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종(삼국지)
劉琮
생몰년도 미상
1. 개요
후한 말 형주를 다스린 유표의 차남이다. 정사에서는 장남인 유기와는 한 어머니를 둔 친형제이다. 연의에서는 채부인의 친아들이다.
2. 정사
본래 유표는 장자 유기를 총애했으나 유종이 유표의 후처인 채부인의 조카를 부인으로 맞이했기 때문에[1] 형주의 강력한 호족이었던 채씨 일족에게서 전폭적인 지지를 받아 유기를 강하태수라는 외직으로 밀어내[2] 유표의 후계자로 두각을 드러냈다.
조비가 쓴 《전론》에 따르면 유종과 채씨 일가는 온갖 비열한 방법을 동원하여 유기를 끌어내리는 데 혈안이 되었다고 하며, 유기에 대해서 지극히 동정적인 서술을 하고 있지만 다른 사람도 아니라 동생들과 치열한 암투 끝에 황제에 오른 조비 본인의 기록이기에 어느 정도 과장되었을 가능성은 있다. 다만 교차되는 다른 기록들을 봤을 때 유종과 채모가 연합해 기존에 후계자로서 입지를 가지고 있던 유기를 적극적으로 끌어내린 것은 사실로 보인다.
마침 조조가 공격하자 형주와의 경계 지역에 조조가 다다랐을 무렵에 유표가 병으로 죽었으며, 이런 상황에서 유표의 지위를 물려받아 군주가 되었으니 통제가 제대로 될 리가 없다. 일단 자기 자신은 끝까지 지켜보고자 하는 생각이었으나 거의 대부분의 신하들, 무엇보다도 군권을 쥐고 있던 것으로 여겨지는 채씨 일족이 투항을 주장해 조조에게 항복한다.
조조가 형주에 입성했을때 유종의 부하였던 왕위는 조조가 방심하고 있으니 이를 틈타 습격해 조조를 죽인다면 천하를 평정하는 것도 꿈이 아니라고 진언했지만, 유종은 이를 거절하고 순순히 조조에게 귀부한다. 《자치통감》에 주를 단 호삼성은 이때 유종이 왕위의 진언을 받아들였더라면 조조는 그대로 끝났을 것이라 평했다. 내심 항복에 반대하는 입장이긴 했지만 그만큼 큰 일을 벌이기에는 담이 작았던 모양이다.
이후 청주자사로 부임한다. 조조는 그를 높이 평가했으며,[3] 간의대부 찬동 군사에 임명되었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조조 본인은 나중에 유수구에서 손권의 군사가 엄정한 것을 보고 기량을 칭찬하면서 "자식을 낳으려면 손중모 정도는 되어야지. "유경승의 아들들은 개나 돼지와 같다(生子當如孫仲謀 劉景升兒子若豚犬耳)."고 말한다.[4] 공식적으로는 칭찬해줬지만 본심은 그렇게까지 높이 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사실 유력 호족들과 야합해 온갖 모략으로 형을 후계에서 밀어내고는 기껏 한다는 것이 호족들에게 휘둘리다 항복하는 것이니 높게 평가하기도 어려울 것이다. 여담으로 이 고사 때문에 어리석은 아들을 이르는 '돈견(豚犬)'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아무래도 조조가 유종을 높이 평가하며 대우한 건 항복한 형주 민심을 포섭하는 목적이 강한 전형적인 립서비스이자 겉치례일 뿐으로 보인다.
한편 유기는 반조조파인 유비에게 추대되면서 조조에 대한 저항 의지를 확고히 하고, 유종과 완전히 갈라선다. 유기와 유종은 원래 사이가 나빴으나 이렇게 갈라선 이후부터는 아예 형제관계도 정리하고 서로 불구대천의 원수로 여겼다고 한다.
전론에 따르면 유기의 성격과 평판이 좋았기에 당시 사람들은 유종을 도왔던 채씨 일가를 비웃고 경멸했다고 한다. 서술에 편향성이 있긴 하지만 앞뒤 정황을 봤을 때 아예 없는 말을 지어낸 것은 아닌 듯 하다. 당시의 도덕상을 본다면 유종과 채씨 일가의 행위는 유표에 대한 반역이나 다름없었다.
유종의 몰년은 불명이나 이토록 조비에게 단단히 밉보였기에 조조 사후까지 생존해 있었다면 매우 피곤하게 살았을 듯하다.
조조가 후계자를 고민할 때 가후는 "원본초와 유경승의 일을 잊으셨습니까?"라고 언급하며 장자를 내치고 원상과 유종을 후사로 결정한 것이 어리석은 일이었다는 것을 은연 중에 언급한다.
3. 연의
삼국지연의에서는 채부인의 아들로[5] 나이도 매우 어리게 설정되어 유표의 사망해인 208년 당시 14살(195년생)의 나이로 나온다. 덧붙여 매우 총명하게 묘사되었다.
채부인은 유기를 제거하고 자신의 아들인 유종을 후계자로 만들기 위해 남동생인 채모와 이런저런 모략을 꾸미고, 유표가 죽은 뒤 유서를 조작하여 유종을 형주의 차기 군주로 옹립한다. 이 때 위의 총명하다는 설정을 살려 "형님이랑 삼촌이 있는데 어쩌자고 이런 일을 저질렀는가?"라며 어머니와 채모 일당에게 팩트폭력을 시전해 잠깐 그들에게 수치심을 안겨줬지만, 나이가 어린데다 일종의 바지사장, 트로피같은 존재라 소용이 없었다. 이후 조조에게 항복하는 것은 역사상의 모습과 거의 같으나 청주자사로 부임받아 가는 도중에 정사와 달리 우금에게 어머니와 함께 살해당한다.
비중은 안습한 편이지만 그래도 연의상으로는 은근히 큰 수혜를 입은 편에 속한다. 역사상의 서술은 정략결혼으로 유력 호족들과 야합하며 모략으로 형을 몰아내고 기껏 한다는 짓이 휘하 호족들에게 휘둘리다가 항복하는 찌질한 모습이다. 또한 일단 순순히 항복했기에 공식적으로는 우대받았지만 조조는 사석에서 유종을 개돼지로 평했으며, 조비는 감히 형을 몰아내고 후계자가 됐다는 점이 괘씸해 보였는지 글까지 남겨가며 유종을 신랄하게 까는 등 매우 평가가 나쁘다. 하지만 연의에서는 유종이 후계 지위를 위해 욕심을 부렸던 것을 친아들을 후사로 밀어넣기 위한 채부인의 욕심으로 묘사했으며, 나중엔 형제관계도 정리하고 서로 원수로 여겼을 정도로 불화했던 유기와의 관계도 우애가 있던 것으로 묘사된다.
전체적으로 매우 사려깊고 총명하지만 아직 한참 어린 나이로 어른들의 권력다툼에 희생된 비운의 군주로 묘사된다. 나이가 한참 어린데도 어머니와 유력 가신들의 야합으로 장자를 제치고 추대된다는 점에서는 역사적 기록에서 나타나는 원상과 비슷한 포지션인데, 정작 연의에서 원상은 이미 장성한 나이로 나오는데다, 인물상 역시 나름 용맹성은 있지만 비정하고 탐욕스러워 권력다툼을 일삼는 소인배로 묘사되기 때문에, 채부인 소생의 자식이 되어 나이도 어려지고 음험한 역할은 채씨 일족이 독박 쓰는 걸로 묘사되는 유종은 확실히 버프를 받은 편이다.
몇몇 연의의 판본에서는 조조가 유수구에서 유종을 까는 발언을 "유경승이나 원본초의 아들들은 개돼지와 같다."라고 고쳐서 원소의 아들들도 한 묶음이 되어 까이기도 한다. 원상의 실제 행적을 생각하면 안습한 대우.
4. 미디어 믹스
삼국지 시리즈에서도 삼국지연의를 따라 195년생으로 설정, 지력이나 정치력은 60대 중반에 머무르고 전투관련 능력치는 매우 낮다. 소년 이미지 때문인지 꽤나 귀여운 얼굴로 나온다. 하지만 12편에서는 정사 보정인지 어느 정도 나이가 있어 보인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2/무력 22/지력 66/정치력 61. 지력은 형보다 높다지만 그래봤자 쓰레기이고 정치력이 낮은 게 더 문제다. 형은 투함을 띄울 수 있는 데 이 녀석은 누선밖에 못 띄운다. 그 이외에 병법으로는 제사, 조영, 혼란을 가지고 있긴 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6/무력 20/지력 66/정치력 56/매력 63에 특기는 기술, 명사로 단 2개뿐. 등장하는 시나리오라곤 삼고초려 시나리오뿐인데 수명마저 짧고 영웅집결에서 쓰자니 유표군에 저 정도 능력치를 가진 인물은 널렸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4/무력 22/지력 64/정치력 65/매력 70의 평범한 문관형이다. 일러스트는 그나마 곱상하게 나온다. 콘솔판 추가 시나리오인 영웅난무에서는 유표에게서 독립하여 신야에서 군주로 나온다. 부하는 채씨, 채모, 채중, 채화, 장윤, 부손, 왕위#s-3, 왕찬. 도시도 작고 부하들 능력치도 안습한데 신야에는 재야도 없다. 더 문제는 양호, 유언, 마등, 순욱#s-1, 손권이 주변에 있다는 것. 정상적으로 해서는 답이 없는 세력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손을 가로 저으고 있다. 정황상 연의에서 자신을 후계자로 추종한 외가인 채씨 일파를 꾸짖을 때 모습으로 보인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4/무력 22/지력 65/정치력 65. 특기는 농업 1, 문화 2, 수영 1. 전수특기는 문화이며 전법은 기방약화.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2, 무력 22, 지력 64, 정치 65, 매력 70으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2,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우유, 주의는 예교, 정책은 지역진흥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시람, 친애무장은 채모, 채씨, 혐오무장은 없다.
[image]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에서도 어린 아이 연령대로 등장한다. 채모의 꼭두각시로 살다가 조조에게 투항해버리고 우금에게 살해당하기 직전에 비명을 지르는 모습이 동정표를 유발하게 된다.
[image]
배우는 드라마 경세황비에서 맹기성 역을 맡은 구상이 맡았으며, 한국판 성우는 이지환이다.
드라마 삼국에서는 어머니인 채부인과 함께 살해되지는 않지만, 36회에서는 형주의 지배권을 보장한다던 당초 약속과는 달리 반대파의 암살 우려를 핑계로 조조가 실권을 뺏고 허창에 보내 연금시킨다.[6]
극중 형주의 군사는 기병 5만, 보병 15만, 수군 18만으로 도합 33만의 대군인데,조조가 이끌고 남하한 병력수는 50만으로 100만 내지는 150만 까지로도 묘사된 연의나 다른 창작물들에 비하면 그래도 어떻게든 해볼만한 숫자였고 조조군은 수전에 약하다는 약점이 있었고 손권측에서도 조조와 싸울생각을 하는등 그렇게까지 절망적인 상황은 아니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종은 싸우지도않고 겁을먹고는 곧바로 투항을 해버리자 성질이 난 조조는 형주군의 10분의 1도 안되는 병력만 가진 유비는 죽자사자 싸우는데 그렇게 많은 병마를 거느린 넌 왜 싸워보지도 않고 투항했냐며 질타한후 허창으로 보내 연금시키는데 이후 노숙이 조조와 맞서야 한다고 손권을 설득할때 유종이 허창으로 압송된 이야기와 황금으로 만든 새장 이야기를 하는데
조조가 다른 신하들은 다 받아줘도, 손권 본인은 싹을 잘라버린다는 이유로 다른 신하들처럼 그냥 놔두지 않을것이고 이미 조정이라는 새장안에 천자(헌제)와 유종이 들어가있는데 손권까지 들어가서 3마리가 같이 살면 너무 비좁지 않겠냐고 설득한다.다른 삼국지연의 창작물에서도 노숙이 언급하는 손권에게 항복이 불가능한 가장 큰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차이라면 신삼국에서는 조조가 유종을 죽이진 않았기때문에 압송된 유종을 언급한다. 대부분 다른 창작물에서는 유종은 채부인과 함께 죽기때문에 노숙이 유종의 죽음을 이야기한다.
창천항로에서는 유표가 삼고초려로 제갈량을 맞아들여 화제거리가 유비에게 책략을 구하는 등 호들갑을 떨자 유비가 말하는 조조를 이길 책략이란 것을 너무 믿지 말라고 조언하는 것으로 등장. 이에 유표는 조조를 물리치는 것까진 바라지도 않지만 이로서 유비의 성망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이를 이용함으로서 우리들의 천하의 그림이 보일 것이라고 한다.[7] 이때 두 페이지 나오고, 이후의 행적은 나레이션이나 다른 인물의 대사를 통해 처리되는 완전한 엑스트라에 가깝지만 역사상의 유종이 그리 어린 나이는 아니었다는 점을 감안했는지 적당히 푸짐하고 수염을 길게 길러 작중 유표와 비슷한 이미지로 나온다. 적게봐도 30대는 됐을 듯하다.
삼국전투기에서는 유'''종'''이라 그런지 종(鐘)으로 나온다. 이 때문에 다른 인물들에게 머리를 작은 망치로 맞는 수모를 당하는 일도 많은 편.[8] 그 밖에는 첫 등장한 신야2 전투 (4)편의 타이틀 컷을 장식하기도 했다.
신야2 전투 편에서는 평소부터 채부인이 적극적으로 밀어 줬고, 유표 사후에는 유기가 강하로 간 틈을 타 유표의 후계자가 됐다고 나온다. 다만 후계자가 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조조의 대군이 쳐들어온다는 소식을 들었고, 직후 회의를 통해 조조에게 항복하기로 결정했다.
적벽 전투 편에서는 조조에게 형주를 넘겨 줬고 인수인계를 했다고 묘사된다.
[image]
용랑전에서는 별 비중도 없이 채부인, 왕위와 함께 흑장호에게 살해당한다. 그 후 채부인과 함께 잘린 목이 화로에 담겨 조조에게 보내진다.
화봉요원에서는 조조에게 항복한 후 가후에 의해 병사로 위장한 타살을 당한다. 이전에 관우가 조조에게 의탁할 당시 곽가는 관우가 지키는 유비의 아들을 병사로 위장해서 살해했는데 유종도 조조에게 항복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유비의 아들처럼 의문의 병사를 했다는 소문을 들은 관우는 이때쯤에 자기가 지키던 유비의 아들이 병사로 위장한 타살을 당했을 것이라고 확신했을 것이다.
와이파이 삼국지에서 성우는 허예은. 유표 사후에 첫등장하는데, 세상 물정 하나도 모르는 자신감만 넘치는 소년으로 나온다. 행적은 연의와 동일.
배철수의 만화열전에서도 유표가 생사를 오갈 즈음에 등장하는데, 행적은 연의와 동일하며 마지막에 죽는 것마저 동일하다. 다만 하후돈에게 죽는 걸로 내용이 변경되었는데, 그 때 하후돈이 유종에게 한 말이 '''"승상께서는 두 분 얼굴을 다시 뵙고 싶다고 하셨습니다."''' 였으나 이후 '''"그런데 승상께서는 두 분의 Just, 얼굴만 뵙고 싶고 몸통은 보고 싶지 않다고 하셨습니다."''' 라고 외치면서 목을 날려버린다.(...)
삼국지 작은 개돼지가 되었다 라는, 현대인이 유종에 빙의하는 웹소설이 있다. 제목은 조조의 발언에서 따왔다. 왕위의 조언대로 조조를 끔살시키며 시작한다.
[1] 이 '채부인의 조카'라는 여성은 제갈량의 아내인 황부인과 종자매가 된다. 황부인은 채부인의 언니의 딸이다. 물론 인척관계와 별개로 두 집안의 사이는 아주 유명하다. [2] 강하태수는 유기가 제갈량의 조언을 얻어 스스로 자청한 것으로, 강하는 형주의 후방이기 때문에 군사적 요충지로 1만의 군사가 주둔한 곳이었다. 신변의 위협을 받는 유기에게는 강하가 몸의 안전을 지키고 여차하면 형주가 혼란에 빠졌을 때 군사를 도모할 수 있는 재기의 땅이었기 때문에, 유기가 강하태수로 그냥 밀려났다기보다는 어느 정도 타협적인 자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당시 '''강하는 손권의 영역이었다'''. 삼국지 관련 작품에서 당시 유기의 근거지가 강하로 나와 강하가 아직 유표의 영역처럼 나오는데, 강하는 황조의 죽음과 함께 손권이 장악해 버렸다. 때문에 유기의 진짜 근거지는 강하의 서쪽 변두리인 하구였다고 한다. 비록 손권이 강하를 완전히 장악하지 않았더라도 황조와 함께 강하의 군세도 괴멸했으므로 사실상 이미 아무 것도 없는 땅이다. 즉 진짜 명예직인 것이다.[3] 위무고사의 조조명령서에는 유종을 지혜가 깊으며 사려가 넓고 신의와 덕성을 존중한다며 그를 아주 칭찬하고 있다. 이문열이 평역 삼국지에서 조조가 유종을 살해하는 장면 때 이거를 열심히 들먹이며 조조를 변호해줬는데 밑의 개돼지 발언이나 연의에서 조조에게 참살당하는걸 생각하면...[4] 다만 나름 평판도 좋았고 조조에게 투항하지않고 유비를 지원하고 유비와 연합해서 끝까지 조조와 맞서싸우고 결국에는(직후 죽기는했지만)형주자사까지 오른 유기가 싸우지도않고 항복한 유종과 같은평가를 받는건 부적절하다. 하지만 유기 본인의 능력과 무관하게 조조에게 있어서는 유기는 괘씸한 놈이니 좋게 볼 이유가 없기는 하다.[5] 채모의 조카를 아내로 맞이하면서 채씨 일가와 가까워졌다는 서술을 보면 확실히 친자식이 아니다. 만약 조카라는 서술이 같은 항렬의 먼 친척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채부인의 친자식일 가능성이 전혀 없진 않으나, 그렇다면 굳이 채모의 조카와의 혼인으로 채씨 집안과 가까워졌다는 서술을 할 필요가 없다.[6] 이때 유종이 울먹이며 "승상 저를 연금하시려는 겁니까?"라면서 가기 싫다고 하자 조조는 형주 자사는 평생 너라면서 천리 밖에서 공무를 처리하라며 허창으로 압송을 강행해 버린다.[7] 작중 유표의 목표는 유비를 앞세워 조조와 맞서는 한편 최대한 좋은 조건으로 조조와 교섭하려는 것에 가깝다.[8] 유종의 머리를 울려 본 인물은 작 중에서는 유기, 채부인, 괴월, 채모 등이 있다. 조조도 적벽 전투 편에서 자기도 모르게 손이 간다면서 머리를 울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