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족

 

1. 성씨와 본관이 같은 부계 혈족 宗族
2. 생물의 종류 種族
3. 그 밖에


1. 성씨와 본관이 같은 부계 혈족 宗族


구체적으로 성씨와 본관이 같은 부계 혈족을 부르는 말이다. 씨족과 유사한 단어이다. 단, 씨족은 모계혈통이어도 상관없는 단어이다. 겨레가 본래 이걸 뜻하는 말이었다.
종족의 어원을 풀면 다음과 같다.
종(): 부계 조상을 모신 사당으로[1] 같은 부계[2]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피붙이로 뜻이 확대되었다.
족(): 나부낄 언()에 화살 시(矢)를 결합한 글씨로 깃발(그것도 군기) 아래에서 화살로 단결을 맹세한 집단을 뜻한다. 본래 군대를 뜻하는 단위였지만[3] 이때의 군대가 피붙이끼리 뭉치기에 겨레를 뜻하는 말이 되었다.
종합하면 같은 조상을 모시면서 함께 싸우는 혈연 집단이 종족이다. 종족은 서주에 종법을 기초로 조직되어서 서주 봉건제의 토대가 되었다. 나중에 주나라가 망했지만, 분서갱유 뒤에 복원된 문헌을 중심으로 종족을 이루는 종법은 학습되었으며, 전한 시대부터 역사에 나타난 호족#s-2도 종족의 형태로 지방에 군림하였으며 이러한 종족이 구품중정제를 바탕으로 문벌귀족이 되었다. 송나라에서 문벌귀족은 해체되었지만, 종족을 중시하는 풍속은 여전하여 조상의 제사를 위한 토지를 갖추고 족보의 편집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종족은 기본적으로 같은 부계조상을 공유하며 성씨와 본관이 같아야 하고,[4] 종족 구성원[5]끼리는 혼인이 금지되며,[6] 양자를 들이는 것도 종족 안에서만 가능하다.[7] 종족의 일은 종족의 회의로 결정하거나 종족의 수장[8]이 결정한다. 또한 종족에서 문제를 일으키면 종족의 제재나 추방이 가해졌다. 옛날부터 종족을 중시하고 종족의 자치를 인정하였고 종족을 소중히 여기는 이러한 풍조는 중국에서 비롯하여 일본을 제외한 동아시아에 퍼졌다.[9] 그러나 중국에서는 문화대혁명으로, 북한에서는 김일성아예 족보를 말살하여 본관도 모르게 만들었다. 심지어 탈북자가 남한으로 오면 성씨와 본관을 뽑기에서 뽑듯이 지어낸다고. 그러는 북한에서 김일성의 현조부까지 외워야 하는 것이 개그. 남한에는 아직 잔존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소멸의 가능성이 높다.

2. 생물의 종류 種族


생물의 종류. 종족은 아예 생물학적 이 다른 경우에도 쓰이지만, 단순히 부족이 다른 경우에도 쓰인다. 범위가 매우 넓은 단어이다.
기존에는 베두인족 같은 말에 이걸 쓰는 것을 인종차별이라고 하였지만 사회학에서 조상이 같고, 같은 계통의 언어·문화 따위를 가지고 있는 사회 집단도 이렇게 부른다. 따라서 '~~족'의 종족은 이 한자가 맞는다. 한편 영어로 부족을 의미하는 단어 'tribe'는 라틴어 '트리부스(tribus)'에서 왔다. 이는 고대 로마 초기의, 도시국가 시절 군장이 돌아가면서 왕위를 맡았을 때 특히 권력이 강한 '''주요 3부족'''을 의미하는 단어였다. 셋이라는 뜻의 'tri-'가 붙은 것도 이 때문. '호민관(tribune)'이라든지, 또는 군장이 빵을 나눠주는 것에서 유래해 '주다', '베풀다' 등의 의미를 가진 영단어 어근 '-tribute'[10] 역시 전부 여기서 파생된 것이다.
RTS 등의 게임진영을 나누는 종족은 자주 이 쪽을 뜻하나, 같은 생물 종족 내에서 분류를 한다면 씨족을 뜻하기도 한다. 종족이 가진 특성을 종족 특성이라고 한다.
인간 밖의 종족들의 목록을 보려면 생물 분류 단계 참조. 참고로, 서브컬처에서는 인간 이외의 종족에 대한 지칭으로 인외라는 표현을 즐겨쓴다.

3. 그 밖에



[1] 집 면(宀)은 사당을 뜻하고, 밑에 보일 시(示)는 위패를 본뜬 글씨다.[2] 그러므로 생질, 사위, 외손은 제사에 낄 자격이 없다. 이걸 위해서 나온 게 출가외인.[3] 갑골문 자전을 겸한 갑골문해독(양동숙, 서예문인화, 2005) 참고. 족(族)과 함께 군대를 뜻하는 글씨로 려(旅)와 사(師)가 쓰였는데 각각 여단사단의 그 글씨가 맞는다.[4] 단 본관은 위진남북조시대에 에 처음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5] 우리 말로 겨레붙이라고 한다.[6] 겨레붙이끼리 혼인을 하면 제사를 지내는 자손이 모계로도 이어지는 모순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계 혈족만 규제되는 맹점이 있어서 고종사촌과 결혼은 할 수 있다. 한무제가 관도공주의 딸과 결혼한 게 그 예다.[7] 이것을 소목지서라고 부른다. 이것이 얼마나 중요하냐면 가충이 죽어서 시호를 주려고 했는데 가충의 아내 곽괴가 외손자 한밀을 양자를 들인 일 때문에 황(荒)으로 정하자는 논의가 나왔다. 가충이 아니라 가충의 아내가 결정한 일임에도 외손자로 대를 이으려 드는 발상 자체가 고인을 욕할만큼 중대한 일인 것이다.[8] 종주(宗主)라고 한다.[9] 십악대죄에서 불목과 내란의 보호법익이 바로 종족의 유지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율령을 만들면서 불목과 내란을 뺐으니 일본에서는 혈연조직이 겨레로 짜이지 않았고 겨레가 이루어질 수 없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다만 정사 삼국지에서 고대 일본을 다루면서 종족을 언급하였기에 가능성은 있다.[10] distribute: 분배하다, contribute: 기부하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