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찬
1. 후한 말의 인물
王粲
(177년 ~ 217년)
산양군 고평현 사람. 건안칠자의 일원. 자는 중선(仲宣).
유표와 동향 출신이며, 증조부인 왕공(王龔)과 조부였던 남양태수 왕창(王暢)은 모두 삼공을 지냈다. 그의 부친인 왕겸(王謙)은 대장군 하진의 장사(長史)였는데 하진은 왕겸의 집안이 유명한 삼공의 집안이였으므로 인척 관계를 맺으려고 자신의 두 딸 중 한 명과 혼인하도록 주선하기 위해 보냈는데, 왕겸은 이를 거절해 미움을 받아 면직되면서 낙향했다가 병으로 죽었다.
왕찬은 동탁으로 인해 수도를 장안으로 천도한 뒤 채옹을 만나러 갔다. 당대 제일의 문사였던 채옹이 귀한 손님들이 가득 자리하고 있는 상황에서 왕찬이 문 밖에 있다는 말을 듣자 신발을 거꾸로 신고 나와 키가 작고 못 생긴 왕찬을 맞아들이니 주위 사람들이 이상하게 여기는데, 채옹은 오히려 이 아이의 재주가 자신보다 나을 것이라고 하면서 우리 집에 있는 모든 서적과 문학 작품을 그에게 주어야 한다고 얘기를 할 정도였다.
왕찬은 특히 기억력이 천재적이었던 모양인데 길가에 선 비석을 쓱 흝고 지나가고도 외울 수가 있었고 바둑 두던 것을 중간에 판을 엎어버리고도 원상태로 복귀가 가능할 정도였다. [1]
193년에 사도 순우가가 왕찬을 초빙해 황문시랑으로 삼았는데 당시 왕찬의 나이가 불과 '''17세'''였다. 당시 왕찬이 천재로 얼마나 명성이 높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인데, 정작 왕찬 본인은 장안이 혼란스러운 상황이라 받지 않고 유표에게 의탁[2] 하러 갔다.
유표는 왕찬의 조부인 왕창에게서 학문을 배운 제자였으며 왕찬과 고향이 같다는 인연이 있었지만 왕찬의 외모가 추하고 몸이 허약하다는 이유로 중용하지 않았다.
진수의 삼국지에서는 용모가 추하다는 이유로 중용받지 못했다고만 나오나 박물지에서는 보다 자세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본디 유표는 왕찬의 재능을 아껴 사위로 삼으려 했지만, 외모가 너무나 못생긴데다 왕찬이 사소한 격식에 얽매이지 않는 성품임을 꺼려했기에 사위로 삼으려던 생각을 포기하면서 왕찬에게 재능은 뛰어나나 외모와 풍채가 너무 볼품없어 딸을 못 주겠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왕찬의 외모가 추하고 몸이 허약해 유표에게 소외되었다는 것은 삼국지 본전에서도 언급되지만 이에 따르면 처신의 문제도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처음엔 유표도 사위로 삼으려 할 정도로 그 재능과 명성을 중시했으나 왕찬의 자유분방한 성격을 매우 못마땅하게 여겨 사위로 삼기 부족하다고 여긴 것으로 보인다. [3]
결국 유표는 왕찬 대신 왕찬의 사촌형인 왕개를 사위로 삼는데, 왕개는 왕찬과 달리 미남에 체격도 좋았다고 한다.
다만 왕찬이 유표의 이름으로 외교문서를 대필한 것이 아직까지 남아있는 것을 보면 아주 무시당한 건 아니고 포고문 작성 등의 행정업무에서 제법 활약한 것으로 보이나 이미 천재로 명성이 자자했던 왕찬의 네임벨류를 고려했을때 상대적으로 푸대접 당한 건 맞는 듯.. 왕씨 가문과 왕찬 개인의 명성을 고려해 한자리 주긴 했으나 실질적인 권력에서는 소외시킨 것으로 보인다.
장즐이 쓰고 배송지가 삼국지에 주를 달며 인용한 문사전에 따르면 훗날 유표가 죽고 유종이 뒤를 잇자 왕찬은 상승무패의 기세를 달리는 조조를 대적하기 어렵다며 항복할 것을 권했고, 이것이 유종이 조조에게 항복하는데 결정타를 날리게 된다. 그리고 이것이 삼국지연의에서 왕찬의 유일한 등장 장면이다. 유표 사후에는 상황이 바뀌어 발언력이 꽤 강해졌을지도 모른다.[4]
조조에게 항복하게 되자 왕찬은 승상연, 관내후가 되었다가 후에 군모제주로 승진했다가 위나라가 건국되자 시중이 되었다. 216년에 조조를 따라 손권을 공격하러 갔지만 217년에 길에서 병으로 사망했다.
당대의 사건들을 모아 영웅기라는 사서를 썼지만 세월이 흐르는 동안 흩어져서 대부분은 남아있지 않으며 배송지의 정사 삼국지 주석 등에 그 파편이 남아 있다.
산법을 만들기도 하였고 그가 쓴 문장은 한 번 쓴 다음에 다시는 고쳐쓰지 않았는데도 완벽했다고 카더라. 대표적인 시로는 종군시와 칠애시가 있다. 이중 칠애시는 젊은 왕찬이 혼란한 당시 수도 장안을 떠나 형주로 가면서 시세를 한탄한 시이다. 후한말 당시 처절한 백성들의 생활상이 시에 그대로 묻어 나오는게 특징.
박물지에 따르면 옥패(玉佩)를 패용하는 풍습이 한말에 사라졌으나, 왕찬이 시중으로 있을 때 과거의 패옥 풍습을 부활시켰다고 한다. 이는 고금주 『여복』편에도 나온다.칠애시(七哀詩)
西京亂無象 (서경난무상) 장안은 혼란스러워 도리는 사라졌고,
豺虎方遘患 (시호방구환) 승냥이와 호랑이들이 곳곳에서 날뛴다.
復棄中國去 (부기중국거) 다시금 중원을 버리고 떠나야만 하니
遠身適荊蠻 (원신적형만) 몸을 멀리 두기에는 형만의 땅이 맞겠구나.
親戚對我悲 (친척대아비) 친척들이 나를 보며 슬퍼하고
朋友相追攀 (붕우상추반) 친구들이 쫓아와서 메달린다.
出門無所見 (출문무소견) 문 밖으로 나오니 보이는 건 하나 없네,
白骨蔽平原 (백골폐평원) 백골들만 평원을 뒤덮고 있다.
路有飢婦人 (노유기부인) 거리에 배고픈 여인이 있어,
抱子棄草間 (포자기초간) 안고 있던 아이를 풀 숲 사이에 버린다.
顧聞號泣聲 (고문호읍성) 귓전에 들리는 건 그녀를 부르는 아이의 울부짖음
揮涕獨不還 (휘체독불환) 눈물을 닦지만 그녀는 돌아서질 않는다.
未知身死處 (미지신사처) 내 몸이 죽을 곳도 모르는데
何能兩相完 (하능양상완) 어찌 능히 둘이 함께 살아가겠는가.
驅馬棄之去 (구마기지거) 말에 채찍을 가하여 그곳을 피하고 말았으니,
不忍聽此言 (불인청차언) 그 여인의 말을 참고 들을 수가 없어서였다.
南登覇陵岸 (남등패능안) 남으로 내려와 패릉의 언덕 위로 올라
廻首望長安 (회수망장안) 머리를 돌려 장안을 그리워 하니,
悟彼下泉人 (오피하천인) 하천을 지은 사람의 뜻을 깨달아
喟然傷心肝 (위연상심간) 쓰린 가슴으로 한숨을 내쉰다.
세설신어에 따르면 왕찬은 생전에 당나귀 울음 소리를 듣는것을 좋아했는데, 그가 병사한 후 조비가 문상을 와 그를 위해 조문객들에게 요청하여 다 함께 당나귀 소리를 냈다고 한다(...) 이게 단순히 조비 특유의 또라이 짓만은 아닌게 조금 나중 일이지만, 죽림칠현의 일원인 완적 역시 모친상을 당했을 때 예법에 어긋나는 짓을 연속적으로 했음에도 그가 모친에 대한 정이 깊음을 알고 있던 사람들은 그것을 용인하고 관대하게 받아들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바로 이전 시대인 후한 말에 그놈의 상과 예법에 관한 도그마가 지나치게 강했고, 그것을 악용했다고 볼 수도 있는 원소 같은 놈도 나왔던 탓인지 위진 시기에는 이렇게 상에 대해서도 기존의 엄숙주의적 예법을 허례허식으로 보고, 거기서 좀 벗어나더라도 진솔하게 선의와 감정을 표현하는 분위기가 최소한 일부 집단에서는 있었던 것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해당 에피소드인 조비의 당나귀 합창도 최소한 기록 시점에서는 비판적 관점에서 넣은게 아닐 가능성이 크다. 후대에 보기에는 웃기는 광경이고, 하필 삼국시대 또라이하면 손꼽히는 조비라 더 그렇게 보이는 것도 어쩔 수는 없는 노릇이다만...
어쨌거나 그의 두 아들은 왕찬이 죽은 지 2년 후에 일어난 위풍의 난에 휘말려서 둘 다 처형되어 왕찬의 대는 끊겼지만 5촌 조카 왕업이 양자가 되어 후사를 이었다. 참 아이러니한 것이 왕업은 유표의 외손자라는 것. 왕찬과 파혼한 그 유표의 딸과 왕개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이다.
1.1. 미디어 믹스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B급 문관 수준이지만 내정형 인재가 많다고 보긴 힘든 유표군인지라 나름대로 도움은 된다. 유표군에서 왕찬보다 나은 문관으로는 괴량, 괴월정도이며 이적과는 비슷한 수준. 물론 전투는 절대 기대하면 안된다. 사서에 대놓고 못생겼다고 기록된 인물이지만 일러스트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무력 3/지력 81/정치력 83. 혼란을 가지고 있어서 의외로 지력 81과 결합하면 전장에서도 제법 괜찮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무력 4/지력 82/정치력 84/매력 57에 특기는 위압, 명사 2개 뿐. 보통 문관계열에게 기본적으로 있는 설전 특기는 항변, 반박인데, 왕찬은 특이하게 위압만 있다.
삼국지 11에선 지력 79/정치력 80이지만 특기가 없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턱에 올리면서 생각에 잠기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15/3/79/80. 특기는 농업 5, 문화 5, 교섭 6, 언변 2. 전수특기는 교섭이며 전법은 교란도발.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 무력 3, 지력 79, 정치 80, 매력 57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9 하락했다. 개성은 시상, 문화, 학자, 허약, 주의는 명리, 정책은 태학 Lv 4, 진형은 학익, 전법은 고무, 친애무장은 조식, 진림, 채옹, 혐오무장은 없다.
삼국지 영걸전에선 특이하게 양양전투에서 군악대로 등장한다. 근데 적 군악대의 존재의의는 책략노가다에 있지만, 양양 전투는 15턴이 되면 전투가 종료되고 유비가 장판파로 내빼기 때문에 왕찬의 비중이 없으니 안습. 왕찬이 영걸전에 나온다는 거조차 모르는 사람이 태반이다.
창천항로에서는 적벽대전 도중에 처음으로 언급된다. 회를 잘못 먹고 사지를 헤매다가 진지로 귀환한 조조가 군사들과 함께 정무를 처리하던 중, 채염이 돌아왔다는 말을 듣고 반색하더니 채옹의 작품을 되살려야겠다며 왕찬의 이름을 언급한다. 조조는 왕찬의 행색이 볼품없어 유표 휘하에서는 미관말직에 있었으나 채옹에게서 그의 모든 서가를 물려받았으니, 채염과 힘을 합치면 채옹의 작품이 상당히 정확하게 되살아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나아가 왕찬이 사용하는 언어가 꽤나 재미있다며 재능을 개화할지도 언급했는데, 실제로 유수구 전투 즈음에는 건안칠자의 일원이 된 상태였다. 자신들도 종군하고 싶다고 조르던 남은[5] 건안칠자의 중심에 선 것으로 보아, 관도대전 전부터 나름대로 명성을 떨쳤으며 조식과 함께 건안문학의 불씨를 당긴 진림을 제칠 정도로 재능이 성장한 듯하다. 유수구 전투가 끝난 시기에는 역병 때문에 남은 건안칠자들과 함께 사망했는데, 이들이 남긴 마지막 작품을 읽을 수가 없다며 분노하던 조조가 건안칠자들은 후대의 문학의 기틀을 닦았다고 회상한다.
대군사 사마의에서는 직접 등장하지는 않으나, 한시가 많이 등장하는 작품인 만큼 그가 쓴 시인 등루부(登樓賦)가 등장한다. 이 시의 내용은 고향을 그리워하는 내용으로 그 중 한 구절이 이엄의 응접실에 걸려있었는데, 사자로 방문한 백령균이 고향인 익주에 있으면서도 고향을 그리워하는 시를 걸어놓은 이엄의 속내를 간파하여 제갈량과의 불화를 부추긴다.
2. 삼국시대의 인물
王贊
(? ~ 238년?)
삼국시대 공손연의 수하의 인물.
현도태수로 233년에 손권이 공손연에게 사신을 파견해 양평으로 4백여 명이 도착하자 공손연이 그들을 도모하기 위해 그들 무리를 요동군의 여러 현에 나누어 두었는데, 그 중에서 진단, 두덕, 황강 등과 병사 60명을 현도군에 두었다. 왕찬은 2백 호와 3, 400백명 쯤을 거느리고 있었는데, 진단, 두덕, 황강 등이 군사를 일으켜 관리를 죽이기로 모의했고 장송이 이를 알려주자 왕찬은 곧바로 군사들을 모아 성문을 닫았지만 모의했던 관리들은 모두 성을 넘어 달아났다.
공손연이 위군의 공격으로 멸망하자 공손연이 임명한 관원들을 사마의가 모두 처형했기에 만약 이 때까지 살아있었다면 238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2.1. 미디어 믹스
진삼국무쌍 6에서는 공손연의 난에서 등장해 공손연군의 서쪽에 있는 작은 진채의 바깥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서쪽 요충지 3곳 중에 한 곳이라도 장수를 격파하면 곽흔, 손종과 함께 위군을 격파하기 위해 남하한다.
진삼국무쌍 7에서는 양평의 전투에서 등장해 양평성의 남쪽에 위치하다가 플레이어가 서쪽을 공격하는 틈을 타서 숙서, 유보와 함께 남동쪽의 위군 본진을 공격하기 위해 남하했다가 장춘화가 투입한 연노의 공격으로 혼란에 빠진다.
[1] 물론 직접 대국을 하는 당사자들의 기량이 상당하다면 제각기 자기가 둔 바둑을 다시 순서대로 재현하면서 재현이 가능하지만, 왕찬이 대단한건 옆에서 구경하는 입장이었는데 그걸 그대로 복원했다는 것.[2] 덕분에 그 후에 일어난 이각, 곽사가 일으킨 삼보의 난을 피할 수 있었다.[3] 강릉의 한 누각에 올라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고 고향을 그리워하는 내용의 등루부(登樓賦)는 왕찬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재주는 있지만 때를 못 만난 설움을 뜻하는 왕찬등루(王粲登樓)란 말을 낳기도 했다.[4] 다만 이때 왕찬은 조조가 기세를 설명하면서 백등에서 오환을 파하고, 강외에서 손권을 구축하고, 농우에서 유비를 쫓아냈다는 말을 하는데, 배송지는 백등은 조조의 진군로와 완전히 동떨어져 오환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곳이며, 손권은 집권 이후 적벽대전 이전까지 조조와 쭉 화친관계였고, 결정적으로 유비는 당시 형주에 있었고 관농지방에 들어간 것은 훨씬 미래의 일이기에 왕찬이 그런 말을 했을 리가 없으며 장즐의 책 전체에 이런 사례가 일일히 적을 수 없을 정도로 많다며 문사전의 허황됨을 지적했다. 유표전만 봐도 항복파의 중심인물은 채모, 괴월로 나타나는데 왕찬 자체가 항복파에 기울어졌을 가능성 자체는 충분하지만, 얘네들은 경력이나 세력 내의 입지에서 왕찬과 넘사벽급의 차이가 있다. 문사전의 기록이 오류투성이인 데다, 정황적으로 봐도 왕찬을 그렇게 거물급으로 보긴 어렵다는 얘기.[5] 유수구 전투 발발 시에는 건안칠자 중 두 명이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