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금강산간 고속도로

 


[1]
[image]
'''
기점
'''
고성군(북한)
'''
종점
'''
강원도(북한) 원산시
'''
연장
'''
98.4km
1. 개요
2. 특징
3. 현실
4. 추후
5. 휴게소


1. 개요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광복전 명칭 장전읍)의 금강산을 기점으로 하여 원산시를 종점으로 하는 왕복 2차로의 고속도로. 전구간이 왕복 2차로의 고속도로로, 총연장 114km에 폭이 12m.[2]

2. 특징


1987년 착공하여 1989년에 개통, 북한에서 세 번째로 개통한 고속도로다.
강원도 고성군 장전읍 온정리를 기점으로 하여 예륜령, 통천, 고저, 흡곡, 안변을 지나 원산시 갈마동에서 끝난다. 장전 시점에서 43번 국도[3], 원산 종점에서 5번 국도가 합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4]
평양원산간 고속도로와 직접 접속되지는 않는데, 평양원산간 고속도로의 종점은 판중동, 원산금강산 고속도로의 종점은 갈마리이기 때문. 각각 원산 시가지의 서쪽 끝과 동쪽 끝이다. 물론 "도로"상으로 본다면 직진을 쭉 하면 연결되는 구조이긴 하다는 게 함정이지만. [5]

3. 현실


이 도로의 특징은 원산-금강산 간 7번 국도를 그냥 조금 이설 및 확장하여 포장한 다음에 고속도로라고 붙여놓은 거라서[6], 도로 폭이 12m에 불과한데다가 도로 선형이 매우 불량하여 광주대구고속도로의 88올림픽고속도로 시절만도 못한 상황. 간단히 말하면, '''전체 노선 중 80% 정도는 7번 국도와 공용한다'''고 보면 되고, 그나마도 '''삼거리에서 직진을 하면 고속도로를 저절로 빠져나오는 교차로'''도 상당히 많다.[7]
그나마 평양을 기점으로 다른 고속도로들이 중앙정부의 지원으로 건설된 데 반해 이 고속도로는 아예 '''강원도가 자체적으로''' 건설해야 했다. [8] 이 고속도로와 동시기에 건설된 도로가 개성평양간 고속도로인데, 개성평양간 고속도로가 인민군 수만명을 동원해서 공사 할 때 여기는 강원도 내 노동자들은 물론이고 당·행정일군들까지 삽 들고 나와야 했다. 물론 '''건설 결정은 중앙정부에서 내리고'''(...)

4. 추후


현재 평양원산간 고속도로와 접속하는 원산함흥간 고속도로가 건설중이지만 본 노선과 직접 접속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오히려 원산함흥선은 '''속초~원산 간 고속도로와 접속'''[9]되고, 원산-금강산선은 부분 선형개량 등을 한 뒤 '''7번 국도에 재편입, 동해대로로 개편될 가능성이 높다.''' [10]


5. 휴게소


시중호 휴게소 - 강원도(북한) 통천군
[1] 실제 통일이 될 경우 확장 및 선형개량을 해서 동해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으로 편입할 계획이 있다. 물론 언제까지나 '''원산-속초 신선이 뚫리기 전까지겠지만.'''[2] 참고로 서울103번, 172번 1137번, 1017번이 들쑤시는 일명 '''장위동 고갯길'''(장월로)의 노폭이 12m이다.[3] 43번 국도의 종점이 고성군 온정리이다.[4] 이후 함흥시 만세교까지 5번 국도와 7번 국도는 중첩된다.[5] 1987년까지 영동고속도로 종점은 강릉시 홍제동, 동해고속도로 종점은 모전동이어서 강릉시내를 통과했어야 했기 때문.[6] 비슷한 사례로는 1993년에 개통한 평양강동간 고속도로가 있다. 이도 평양-강동 간 8번 국도를 약간 선형 개량해서 그대로 고속도로라는 이름을 붙여 놓았다.[7] 간단히 말하면 구 동마산IC 같은 형태의 교차로가 삼거리로 되어 있다는 뜻이다.[8] 제3경인이 제1, 제2경인과는 달리 고속도로가 아닌 지방도가 된 이유가, 해당 사업은 정부가 아닌 '''경기도 자체 사업'''이었기 때문이다. 단 설계속도는 고속도로급으로 맞추긴 했다.[9] 거리는 대략 157.3km.[10] 이는 2001년 말부터 2004년 말까지 3년간 동해고속도로 강릉~현남 구간의 4차로 신설 구간과 기존 강릉~동해 간 2차로 구간이 공존했던 것과 모양새가 매우 흡사하다. 이 둘도 3년 동안 하나의 동해고속도로였지만, 직결되지 않고 신 강릉IC~구 강릉IC의 35번 국도(구 영동고속도로) 구간을 통해 간접 연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