일치/불일치, 18번, 심경/분위기, 어법 문제를 푸는 것 등이 있다. 대다수는 어려운 수준을 보이는 빈칸추론의 풀이를 맨 나중으로 미룬다.[23] 다만 심경/분위기, 지칭 추론, 복합 문단 독해(3문제 장문) 등에서는 인물의 이야기를 담은 지문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24] 결말부에 홈즈가 발자국을 토대로 알아낸 예상되는 절도 상황을 말해주는 장면. 창틀에 발자국이 있어 누가 나갔다 들어왔음을 알아냈다 → 뛰어나간 것이 아들임을 알아냈다 → 아들과 도둑이 몸싸움을 하면서 왕관에 한 사람의 힘으로 가할 수 없는 손상을 가했다 순서가 정답이었다.[25] 사교육에서는 이걸 리딩 스킬이랍시고 가르쳤으나 그건 글을 제대로 읽는 것이라고 볼 수가 없다. 스키밍 스킬이라면 모를까.[26] 모 인터넷강사는 해설강의에서 이렇게 짜집기해서 문제를 만들었다며 평가원을 엄청나게 깐 적이 있다. 그러나 사실은 짜깁게 한 게 아니었다. 그 강사가 주장했던 문제는 2011학년도 9월 모의평가 외국어영역 28번 문제였는데, 사실 이 지문 내용 자체가 워낙 유명한 강연의 내용이어서 오히려 여러 논문과 책에서 인용되었을 뿐이지, 해당 지문 전체는 사실 한 책에 실려 있었다. 그 강사는 아마 여러 책에서 관련 문장들을 찾아냈으니 짜집기라고 의심했을 것이다. 참고로 28번 지문의 출처는 알랭 드 보통의 '불안'(원제: Status Anxiety)이다. 사실 한 문장만 제대로 구글링 해 봐도 금방 찾을 수 있는데 이러한 짜집기 의문 제기를 사실관계 확인도 없이 그냥 해버린 것은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는 언행이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짜깁기 여부를 떠나서 이정도의 지문을 인용하면 단어수준이 말도 안 되게 개박살난다는 것이다. 그러다 토플마냥 배경지식이 시험의 운을 책임지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더 심한 것은 2010년 이후로 양산되고 있는 정답률 20% 이하 문제를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27] 토플은 문장구조보단 단어가 어렵다. 특히 동의어가 무진장 어렵다. 당장 해커스에서 나온 녹색 단어장만 봐도 뒤집어진다. 흔히 토플 100점 이상 나오는 사람들은 그것의 대부분을 외우고 있으니 최소한 단어 수준만 보면 수능 외국어가 어려울 이유가 없다.[28] 실제로 SAT에서는 이런 connotation을 알아야 풀수있는 문제가 가끔씩 나오며, GRE에서는 이런 connotation을 모르면 아무 것도 못 하므로 반드시 제대로 알아야 한다.[29] 무관한 문장 찾는 문제는 주로 35번에 배치되는데, 비교적 쉬운 수준에 비해 학생들이 많이 틀린다. 그 이유는 35번대로 가면 학생들이 시간이 부족해서 빨리빨리 읽으려고 하기 때문임과 동시에 전에 있던 빈칸 추론 문제 때문에 멘탈이 잡아주지 않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 문제를 푸는 방법은 시간의 압박을 잠시 잊고 천천히 읽어보라고 할 정도... 근데 그게 정설이다.[30] 2015 수능 이후론 문법이나 문장 위치/문단 순서가 1등급 당락에 훨씬 결정적이다.. 라고 서술되어 있었으나 수능 문제 오답률 top5를 살펴보면 절반 이상이 빈칸 문제임을 확인할 수 있다. 고로 현재까지도(2018 수능시점) 1등급 당락은 여전히 빈칸문제다.[31] 이에 대한 평가원의 배려인지, 2021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부터는 이 문제를 11~12번 대로 바꾸었는데, 이번에는 듣기 중에 독해 풀기 꼼수를 쓰던 학생들이 상당수 피를 봤다.[32] 이 상황에서, A는 B에게 뭐라고 말해야 좋을까요?[33] 토익 파트 3-4의 1지문 3문항 유형 등을 의미한다.[34] 특정 인물의 이름으로 대체된다.[35] 수능특강의 경우 글의 주장, 요지, 제목, 주제 추론으로 나뉘어져 있으나, 본질적인 목적은 사실상 차이가 없다.[36] 함의 추론이라고 더 많이 쓴다.[37] 밑줄친 부분을 그대로 쓴다.[38] 2점, 3점이 섞여서 출제된다.[39] 이 유형이 나온 이후로, '지칭 추론' 문제는 44번에서만 출제된다.[40] 예를 들어, '이런 행위는 빙산의 일각이였다는 것이다.', '정말로 그럴까? 아니다.'[41] '???'는 사람의 이름이 되기도 하며, 동물이 나오기도 하고, 어떤 지역이나 문화가 되기도 한다. 10문제중 9문제는 사람이나 동물에 관해 서술한다.[42] 일치하는 경우는 50문제였던 2013학년도 수능을 끝으로 거의 물어보지 않는다.[43] '안내문'이라는 문구 대신에 안내문의 내용(축제, 제품) 등이 쓰이는 경우도 있다.[44] 45문항으로 바뀐 이후 어법이 박스형이라면 어휘는 밑줄형으로, 어법이 밑줄형이면 어휘는 박스형으로 출제했다. 2014학년도 수능은 둘다 밑줄형으로,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는 둘 다 박스형으로 낸 적은 있었다.[45] 평가원 모의평가/수능 기준으로 31번/32번은 연계되어 나오기 때문에 주로 2점으로 출제되며, 연계가 안 되는 33번/34번이 고난도 지문으로 출제되어 3점을 차지한다. 다만 아예 연계가 안 되는 교육청 모의고사는 네 문제 모두 3점으로 나올 때도 있다.[46] 예시: 그래서 내가 하고 싶은 말은_이다., 그렇게 되어서 결국에는 ___되었다.[47] 정답률 9%의 진기록을 남긴 2011 수능 26번이나 2018 수능 34번이 이 경우이다. 주제에 대한 단서를 판단하는데 혼동이 될 맥락을 넣었다.[48] 주로 2점, 3점이 한 문제씩 출제되며, 연계 출제되는 36번이 2점, 연계가 안 되는 37번이 3점으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49] 순서와 마찬가지로 연계 비연계가 하나씩 나오며, 보통 비연계인 39번이 3점을 차지한다. 다만 2021 6월 모의평가 때는 특이하게도 연계된 38번이 3점으로 나오고 비연계인 39번은 2점으로 나왔다.[50] 여담으로, 지문을 좀 까자면 물리 조금만 공부해도 출제하다 만 듯한 티가 확 난다. 맨 처음에 '모든 관성 좌표계에서 물리법칙은 동일하게 성립한다.' 이 말은 문제 푸는데 필요없고, 이 말 밑에는 전부 상대성 이론과 하나도 관련없는 낚시글이다. (불경기, 실업, 암은 한 사람에게는 충격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그건 상대적인거다.) 이건 물리학적으로 그냥 개소리다. 결론적으로 그냥 학생들 겁먹으라고 낸 문제.)[참고] 애초에 과학지문은 그럴 수 밖에 없긴 하다. 잘 이해가 안된다면, 한번 아래 지문을 읽어보자. 이것은 이 특수상대성이론을 물리학Ⅰ수준에서 '그나마' 엄밀하게 기술해본 것이다. In physics, the special theory of relativity makes two arguments. 1. We claim that the laws of physics are the same for all inertial frames of relativity. 2. The relative speed is not defined in the speed of light, and the speed is always c. Length contractions and time delays are derived from these two theorems. First, let's look at the length contraction as the following example. There are two people, A and B. A is moving at a speed close to the speed of light, and B is observing it. At this time, A cannot know his speed by the first law of special relativity. In other words, you feel you are still. However, B takes'significant' time to receive information that A has moved through the light. That is, when B receives information that A has moved, A is already farther than that. This is defined as'length contraction'. So is the time delay. In the case above, suppose B thinks that A has traveled 100000 km per second, and in fact it has traveled 200000 km. Since B recognized A's speed as 100000 km/s, I think it would take 2 seconds if it traveled 200000 km. However, from the standpoint of A, it took only 1 second. This means that A's time goes twice as slow as the outside world. Just like this, when an object goes at a speed close to light, everything seems relative. But there are exceptions. It is'relativity of concurrency'. Simply put, it is assumed that A and B are in the spacecraft. Naturally, physical quantities such as speed and distance are absolute for A and B. This may seem obvious, but there are many things that seem obvious in physics that are not. An example of this is this theory of relativity.[51] 실제로 2013학년도 9월 모의고사의 경우 인터넷수능 영독1에서 연계된 빈칸 추론 문제는 18%의 정답률을 자랑한다.[52] 졸업필수과목에 영어 관련 커리큘럼 비중을 높게 짜넣은 일부 대학교의 경우, 850~900점 이상의 고득점을 한 학생들은 교양 영어 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쳐서 사실상 면제해 주는 학교도 존재한다.[53] 기준 점수를 통과하지 못하면 당연히 졸업을 못 하고 졸업 유예 등의 조치를 취한다.[54] 덧붙여 대부분의 대기업은 영어는 기본으로 깔고 들어가고 제2외국어와 인턴쉽 경력 등으로 당락이 갈리는 경우가 많아 영어 성적에 의한 커트라인은 매우 높게 책정된다. 게다가 상위권 대기업의 경우 제3외국어까지 보고 가르는 경우도 많다. 이러니 영어 성적에 의한 합격 커트라인은 낮을래야 낮을 수가 없게 돼버린다.[55] 상대평가 기준으로 수능 응시자 집단 중 상위 2~3% 이내의 영어 실력. 요령을 피워서 야매로 한두 번 정도 땄거나 절대평가 기준 수준 조절 실패로 우연히 딴 경우를 제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