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표

 


'''18제후왕(諸侯王)
위표
魏豹'''

'''작위'''
서위왕(西魏王)
''''''
(姬)
''''''
(魏)
''''''
(豹)
''' 고향'''
안읍(安邑)
'''사망지'''
형양
'''생몰 기간'''
음력
기원전 ? ~ 기원전 204년
'''재위 기간'''
기원전 207년,208년 ~ 기원전 205년 3월
1. 소개
2. 생애
3. 대중매체에서
4. 둘러보기

[clearfix]

1. 소개


초한쟁패기의 인물이자, 군벌 또는 제후왕 중 하나. 보통 사기 등에선 위왕 표(魏王豹)로 기록되곤 한다.

2. 생애


위(魏)나라 왕족 출신[1]이나, 진승(陳勝)의 봉기 전까지는 자세한 행적을 알 수 없다. 진승 휘하에 있었을 가능성도 있고, 초의제항량일가처럼 초야에 숨어지내고 있었을 수도 있다.
어찌되었든 진승은 휘하의 장수 주불을 보내 옛 위나라 땅을 평정하고 주불을 위왕에 앉히려 했으나, 주불은 왕족 출신이 왕이 되어야 한다며 사양한다. 그리하여 위표의 형인 위구가 위왕으로 옹립되고, 위표도 이때부터 역사에 모습을 드러낸다.
그러나 위나라 부흥의 꿈도 잠시, 진승의 세력은 금세 와해되고 진나라 장수 장한의 무서운 토벌이 시작되었다. 관중 근방인데다 아직 세력이 약한 위나라는 바로 토벌 대상에 오르게 되었다. 이에 초나라제나라에 원군을 청했지만, 임제에서 원군으로 온 제왕 전담이 전사하고 항타, 전파가 이끄는 초나라의 원군도 격파되고 만다. 그리하여 위구는 군민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자결하고, 위표는 도주했다.
이후 위표는 초나라에서 객장 비슷하게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사기의 〈위표팽월열전〉에 따르면, 거록전투 전후 위나라 땅의 20여성을 수복해 장악했고 항우의 입관에 종군했다고 한다. 그러나 〈진초지제월표〉에 따르면 거록전투 이전에 이미 평양을 서울로 삼고, 위나라를 재건해 거록전투에 원군을 보내었다고 해 시점이 맞지 않는다. 어쨌든 '''항우와 함께 함곡관에 입성'''한 것은 분명하며, 진나라 멸망 후 서위왕(西魏王)에 봉해졌다. 그러나 옛 위나라 전역을 받은 것은 아니었고, 옛 위나라의 수도 대량과 동쪽을 서초패왕 항우에게 양도한 분봉이었다.
곧 세상은 다시 어수선해졌고, 유방이 한중에서 나와 관중을 탈환해 동진한다. 사마흔, 동예가 항복하고 장한, 정창이 격파되는 상황에서, 위표는 친히 군마를 이끌고 '''유방에게 투항'''한다.
그런데 유방이 팽성대전에서 참패하자, 위표는 형양에 함께 있다가 부모의 병환을 핑계로 영지로 돌아가 '''초에 붙어 한에 반기'''를 든다. 정치적으로 보면 대패한 한의 역량이 못 미더워서겠지만, 이에는 좀 황당한 다른 이유가 있다. 위표는 당시 유명한 관상쟁이 허부로부터 자신의 첩 박희(薄姬)가 '''천자를 낳을 상'''이라는 말을 듣고, 자기 아들이 천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해 김칫국을 거하게 들이키고 유방과 항우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기로 마음먹은 것이다.
유방은 역이기를 보내 설득하지만, 이번에는 '유방 그 인간은 욕이 너무 심하고 사람을 순 노예처럼 대해서 싫다.'(...)고 거부하여 실패하고[2] 결국 한신이 파견되어 안읍 전투에서 위표를 격파한다. 위표의 영지는 하동군으로 재편되어 위표는 졸지에 영지까지 몰수 당하게 된다. 이때 박희는 한나라의 베 짜는 종이 되었다가, 나중에 유방의 후궁이 되어 한문제를 낳았으니 결과적으로 예언 자체는 완벽히 들어맞은 셈. 그러나 사기 위표팽월열전이나 한서의 위표전담한신열전에는 점쟁이 어쩌구 하는 기록이 없다. 상식적으로도 난세에 몸을 일으켜서 일국의 왕까지 된 사람이 일개 관상가 말 하나에 좌우될 정도로 귀가 얇았을 가능성은 높지 않고, 나름대로 정세분석을 하고 내린 결정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예언이 맞아떨어지는 고대 사서의 흔한 클리셰로, 거의 후대의 창작이 많기 때문에 곧이곧대로 믿기 어렵다.
허나 재미있게도 유방은 위표의 아내인 박희를 빼앗아 자신의 후궁에 넣은 후에도 전남편인 위표를 죽이지 않고 계속 막하에 부하로 두었다. 심지어 기원전 204년 유방은 기신의 희생으로 도주할 때 형양 수비를 종공, 주가, 한왕 신 그리고 위표에게 맡긴다. 형양 수비군은 유방의 도주를 위해 시간을 벌어야 했는데 충의로운 자를 남겨도 모자를 판에 위표를 둔 것은 기묘한 일이었다.[사실] 다만 위표를 둔 것은 그냥 버리는 말(...)로 쓸려는 거 아니냐는 말도 있지만 그럴 가능성은 낮다. 농성전에서 못믿을 사람이 끼어있는것은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아군 병사들부터가 불안해서 제대로 싸울수가 없다.[3] 이에 종공과 주가는 모의하여 "나라를 배신한 적이 있는 왕과 함께 성을 지키기는 어려울 것이다."라는 결론을 내리고 위표를 죽이게 된다. 그렇지만 유방보다 훨씬 과격한 항우의 성격상 자신을 배신한 놈을 살려둘 리가 없으니 종공, 주가가 아니었더라도 어차피 항우에게 죽음을 당했을 것이다.

3. 대중매체에서


대체로 대중매체에서 위표는 가벌의식에 찌들어 허세에 찬 비열한 인물로 그려진다. 하지만 당시 초, 한을 오가며 줄타기한 인물이 위표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게다가 위표는 팽성전투 후 여타 제후처럼 바로 손바닥 뒤집듯 초로 붙은 것이 아니고, 유방이 전열을 재정비하고 영포를 회유할 때까지도 같이 있었다. 상당히 나중에 초나라로 귀순한 것.
그럼에도 초한쟁패기의 대표적인 배신의 아이콘으로 비하된다. 아마도 부모팔이까지 하면서 배신한 것과,[4] 그의 아내였던 박희가 유방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이 황제가 되는 바람에 안 좋은 쪽으로 유명세를 얻은 것이 원인인 것 같다. 거기다 안읍 전투에서 한신에게 말 그대로 한 싸움만에 개박살이 나고 투항했을 정도로 좋지 않은 모양새를 보였던 것도 한몫한다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인지 대중매체에서도 최후까지 초군에 내통하려다 또는 종공, 주가에게 초군으로의 투항을 권유하다가 죽는 것으로 그려진다. 심지어 팽성전투 때 한신이 면직되고 가벌로 대원수가 되어 한군을 말아먹은 대패의 주원인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그러나 팽성전투 때 한신도 참전했다고 볼 때 행적 이상으로 까이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아이러니한건 위표의 형 위구는 장한에게 궁지에 몰리자 군민을 살려주는 것을 조건으로 스스로 분신자살한 당대 군벌 중 인성으로는 가장 훌륭한 인물이었다는 것.
중국 드라마 초한전기에서는 좀 소심하고 부족한 사람으로 나오며, 그를 만나고 온 소하의 평에 의하면 색을 탐하기만 하니 큰 일을 하기 글렀다고 한다. 오히려 아내 박희가 훨씬 더 담대하고 뛰어난 여장부로 나온다. 박희는 판단도 대체로 정확한 편이며, 영포를 봤을 때도 항우를 배신할 걸 예측하기도 했다. 그런 아내에게 위표는 모든 판단을 맡기다시피 하였다. 이후 유방에게 항복한 뒤 살려달라고 애걸복걸 한 끝에 노비가 돼서 주발에게 농락까지 당하는 처량한 신세가 되버리고, 아내 박희를 유방에게 바치고 나서야 다시 위왕의 자리에 올랐다. 형양이 항우에게 포위당할때 탈출 계획을 짜던 유방이 형양성 수성 책임자로 고려를 하긴 했지만 애초부터 유방은 위표가 성을 사수할거란 생각은 하지 않은듯 하다.[5] 하지만 진평의 추천으로 주가를 수성 책임자로 임명한다. 위표는 유방이 탈출한 이후 유방을 배신하고 항우에게 항복하려고 유방의 정보를 밀사를 통해 알려주려 했지만 이미 눈치챈 주가에게 살해당한다. 텅 빈 막사에서 혼자 바람빠지는 신음소리를 내며 쓰러진 결말조차 안습한 인물.
고우영 초한지에서는 한술 더떠서 외형과 성격 모두 고우영 삼국지의 동탁 수준으로 나온다. 최후도 서인으로 내쫒긴 뒤 종공, 주가에게 항복을 권유하다가 죽임을 당하고 효수당하는 신세. 그리고 서인으로 내쫒길 때 본부인과 첩을 유방에게 빼앗긴다.......특이하게 처음엔 이름이 제대로 나오다가 어느 순간부터 갑자기 이름이 유표로 바뀐다. 아마 손글씨로 텍스트를 넣던 고우영 화백이 어느 순간 실수한 게 계속 굳어진 듯.
전략삼국지를 그린 요코하마 미츠테루가 그린 항우와 유방에서 유방측 사신의 현정세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항복하며 등장하고 이후 팽성대전에서 항명으로 좌천당한 한신 대신 고결한 귀족 혈통에 집착한 유방에 의해 총사령관이 된다. 그러나 허울만 좋은 군사재능 때문에 항우의 3만 정예군에게 59만이 박살당한 죄로 사형대신 근신처분을 받지만 자신을 하대한다는 불만을 들은 항우의 공작으로 보낸 점쟁이가 불길한 상이라 하면 항우편에 안붙을거라 판단해서 위표의 아내에게 천자를 낳을 상과 얼마 지나지 않아 위표에게 모든 나라가 고개를 숙일거라는 말에 찰싹 믿고 천하삼분지계를 하겠다며 배반을 선언, 유방측 사자 역이기가 오자 땅크기 더 넓혀주고 작위를 주면 배반하겠다는 기회주의자 면모를 보이다가 한신 토벌군에게 개박살 나며 투항한다. 이후 모든 직위를 박탈당하고 항우가 공격해올때 수비를 맡던 한의 장수들에게 싸워봤자 개죽음이라며 항복을 유도하려다가 분개한 한의 장수에게 처형당하며 퇴장당한다.
이상의 픽션이 많이 들어간 창작물들과 달리 사기 기록에 충실하면서 나름 공정하게 위표를 묘사해주는 작품은 사실상 이문열 초한지 하나뿐이다.

4. 둘러보기





[1] 제나라의 전담처럼 방계 왕족이나 혹은 성씨가 같음을 착안해 왕족을 사칭한 경우도 있었지만, 위표의 형 위구(魏咎)는 위나라 때 영릉군(寧陵君)으로 봉해진 바 있으므로, 이들 형제는 왕족이 분명하다.[2] 위표의 형인 위구 때문에 위표의 대접이 특히 나빴을지도 모른다. 위구가 옹치에게 바람을 넣어서 유방을 통수치도록 만든 장본인이기 때문. 옹치한테 뒤끝이 얼마나 오래갔는지를 생각하면.(...)[사실] 유방은 이전에도 자기 기반이나 마찬가지인 풍읍을 자신과 사이가 안좋았던 옹치에게 맡겼다 잃어버린 적이 있었다.[3] 한 번 배신한 이상 실권은 없었을 것이며 주가, 종공, 한왕 신은 믿을만하고 위표가 헛짓을 못하게 둘 것이라 판단했을 가능성이 크다[4] 이 때문에 종종 위표 모친도 같이 매도된다. 그 어미에 그 아들 식으로. 대표적인 것이 요코야마 미츠테루의 항우와 유방.[5] 세가지 가능성을 염두에 뒀는데, 하나는 성을 포기할 경우로 항우가 위표를 가만두지 않을것이며 두번째는 전사를 할 경우로 이땐 왕의 예로 장례를 치뤄주겠다 하였고 마지막으로 '''불가능하지만''' 만약 승전할 경우 맹장을 얻은거니 나쁠게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