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균

 

'''윤동균의 틀'''
[ 펼치기 · 접기 ]
'''윤동균의 감독직 / 기타 직책 역임 이력'''
[ 펼치기 · 접기 ]








'''윤동균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펼치기 · 접기 ]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12]
'''1982'''

'''OB 베어스 등번호 10번 '''[13]
팀 창단

'''윤동균(1982~1989)'''

문희성(1998)
'''OB 베어스 등번호 70번 '''
김익환

'''윤동균(1992~1994)'''

김평호(1999~2003)



[image]
'''이름'''
윤동균(尹東均)
'''생년월일'''
1949년 7월 2일 (74세)
'''국적'''
대한민국
'''출신지'''
강원도 삼척군[1]
'''학력'''
대전문창초 - 충남중 - 동대문상고
'''포지션'''
외야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1982년 OB 베어스 창단 멤버
'''소속팀'''
기업은행 야구단 (1969~1977[2])
포항제철 야구단 (1978~1981)
'''OB 베어스 (1982~1989)'''
'''지도자'''
OB 베어스 타격코치 (1990~1991)
OB 베어스 감독 (1991~1994)
한화 이글스 수석코치 (2001~2002)
1. 소개
2. 선수시절
2.1. 연도별 주요 성적
3. 지도자 시절
3.1. 감독 성적
4. 기타
5. 관련 문서


1. 소개


OB 베어스의 전 야구선수이자 전 감독. 등번호는 10번.

2. 선수시절


강원도 삼척 출신으로 야구는 대전에서 시작했다. 대전 문창초등학교와 충남중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의 동대문상업고등학교에 진학한다. 배명고를 상대로 노히트 노런을 기록할 정도의 실력을 가진 투수 유망주였지만, 연습경기 도중 던진 공이 팀 동료의 머리를 강타하는 사건 때문에[3] 이후 투수로서의 자신감을 상실, 야수로 전향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9년부터 기업은행, 포항제철에서 실업야구 선수를 했으며, 강타자로 맹활약했다. 또한 이해창과 더불어 국제대회에서 강한 면모를 보여 '국제용 선수'라는 명성을 얻기도 했다.
1982년[4] OB 베어스의 창단 멤버로 프로에 입문,[5] 주로 3번과 4번을 맡으며 '''타율 0.342로 백인천에 이어 타격 2위를 기록했고''', 팀의 원년 한국시리즈[6] 우승에 크게 기여한 바 있다.
이후 외야수와 지명타자를 오가며 중심 타선에서 활약했지만 나이는 속일 수 없었는지 1988년 시즌부터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1989년 시즌 선수 겸 2군 타격코치로 임명되어 간간히 경기에 출전하다 그 해 8월 17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잠실 경기를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이날 경기는 KBO 역사상 최초로 열린 은퇴기념 경기였고 주인공인 윤동균은 이날 4번 지명타자로 출장하여 첫 두 타석은 범타로 물러났지만, 4대 2로 앞서던 6회말 생애 마지막 타석에서 상대 선발 김시진으로부터 좌중간 담장을 직격하는 1타점 적시 2루타를 날리며 이날 OB가 7대 3으로 승리하는 쐐기점을 올리는 공을 세웠다.[7] 이날 경기 후 윤동균은 관중들에게 은퇴사를 낭독하며 아쉬움에 눈물을 지었고, OB 선수단은 윤동균을 헹가래 치며 그의 은퇴를 축하해 주었다. 당시 기사
그의 통산 기록은 '''594경기 출장, 560안타, 38홈런, 277타점, 263득점, 타율 0.285''' 이다.

2.1. 연도별 주요 성적


  • 붉은 글씨는 리그 1위 기록. 진한 표시는 리그 5위 내 기록.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삼진
장타율
출루율
OPS
1982
OB
77
'''.342'''
(2위)
'''97'''
(3위)
'''20'''
(3위)
'''5'''
(공동 1위)
8
47
'''54'''
(3위)
9
'''46'''
(5위)
27
'''.532'''
(5위)
'''.428'''
(3위)
.960
1983
97
.275
97
19
1
10
54
49
7
'''55'''
(3위)
33
.419
.370
.789
1984
99
.287
100
14
4
10
40
54
14
'''61'''
(2위)
27
.436
.389
.824
1985
85
.290
83
12
'''6'''
(2위)
8
41
41
6
45
32
.458
.343
.841
1986
102
.267
92
14
4
2
37
32
5
46
36
.348
.352
.700
1987
93
.276
81
17
1
0
48
32
0
36
33
.340
.350
.690
1988
35
.205
9
1
0
0
8
2
0
5
4
.227
.280
.507
1989
6
.125
1
1
0
0
2
0
0
0
2
.250
.125
.375
<color=#373a3c> '''KBO 통산'''
(8시즌)
594
.285
560
98
21
38
277
263
41
294
194
.415
.375
.790

3. 지도자 시절


이후 OB의 코치를 하다가, 1991년 이재우 감독이 성적부진으로 사임하자 감독대행을 맡고, 이듬해 프로선수 출신 1호의 감독에 올랐다. 1992년에는 시즌을 5위로 마감했지만, 1993년에는 시즌 3위까지 올라 준플레이오프에 오르는 등 선전을 하긴 했었다.
'''그러나...'''
'''OB 베어스 항명파동'''과 연루되어 1994년 감독직을 물러났다. 이 사건으로 OB 베어스의 잔여 경기 몰수패가 논의되었으며 결국 윤동균 감독이 자진 사퇴하고 선수단의 대대적인 징계로 막을 내렸다. 사태의 원인인 만큼 그 이외의 선택지는 없었을 것이다. 다만 이 사건이 터진 지 오래 뒤 윤동균 감독은 선수들과 화해하였다고 알려졌다.
그 후 SBS 야구 해설위원, 음식점 경영 등 개인 사업을 하다 2001년부터 한화 이글스의 코치를 맡아 야구계에 복귀했지만 2002년 말에 이광환 감독이 경질되면서 코치직에서 사퇴했다.

3.1. 감독 성적


'''역대 감독 전적'''
연도
소속팀
경기수



정규리그
포스트시즌
1991
'''OB 베어스'''
47
26
20
1
8위
-
1992
126
56
66
4
5위
-
1993
126
66
55
5
3위
3위[8]
1994
120
50
69
1
7위[9]
-
<color=#373a3c> '''통산'''
419
198
210
11

  • 1991년은 감독 대행 성적

4. 기타


  • 비록 성적에 너무 부담을 못 이겨 경력에 큰 흠집을 남겼지만, 김민호, 안경현, 임형석, 장원진 등 훗날 OB의 황금기를 이끄는 선수들을 발굴해 1995년 OB 베어스의 창단 두 번째 우승의 초석을 다졌다는 호평을 듣기도 했다. 실제로 두산 베어스 공식 홈페이지의 역대 감독 소개에서도 "베어스 간판 선수 출신으로서 코치 수업을 받고 있던 윤동균 제 5대 감독은 부임 후 무명 선수 발굴 등 부족한 환경 속에서 팀의 경쟁력을 키워내며 베어스의 팀 재건과 상위권 토약의 기틀을 마련했다."라고 소개되어 있다.
  • 당시로서는 은퇴할 나이인 33살에 프로 데뷔해서 40살까지 활약할 수 있었던건 김성근과의 인연이 한몫을 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기업은행에 들어갔는데 당시 김성근이 투수코치였다. 그가 보기에 제구는 떨어지지만 볼이 빨라 투수로 키워보려고 해서 김성근의 집으로 잡혀 들어가 하숙생활을 하면서 매일 혹독한 훈련을 받았다. 오전 5시만 되면 뒷산에 올라가 훈련하고 출퇴근도 함께 해서 술 마실 틈이 없었을 정도. 비록 이후에는 투수가 아닌 타자로 전향해 대부분의 선수 생활을 보냈지만, 그 덕분에 선수생활을 오랬동안 할 수 있었다.
  • 한국프로야구 은퇴 선수 협회 제3대 회장, 일구회 제14대 회장을 지냈다.
  • 현재는 KBO에서 경기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호쾌하고 듬직한 인상을 지녀 OB 베어스 초창기의 얼굴 마담으로서 광고 모델로도 자주 기용됐다. 1990년대 초반 지금도 가끔 인구에 회자되고 있는 대웅제약의 소화제 '베아제'의 광고 모델로 나오기도 했다. 다만 목소리는 더빙. 그 외에 김정일[10] 감독 영화 <내일은 야구왕: 홈런이다 홈런(1982)>과 KBS2 어린이드라마 <우리 아빠 홈런(1990)>에도 출연한 바 있다.
  • 1982년부터의 경력 때문에 삼미 슈퍼스타즈의 감사용을 다뤘던 영화 슈퍼스타 감사용에서도 등장한다. 배우는 이명수.
  • 은퇴하고서 영구결번을 받았지만, 항명사태가 터져서 윤동균 감독이 반쯤 흑역사로 전락하자, 영구결번이 해제되는 안습한 일을 겪었다. 1990년부터 1997년까지 10번은 누구도 달지 않았다.[11]
  • 아들 윤준호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야구선수였다. 한국프로야구/1996년/신인드래프트 당시 OB의 마지막으로 지명된 윤준호는 서울고 졸업 후 대학 대신 상무에 입대하여 기량이 성장했지만 사실 프로에서 활약할 정도는 아니었기에 이 지명은 의외라는 평을 들었다. 대체로 구단에서 우승도 했고, 한때 프랜차이즈였던 윤동균 감독에게 화해의 의미로 지명했다는 게 중론이다.기사 당시 프로야구 최초의 부자(父子) 야구선수로 화제를 모았으나, 결국 많은 전문가들의 예상대로 아무런 활약 없이 조기 은퇴를 하고 말았다. 이후 베트남으로 건너가서 침향 관련 개인사업을 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5. 관련 문서


[1]강원도 삼척시. 야구를 대전에서 시작했으나 실제 출생지는 강원도 삼척 원덕면이라고 한다. 류중일이나 이만수처럼 야구를 시작한 곳이 고향으로 잘못 알려진 것과 유사 사례.[2] 1970~1973년까지는 군 복무.[3] 이때 윤동균에게 투구를 맞은 동료 선수는 한동안 기억상실증을 앓다가 기적적으로 회복되었다. 윤동균은 당시 동료가 끝내 회복하지 못했다면 야구를 포기하고, 인생도 망쳤을 것이라고 회고했다.[4] 프로야구 선수 생활을 시작했을 이 해의 나이가 무려 33세로 노장 중에서도 최고 노장 선수 군에 속했다. 참고로 이 당시는 30대 초반만 돼도 노장 소리를 듣던 시절이었다.[5] 특히 윤동균은 1982년 원년 프로야구 개막식에서 전 구단 선수 대표로 나와 선서문을 낭독하는 역사적 장면의 주역이 되기도 했다.[6] 그 해 한국시리즈에선 1번 타자로 나와 맹타를 휘둘렀다. 4번은 신예 1루수 신경식이 윤동균 대신 맡아 제법 활약을 보였다.[7] 은퇴 경기, 그것도 마지막 타석에서 선전한 타자는 생각 외로 많지 않다. 양준혁김광현에게 삼진 3개를 당했고, 이승엽도 연타석 홈런을 치기는 했으나 나머지 타석들은 범타로 물러났다. [8] 준플레이프에서 4위 LG에게 패했지만, LG가 한국시리즈 진출 실패하여 최종 3위.[9] 사퇴 당시[10] 북한 독재자와 동명이인이다.[11] 참고로 감독시절에는 70번을 달았다.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