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달리는 소녀

 

'''우주를 달리는 소녀'''
宇宙をかける少女
SORA Kake GIRL

작품 정보 ▼
'''장르'''
SF, 거대로봇
'''원작'''
야타테 하지메
'''캐릭터 원안'''
요시즈미 카즈유키(芳住和之)
'''감독'''
오하라 마사카즈
'''시리즈 구성'''
하나다 줏키1~14화
히구치 타츠토(樋口達人)9~26화
'''치프 라이터'''
히구치 타츠토1~8화
'''구성 어드바이저'''
하나다 줏키15화~26화
'''캐릭터 디자인'''
카바시마 요스케
'''애니메이션 디렉터'''
'''세트 디자인'''
아오키 토모유키(青木智由紀)
'''메카닉 디자인'''
미야타케 카즈타카(宮武一貴)
아쿠츠 준이치(阿久津潤一)
진구지 노리유키(神宮司訓之)
타이가 히로유키(大河広行)
'''미술 감독'''
토쿠다 토시유키(徳田俊之)
'''색채 설계'''
요코야마 사요코(横山さよ子)
'''촬영 감독'''
오오이시 히데카츠(大石英勝)
'''편집'''
세키 카즈히코(関 一彦)
'''음향 감독'''
츠루오카 요타(鶴岡陽太)
'''음악'''
스도 켄이치(須藤賢一)
키쿠야 토모키(菊谷知樹)
Team SORAKAKE'70 with JAM Project
'''애니메이션 제작'''
선라이즈
'''제작'''
선라이즈
반다이 비주얼
'''방영 기간'''
2009. 01. 06. ~ 2009. 06. 30.
'''방송국'''
[image] TV 도쿄 / (화) 01:30
'''편당 방영 시간'''
24분
'''화수'''
26화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관련 사이트'''

}}}
1. 개요
2. 특징
3. 등장인물
3.1. 시시도 가문
3.2. 스루학원
3.3. ICP
3.4. 브레인 콜로니
3.5. 기타 인물
4. 설정
5. 주제가
6. 회차 목록
7. 평가

[clearfix]

1. 개요


우주를 달리는 소녀(宇宙をかける少女, SORA Kake GIRL). 선라이즈 제작. 감독은 오하라 마사카즈, 캐릭터 디자인 및 총 작화감독은 카바시마 요스케. 2009년 1월부터 6월까지 TV 도쿄에서 방영한 TV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한국에선 시간을 달리는 소녀를 시달소라고 줄여부르는 것 처럼 '''우달소'''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 이 항목도 우달소로도 리다이렉트 된다.
제목의 원어표기 '宇宙をかける少女'에서 '宇宙'는 요미가나가 'そら'(소라)이지만 하늘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한자하고 읽는법 다르게 쓰는건 일본에선 아무렇지도 않게 있는 일이다. 토미노 요시유키의 건담 시리즈 뿐 아니라 그 이전 고전 소설에서도 우주라 쓰고 소라라 읽는 표현은 많다.
제목의 패러디(시간을 달리는 소녀)에서부터 느껴지듯이 철저할 정도로 '''덕심'''을 노린 패러디로 점철된 작품으로 선라이즈 올드 팬 중에서는 "선라이즈도 땅에 떨어졌군."이라는 푸념을 했다고 카더라. 물론 실은 그런 것 없고 모에를 돌려 까기위한 핑계다.

2. 특징


동 제작사의 '개구리 중사 케로로'와 마찬가지로 셀프 패러디만으로 10년은 더 팔수 있다는 장점을 앞세워서 1쿨도 끝나지 않은 시점에서 벌써 기동전사 건담(세계관, 콜로니 떨구기에 콜로니 레이저),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중2병 걸린 폭주 캐릭터. 성우까지도 셀프 패러디) 등 다양한 떡밥을 투사했다.
물론 패러디의 대상은 자사 작품만 있는것이 아니라서 솔리드 스네이크(상자남)[1], 마크로스 프론티어(묘하게 흡사한 학교 외관), 톱을 노려라!(오카에리나사이)등 차고 넘치는 상태.
그것도 모자라 9화 경우 아예 본편 설정을 무시하고 에피소드를 통째로 '도카벤'이나 '아파치 야구군' 같은 고전 야구만화에 대한 오마쥬이자 패러디로 때우기도 했다. 이는 상당한 비판여론을 조성했다. 아무 설명도 없이 이런게 튀어나왔으니...
제작진부터 담당 스튜디오가 제 8 스튜디오, 연출은 마이히메 시리즈의 감독, 각본/구성이 아이돌 마스터 제노그라시아의 작가라는 것을 미루어볼 때 사실상 노린 것 같다. 게다가 철저히 미소녀 캐릭터를 앞세우고 남캐를 곁다리로 삼는 구성이나 무의미하게 반복되는 서비스 장면 역시 이전작들과 마찬가지다.
게다가 본편 방영 이전부터 캐릭터들의 PVC피규어화에 코스프레용 복장 발매, 방영캠페인용 이타샤의 등장 등 업계 불황을 '''덕심으로 대동단결'''로 헤쳐나가려는 '반다이/선라이즈'의 노림수가 곳곳에 숨어있다. 물론 이런 노림수 자체는 나쁜 게 아니다. 장르를 잘못 골랐다는 게 문제지....

3. 등장인물



3.1. 시시도 가문



3.2. 스루학원


  • 에밀리오 스루
  • 엘 스루
  • 오오쿠라 네네코(大倉ネネコ)
  • 훌리오 스루
  • 밋쨩 & 삿쨩
  • 신구지 시게루
  • 스바루 뱌쿠야
  • 미카가미 아키라
  • 유라 사하로프
  • 바바 츠츠지

3.3. ICP


[image]
ICP의 특수괴기사건 전담조사과의 과장. 이츠키와 우르의 상관으로 희한하게(?) 덥수룩한 머리가 트레이드 마크. 공안의 횡포에 맞서 의문의 콜로니(라고 쓰고 실체는 레오팔드) 사건을 조사하고 있다. 이츠키를 위장하여 살해(?)한뒤 시시도 아키하가 다니고 있는 학원에 집어넣어 조사를 하게 만들었다. 네르발이 콜로니를 다 털어버렸을땐 탈출, 거기에다 전 공안 요원 둘을 피자로 포섭하여 이츠키를 찾으려고 하고 있다.
[image]
ICP 교통관리과 소속으로, 파트너는 릴리. 어째서인지 릴리와 함께 레오팔드가 출현하는 장소에 내던져지고 마는 신세가 된다.

[image]
ICP 교통관리과 소속으로, 파트너는 에리카. 어째서인지 에리카와 함께 레오팔드가 출현하는 장소에 내던져지고 마는 신세가 된다.
  • 민타오
  • 부겐빌리아
  • 솔져 울

3.4. 브레인 콜로니


  • 벤케이
브레인 콜로니. 옛날에는 보나파르트란 이름이었다. 벤케이라는 이름답게 무사 운운하는 대사를 친다. 같은 브레인 콜로니인 레오파르트에게 강한 적개심을 품고 있으며 그의 미러를 호시탐탐 노린다.
정체가 스포일러. 물론 이 애니에서 스포일러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긴 하다.

3.5. 기타 인물


[image]
본작의 또 하나의 주인공. 네르발에게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그지스턴스 중 한명으로 과거 50년 전 시시도 카구라와 함께 네르발에게 대항하였으며 그 와중에 카구라는 행방불명되고 나머지 자매들인 이그지스턴스들은 네르발에게 세뇌되었다. QT 능력자이며 레오팔드와 함께 숨어지내면서 시시도 아키하를 끌어들여 파츠를 되찾는 도둑질을 했다. 네르발에 대항하여 싸움을 하다가 도중 수명이 얼마남지 않았다는 언급이 나왔다.
  • 미스터 쿠로오비
  • 프리드리히 오토 노블마인

4. 설정


시대 배경은 궤도력(軌道曆) 311년. 궤도력이란 인류가 생활의 중심을 지구에서 공전궤도상 라그랑주 포인트(Lagrangian point)에 건설된 우주식민지 - 스페이스 콜로니로 옮겨간 것을 기념하여 제정한 기년법(紀年法). 영문 약자로는 O.E.(Orbital Era)
우주공간에 콜로니(식민지)를 건설하여 산다는 개념은 이미 여러 작품을 통해 알려져 있다. 라그랑주 포인트를 아주 기본적이자 기초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지구와 달 사이에서 두 천체에 의한 인력이 평형을 이루어 둘 중 어느 쪽으로도 끌려가지 않는 지점을 말한다. 모두 5곳이 존재하며 이미 18세기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라그랑주가 발견했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본 작품에서 지구는 이미 인구과잉과 환경파괴, 자원고갈로 인류를 부양할 능력을 상실하였으므로 그 대안으로 제시된게 라그랑주 포인트에다 스페이스 콜로니를 건설하여 인류를 이주시키는 방법.
콜로니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아일랜드'라는 이름의 원통형 구조물. 중심에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파워플랜트 아일랜드가 있고, 그 주변에 6개의 거주용 아일랜드가 육각형을 이루며 둘러싼다. 이렇게 구성되는 7개 아일랜드 집단 하나를 '아키페라고(Archipelago)'라고 한다. 이 아키페라고가 여러개 모여 구성된게 '스트럭쳐'로써, 작품에서는 다수의 국가, 민족이 한 스트럭쳐를 구성하므로 과거 지구상의 국가 연합, 공동체에 상응하는 개념이라 할수 있다.[2]
지구 주변 달 공전궤도상 콜로니가 설치된 라그랑주 포인트는 5군데. 각자 L1,L2..로 지칭된다. 이론상 L4, L5가 가장 안정적이라 콜로니 건설에는 가장 이상적이라 한다.[3]
다음은 포인트마다 설치된 콜로니 스트럭쳐의 명칭들. (여기서 가나 표기를 남겨둔건 해당 사항의 정확한 한글 표기가 확인될 때까지 보류하고자 함이다.)[4]
[image]
L1 : ウ一レ 인민공화권 人民共和圈 - 중국, 인도
L2 : ライエ 합중권 合衆圈 - 남북 아메리카
L3 : ダリバ一ル 공동권 共同圈 - 유럽 연합, 동유럽, 러시아
L4 : エレンバ一グ 연합권 連合圈 - 중동, 아프리카
L5 : カ一クウッド 공영권 共榮圈 - 동아시아, 호주 [5]
참고로 위의 설정은 '''본편에선 설명되지 않는다'''. 공식사이트에 가야만 알 수 있는 내용이다. 애니가 얼마나 급전개와 무리수를 많이 두었는지 엿볼 수 있는 부분.
  • 참고 자료
    • 공식 사이트 (→ 테크놀러지 항목) 에 실린 세계관

5. 주제가


  • 1쿨 오프닝 테마 裸々イヴ新世紀
    • 작사: 타카라노 아리카(宝野アリカ)
    • 작곡, 편곡: 카타쿠라 미키야(片倉三起也)
    • 노래: ALI PROJECT

  • 2쿨 오프닝 테마 Miracle Fly

  • 2쿨 엔딩 테마 espacio
    • 작사, 노래: Ceui
    • 작곡: 오다카 코타로(小高光太郎), Ceui
    • 편곡: 오다카 코타로

6. 회차 목록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캐릭터'''
'''메카닉'''
제1화
孤高の魂
고고한 영혼

하나다 줏키
오하라 마사카즈
시마이야 테츠[6]
(仕舞屋 鉄)

카바시마 요스케
2009.01.06.
제2화
異界からの使者
이계에서 온 사자

타케우치 히로시
(竹内浩志)

오오츠카 켄
2009.01.13.
제3화
黄金のソウルシャウツ
황금의 소울 샤우트

쿠라타 아야코
(倉田綾子)

이나요시 토모시게
(稲吉智重)

2009.01.20.
제4화
まつろはぬ者達
따르지 않는 자들

테라오카 이와오
쿄고쿠 타카히코
타케모리 유카
(竹森由加)

이치카와 케이조
(市川敬三)

2009.01.27.
제5화
鋼鉄の乙女
강철의 소녀

히구치 타츠토
(樋口達人)

타쿠노 세이키
(宅野誠起)
스나가 츠카사

타쿠노 세이키
후카자와 켄지
(深沢謙二)

카와하라 토모히로
(川原智弘)

2009.02.03.
제6화
白き黒帯
새하얀 흑대

테라오카 이와오
타나베 야스히로
(田辺泰裕)

이나요시 아사코
(稲吉朝子)

2009.02.10.
제7화
神々の闘い
신들의 싸움

타케우치 히로시
카바시마 요스케
카와하라 토모히로
2009.02.17.
제8화
暗闇へのいざない
암흑으로의 초대

쿠라타 아야코
이나요시 토모시게
2009.02.24.
제9화
Q速∞
Q속∞

쿄고쿠 타카히코
후지이 토모유키
(藤井智之)

2009.03.03.
제10화
箱入りの娘
상자 속의 아가씨

스나가 츠카사
타나베 야스히로
타케모리 유카
오오스기 나오히로
(大杉尚広)

2009.03.10.
제11화
鏡信者たち
거울 신자들

오카다 쿠니히코
(岡田邦彦)
히구치 타츠토

아키타야 노리아키
니시자와 신야
(西澤真也)

이치카와 케이조
2009.03.17.
제12화
虚ろなる巨像
텅 빈 거상

히구치 타츠토
와타나베 테츠야
(渡邊哲哉)

카바시마 요스케
오오츠카 켄
2009.03.24.
제13화
棄てられた大地
버려진 대지

모리타 시게루
(森田 繁)

타케우치 히로시
타쿠노 세이키
타케우치 히로시
카와하라 토모히로
2009.03.31.
제14화
夜ひらく花
밤을 여는 꽃

히구치 타츠토
쿄고쿠 타카히코
이나요시 아사코
2009.04.07.
제15화
魔女の騎行
마녀의 기행

모리타 시게루
오카다 쿠니히코
히구치 타츠토

타나베 야스히로
이나요시 토모시게
이무라 마나부
(井村 学)

2009.04.14.
제16화
わだかまる宇宙
뒤얽힌 우주

오카다 쿠니히코
히구치 타츠토

스나가 츠카사
이케노 쇼지
(池野昭二)

후지이 토모유키
2009.04.21.
제17화
友達の輪
친구의 고리

히구치 타츠토
마츠이 히토유키
(まついひとゆき)

안도 마사오미
미야마에 신이치
(宮前真一)

아오야마 마사노리
(青山正宣)

2009.04.28.
제18화
よみがえる神
되살아나는 신

노무라 유이치
(野村祐一)

타케우치 히로시
카바시마 요스케
카와하라 토모히로
2009.05.05.
제19화
閉じた迷宮
닫힌 미궁

모리타 시게루
쿄고쿠 타카히코
니시자와 신야
이치카와 케이조
2009.05.12.
제20화
白銀の追跡
백은의 추적

타카야마 지로
(高山治郎)
히구치 타츠토

스나가 츠카사
타나베 야스히로
이나요시 아사코
오오스기 나오히로
2009.05.19.
제21화
小さな勇気
작은 용기

노무라 유이치
사사키 신사쿠
우에하라 히데아키
(上原秀明)

이나요시 토모시게
오오츠카 켄
2009.05.26.
제22화
冥い旅路
어두운 여행길

모리타 시게루
마츠이 히토유키
안도 마사오미
신보 타쿠로
타카세 켄이치
2009.06.02.
제23화
秘剣、輝く
비검, 빛나다

히구치 타츠토
스나가 츠카사
타케우치 히로시
코부치 요스케
(小渕陽介)

후지이 토모유키
2009.06.09.
제24화
終末の呼び声
종말이 부르는 소리

노무라 유이치
쿄고쿠 타카히코
니시자와 신야
이치카와 케이조
2009.06.16.
제25화
黄昏れる神々
황혼에 지는 신들

히구치 타츠토
스나가 츠카사
타나베 야스히로
신보 타쿠로
타카세 켄이치
2009.06.23.
제26화
あしもとに宇宙(そら
발밑의 우주

오하라 마사카즈
카바시마 요스케
카와하라 토모히로
2009.06.30.

7. 평가


서비스씬과 패러디만으로 떡칠하다 보니까 정작 본편 내용은 시tothe망이라는 게 뭔지 잘 보여준다. 26화 완결인데 25화까지 와서야 주인공이 적과 싸울 결의를 처음 하게 된다. 게다가 보고 있자면 어째 적보다 아군이 더 무개념+악 인것 같은 느낌을 강하게 받게 된다.
결과적으로는……
[image]
'''희대의 졸작이자 망작이 되어버렸다.''' 결국 많은 논란 끝에 26화를 끝으로 종영되었다. 최종화를 본 팬들의 반응은 '''"그래서 결론이 뭐임?"'''.
마이히메의 성공을 바탕으로 미소녀코드에 선라이즈 특유의 '''막판까지 알 수 없는 분위기 후 급전개'''라는 스토리 전개를 택한 건 좋은데... 코드 기어스와 마찬가지로 떡밥만 가득 풀어놓고 이야기를 최대한 밝히지 않고 궁금증을 증폭시키는 걸로 팔아먹을려고 했던 작품으로 볼 수 있다. 그나마 마이 히메나 코드 기어스는 상업적으로 성공은 하였지만 이 작품은 긍정적인 평가가 거의 없으니 대실패. 결국 마이히메→제노그라시아→우달소를 제작했던 스탭은 우달소까지 실패하자 스튜디오 전체의 스탭이 싸그리 해고되면서 그대로 해산되었다. 이 작품 이후 선라이즈 제 8 스튜디오는 경계선상의 호라이즌을 제작하기 전까지 2년 반동안 자주제작 애니메이션을 맡지 못했을 정도.
1기 오프닝 송이 오프닝 화면과 전혀 맞지 않는다는 불만도 사고 있다. ALI PROJECT의 '전라 이브 신세기'. 이는 선라이즈 전통 중 하나로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R2 오프닝(해독불능) 때에도 그런 구설이 오른 적이 있다.
[1] 나중에는 아예 상자에 든 인간이 나와 아베 코보의 소설 '상자남(箱男)'을 패러디한다. 상자짱. 근데 좀 모에하다.[2] Archipelago 의 사전적 의미는 군도(群島), 다도해. 우리나라 남부의 다도해를 'Korean Archipelago'라고 한다.[3] 왜냐하면 그림에서도 볼 수 있듯이 나머지 지점들은 일단 한쪽으로 밀려나면 점점 그 쪽으로 쏠림현상이 강해지는 불안정 지점인 데 반해 L4와 L5는 한쪽으로 밀려나도 반대쪽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위치이기 때문.[4] 참고로 건담세계관의 사이드1/4는 L5, 사이드2/6가 L4, 사이드3가 L2, 사이드5는 L1, 사이드7이 L3에 위치한다.[5] 하필 '공영권'이라는 부분에 혐한 의혹 또한 받고 있다.[6] 애니메이션 연출가/감독 와타나베 테츠야(渡邊哲哉)의 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