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리 파커

 



[image]
'''이름'''
찰스 파커 주니어 (Charles Parker, Jr.)
'''국적'''
미국 [image]
'''출생'''
1920년 8월 29일, 캔자스 주
'''사망'''
1955년 3월 12일 (향년 34세), 뉴욕 주
'''직업'''
색소폰 연주자
'''활동'''
1937년 - 1955년
Donna Lee
Bloomdido
1. 개요
2. 생애
3. 음악 성향
4. 스윙재즈 에 대한 반감과 비밥의 창시
5. 사생활
6. 사후의 평가
7. 에피소드


1. 개요


미국재즈 색소폰 연주자.
별명은 '''야드버드(Yardbird)''' 또는 '버드(Bird)'였고, '''비밥 시대에 활동한 재즈 아티스트들 중 본좌로 여겨지는 거물'''.

2. 생애


캔자스 주의 캔자스시티에서 태어났고, 열한 살 때부터 알토 색소폰을 구해 독학으로 연주법을 익히기 시작했다. 열다섯 살 때였던 1935년에는 지역 음악인 연맹에 등록해 소규모 클럽 등지에서 객원 단원으로 뛰면서 경험을 쌓았는데, 아직 뉴페이스였지만 그의 독특하다 못해 괴팍한 연주 스타일 때문에 다른 음악인들과 잘 어울리지는 못했다고 한다.
하지만 캔자스시티를 거점으로 활동하던 유명 빅 밴드였던 카운트 베이시의 밴드 연주에도 많은 영향을 받았고, 첫 프로 데뷰 무대와 녹음도 제이 맥샨이 이끌던 지역 빅 밴드의 단원 자격으로 치뤘다.
여기서도 이미 모르핀이나 헤로인을 비롯한 마약에 쩔어 살던 생활 습관을 보여주며 멤버들과 리더의 신경을 꽤나 거슬렀다. 파커 자신도 빅 밴드의 획일화된 연주 방식에 불만이 많았고, 이후에도 빅 밴드 협연 기회를 반기지만은 않았다.
1939년에는 뉴욕으로 옮겨가 활동하기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돈이 없어서 맨해튼의 한 댄스홀(사보이 볼룸)에서 설거지를 했다. 당시 귀동냥으로 레스토랑에 정기 출연하던 피아니스트 아트 테이텀의 속주를 듣고 꽤 강렬한 인상을 받았는데, 이후 파커의 전매 특허인 잦은 코드 변화와, 미친 듯 빠른 아르페지오 속주는 테이텀의 영향이 반영된 것이라고.
1940년대 초반에는 얼 하인스의 밴드에서 잠시 일하다가, 밴드의 트럼펫 단원이었던 디지 길레스피와 함께한 소규모 잼 세션을 통해 조금씩 주목받기 시작했다. 당시 신인 뮤지션들의 잼 세션은 정규 공연 시간이 끝난 한밤중이나 이른 새벽에 운영하는 클럽(소위 애프터아워즈 클럽)들인 클라크 먼로 업타운 하우스나 민톤스 플레이 하우스 등지에서 이루어졌다.
2차대전 후반기였던 1944년부터 소규모 세션에서 공식 그룹 활동으로 전환하면서 일반 대중들에게도 어필하기 시작했는데, 춤추기 좋은 규칙적인 리듬과 감미로운 멜로디 일색의 스윙/빅밴드 팬들에게 이는 거의 신성모독처럼 여겨져 엄청난 논쟁을 유발했다. 이 과정에서 '비밥(Bebop)'이라는 단어가 등장했고, 이들을 수식하는 전문용어로서 자리잡는다.
1945년 11월에는 사보이 레코드사에 리더 자격으로 Ko-Ko와 Now's The Time, Billie's Bounce, Thriving on a Riff 네 곡을 취입했는데, 전자의 두 곡은 기존 유행가나 연주곡의 코드 진행이나 리프를 바탕으로 싹 갈아엎어 2차 창작한 것이었고 후자의 두 곡은 파커의 자작곡이었다. 이 녹음들은 지금도 비밥 초창기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높이 평가받는다.
하지만 파커와 길레스피의 공동 작업은 그리 오래 가지는 못했다.파커는 마약을 과하게 복용하여 시간 관념이 희박해져, 잦은 지각으로 공연 일정에 차질을 빚었다. 게다가 1946년 7월에 있었던 서부 순회공연 때에는 동부로 돌아가는 기차 삯을 마약 사는 데에 써버려(...) 돌아가지도 못했다.
결국 호텔에서 만취 상태로 담배를 피우다가 침대 매트리스를 태워먹고, 완전 벌거벗은 채로 돌아다니는 등 진상짓(...)을 저지르다 체포되었고, 캘리포니아의 카마릴로 주립 정신병원에 6개월 가량 수용되어 재활 치료를 받아야 했다. 퇴원한 뒤에는 이 때의 기억을 살려 Relaxin' at Camarillo라는 곡을 쓰기도 했고, 사보이와 다이얼에 여러 장의 음반을 취입하면서 한층 물오른 연주력을 과시했다.
1949년에는 현악 합주를 대동하고 발라드 넘버 위주의 음반을 몇 장 발매했는데, 이후에도 몇 차례 반복되었다. 하지만 비밥의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면모를 찬양하던 젊은 팬들은 파커도 돈벌이 때문에 변절했다며 맹렬히 비난했고, 상업적인 성공은 충분히 거두었지만 지금도 평가가 그리 좋지 않다. 파커는 클래식에도 깊은 관심이 있었고,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에드가 바레즈 같은 당대의 전위적인 작곡가들의 음악에 열광했다. 영화 "버드"에서도 세계대전 당시 미국으로 피신해 있던 이들 클래식 음악가들을 만나러 가지만, 만나지 못하고 무시만 당하는(...) 장면도 나온다. 이런 관점에서 파커에게 이는 지극히 자연스럽고 합당한 작업이었지만, 편곡의 밋밋함 등으로 파커의 개성은 충분히 살아나지 못했다는 게 중평이다. 하지만 꽤 돈벌이는 쏠쏠했는지, 이후 동료 디지 길레스피를 비롯해 내로라하는 재즈 뮤지션들이 이를 따라해 'with Strings' 음반을 계속 내놓았다. 비록 이것을 클래식의 힘을 빌어 떠보려는 꼼수 혹은 한철 유행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한 평론가나 프로듀서들도 있었지만, 파커 이후로도 계속 현악 합주를 동반한 앨범은 계속 나오고 있다.[1]
1950년대 초반에는 비밥에 대한 세인들의 호불호를 떠나 음악계에서는 거의 으로 추앙받는 거물이 되었는데, 수많은 색소포니스트들이 파커의 속주와 넘쳐나는 아이디어를 따라잡으려 했지만 대부분 중도에 포기했을 정도.
1953년 5월 15일에는 캐나다 토론토의 매시 홀에서 디지 길레스피, 피아니스트 버드 파웰, 드러머 맥스 로치, 베이시스트 찰스 밍거스와 함께 5중주단(퀸텟)을 꾸려 공연했다. 임시 편성한 그룹이라 이름은 없었지만 지금도 재즈 팬과 전문가들에게 'The Quintet'이라고 하면 단번에 이 그룹을 칭하는 것으로 여겨질 정도로 전설적이다. 하필이면 이 공연과 동시에 토론토에서 그 당시 본좌 복서였던 록키 마르시아노와 제시 조 월콧의 권투 헤비급 타이틀 매치가 열리는 바람에(...) 공연장은 절반도 차지 않았지만, 다행히 공연 실황이 녹음되었고 훗날 음반으로도 발매되었다. 물론 지금도 '''닥치고 최고의 비밥 실황반'''이라는 평가. 재즈를 좋아한다면 들어볼 만하다. 사실 재즈를 좋아한다면 이미 들어봤을 음악.
이 공연 뒤에도 계속 연주 활동을 벌였지만, 이미 마약 복용이 도를 넘은데다 과음 과식하는 습관도 고치지 못하고, 딸 프라이스까지 죽자 요오드를 마셔서 자살기도를 하는 등, 육체도 정신도 완전히 망가져 버렸다. 결국 1955년 초에 클럽 공연 중 연주자들을 내쫓고 무대와 클럽 내부를 완전히 개발살낸것 때문에 쫓겨났고, 자신의 얼마 안 되는 후원자들 중 한 사람이었던 파노니카 드 쾨닉스와터가 마련해 준 뉴욕의 한 호텔방에 틀어박혀 텔레비전 쇼를 보고 있다가 35세의 나이로 급사했다.
사인은 폐렴과 내장 파열로 인한 내출혈이었는데, 술과 마약, 무절제한 생활로 몸이 어찌나 망가져 있던지 부검을 담당한 의사가 그의 나이를 50~60세로 판정했을 정도로 심각한 노화가 진행된 상태였다. 유해는 고향인 캔자스시티의 링컨 묘지에 안장되었다.

3. 음악 성향


생애 란에 썼듯이 빅밴드/스윙 등 당시 유행하던 사조에 대해 상당한 거부감을 표했을 정도로 시대를 앞서나간 인물이었다. 남겨진 녹음들의 대다수도 4~6인조의 소규모 그룹 편성을 취하고 있고, 협연한 뮤지션들도 대부분 비밥의 선구자 혹은 그 뒤의 재즈 흐름을 이어나가는 대가로 성장했다.
연주 실력 외에도 꽤 많은 작품을 만든 작곡가로서 높이 평가받는데, 비밥 시대의 창작곡 성향에 관해서는 파커 작품만 공부해도 충분할 정도로 기틀까지 거의 다 짜놓았다. 물론 훗날의 프리 재즈처럼 막나간 것은 아니었고, 대부분의 곡들에서 열두 마디 구성의 블루스 양식을 지키는 등 전통에 대한 이해도 충분했다.
코드와 리듬에 대한 감각도 귀신같았는데, 행여 비밥 어법을 제대로 이해 못하거나 자신의 스피드를 따라오지 못해 버벅거리는 세션맨들이랑 같이 연주할 때도 오히려 자기 연주에 따라오게끔 만들어버리는 고렙이었다. 심지어 마약에 찌든 상태에도 연주만큼은 확실하게 해냈다고 할 정도.
다만 음악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는 점이 핸디캡으로 남았는데, 악보를 읽지도 쓰지도 못해서 뭔가 괜찮은 가락이 떠오르면 아무때고 악보 읽을 줄 아는 동료 집에 찾아가 색소폰을 불면서 받아적으라고 했다. 특히 길레스피가 그러한 악보셔틀(...) 역할을 충실히 해준 덕에 파커의 많은 작품들이 탄생할 수 있었다.
파커의 연주는 기본적으로 유려한 프레이즈에 있기 때문에 모든 템포의 곡에서 강점을 보인다. 예를 들어 'Now's the Time' 같은 미들템포의 곡에서는 스윙감을 극단적으로 유지하면서도 곡 전체를 정확한 기승전결이 짜여진 형태로 끌고간다. 'Ornitology'나 'Flyin' high' 같은 곡에서는 쉴 새 없이 빠른 프레이즈를 쏟아내면서도 전체적으로는 기승전결이 살아있다.
다만 파커의 녹음중에 음질이 좋은 것이 드물다는 것이 단점. 굳이 당시의 오리지널 세션을 들어야 할 필요가 없다면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영화 버드의 OST를 들어보는 것을 권한다. 파커의 색소폰 파트만 따와서 세션들의 연주와 합성했는데 음질도 좋을 뿐 아니라 파커의 뛰어난 연주를 제대로 즐길 수 있다.

4. 스윙재즈 에 대한 반감과 비밥의 창시


그의 음악을 '비밥' 이라 하며 사실상 창시자로 추앙받고 있다. 그는 당시 유행했던 빅 밴드 중심의 스윙재즈에 반감을 갖고 있었는데, 정형화되고 상업적인 음악이라는게 이유였다.
그러나 그 자신도 스윙재즈에 많은 영향을 받았던 만큼 이후 재즈의 발전역사에서 스윙재즈라는 요소는 바늘과 실의 관계이며 즉흥연주와 혼합하여 스윙리듬은 지속적으로 차용되었으며 당시 멜로디는 재즈 리얼북 중심의 스탠다드 재즈 요소로 후배들에게 계속 활용되고 있다.

5. 사생활


음악적인 업적에 완전 반비례하게 그야말로 막장이었는데, 심각한 마약 중독자라서 재즈 역사상 가장 많은 마약을 소비한 아티스트 중 최상위권. 파커에 비견될 정도의 약쟁이는 쳇 베이커 정도밖에 없다고 할 정도. 사실 상술한 저 전설의 퀸텟 중에서도 버드 파웰은 찰리 파커 못지 않게 개막장 하드 마약 라이프를 살다 요절한 반면, 흥미롭게도 그지 없게 찰리 파커 평생의 영혼의 파트너였던 디지 길레스피는 젊은 시절 호기심/분위기로 몇번 손댄적 이후 마약은 커녕 그 흔한 알콜 중독 문제도 없이 건강 관리 철저히 하며 70대까지 비교적 장수했다는 것이다.
게다가 세 끼 분량의 음식을 '''한 자리에서 뚝딱 해치우는''' 대식가였고, 한번 마셨다 하면 위스키보드카 등의 독한 술을 몇 병이고 비워대는 폭음을 할 정도로 식습관도 개판이었다. 호색한이라 틈만 나면 사창가로 찾아갔으며, 매너도 개판이라 관계 뒤에는 화대를 확 던지거나 침을 뱉어주고 나오는 등 답이 없었다(...)고 전한다. 심지어 연주 직전에 백인 여성과 관계를 즐기기도 했다는. 벌어댄 돈도 가족들 생활비와 마약, 사창가에 가는 데 써버려서, 수중에는 늘 한푼도 없었고, 몇 주씩이나 샤워도 안 하고 같은 옷만 입었던 통에 악취가 진동했다고 한다.[2]
사생활은 그렇다 쳐도, 마약에 취해 공연 연습을 제멋대로 펑크를 내서 밴드 멤버들을 열받게 만들어 들어가 밴드마다 해고당하기 일쑤였다. 파커의 천재성을 인정하던 동료나 후배 아티스트들도 결국 이런 모습에 질려 떠나간다. 그의 친구 길레스피조차도. 초짜 시절 그와 같이 작업했고 그를 존경하던 후배 마일스 데이비스도 이 점만은 대단히 비판적으로 회고한 바 있다. 마일스도 성격이 개차반이라 인간관계가 나빴고, 파커 정도까지는 아니었지만 헤로인 등 마약에 빠져 슬럼프를 겪은게 몇 차례 되었으니 동족혐오였을지도?[3] 물론 음악적인 평가는 호의적이다.

6. 사후의 평가


막장 사생활로 멸시를 받았지만 사후에는 지인들이 장례식에 찾아와 그의 죽음을 슬퍼했다. 지금도 재즈계의 신으로 추앙받고 있다. 극렬 재즈광 클린트 이스트우드포레스트 휘태커 주연으로 전기 영화 '버드'를 찍었을 정도고, 파커의 창작곡들 중 절대 다수가 지금도 리얼북에 올라와 전세계의 재즈 공연장에서 수도 없이 연주되고 있다. 뉴욕에서는 매년 8월에 찰리 파커 재즈 페스티벌이 열리고 있고, 파커가 죽은지 몇십 년이 되는 지금도 그를 위한 트리뷰트 공연이나 앨범 제작, 리믹스 등은 현재 진행형이다.
앨범 제작의 경우에는 주로 리믹스로 진행되고 있는데, 아무래도 워낙 일찍 가시는 바람에(...) 마일스 데이비스나 아트 블레이키 같이 많은 음반을 남기기는 힘들었다.

7. 에피소드


  • 파커가 캔자스시티에서 활동하던 초기에 하도 마약을 해대는 것에 이골이 난 제이 맥샨이 밴드 전체에 마약 사용 금지령을 내렸다. 파커도 이에 따르는 듯 보였지만, 이내 '대용품' 을 개발해 동료들에게 퍼뜨렸다. 많이 먹으면 환각을 일으키는 향신료인 육두구 가루를 콜라에 왕창 타먹으면 마약과 비슷한 효과가 난대나 어쩐대나.
  • 파커의 애칭인 '야드버드/버드'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휘황찬란한 속주가 새의 비행을 연상시킬 정도라는 것과 치킨을 몇 마리고 해치워대는 먹성을 빗댄 것이라는 등의 의견이 있다. 심지어 차를 몰고 가다가 실수로 닭을 치었는데, 파커가 그 죽은 닭을 들고 주방장에게 당장 요리를 해달라고 해서 그랬다는 말도 있다. 아무튼 치킨 엄청 좋아한 건 사실인 듯...
  • 어느 날 클럽에서 공연 직전 파커의 색소폰에 달린 키 하나가 부러져 버렸다. 색소폰 주자는 파커 한 사람 뿐이었고 다른 악기도 찾을 수 없던 상황이었는데, 파커가 클럽 주방에서 숟가락 하나를 갖고 와 구부린 뒤 질겅질겅 씹고 있던 으로 테이핑해 간단히 수리 완료.
  • 서부에서 공연하고 있었을 때 어떤 햇병아리 백인 트럼페터가 그와 협연할 기회를 얻었는데, 공연 평은 별로 좋지 않았지만 파커가 '그 놈 앞으로 크게 될 거야' 라고 툭 던지듯이 말했다고 한다. 그 트럼페터가 바로 쳇 베이커.
  • 파커 사후 카네기홀에서 추모 공연이 열렸는데, 어떻게 들어왔는지 공연 직전에 비둘기들이 홀 내부를 날아다녔다고 한다. 그 비주얼이 '버드' 의 환생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극적이었던 모양.
  • 1937년 캔자스 시티의 리노 클럽에서 벌어진 사건은 2014년작 영화 "위플래쉬"의 주요 모티브로 여러 번 언급된다. 잼을 망친 파커의 연주에 화가 난 드러머 조 존스가 심벌을 집어던져 파커의 목이 잘릴 뻔 했다는 것.
이 해프닝 이후 파커는 고된 연습으로 차원이 다른 연주자로 거듭났는데, 이 에피소드는, 만일 조가 그 자리에서 '괜찮아, 그만하면 잘했어'라며 낙심한 파커를 위로했다면 '버드'는 없었을 것이라는 부연설명을 통해 영화의 핵심 주제로 사용된다. 다만 조 존스는 파커의 목을 노리고 심벌을 날리진 않았고 그의 발 밑에 심벌을 집어던졌다고 한다.


[1] 한국에서도 2011년에 원로 재즈 트럼페터 최선배가 'A Trumpet In The Night Sky' 를 내놓으면서 처음으로 이 아이디어를 따왔고, 2013년에는 재즈 보컬리스트 박성연이 'Park Sung Yeon with Strings' 를 출반했다.[2] 이 때문에 선배 집에서 하숙할때 선배와 그의 부인이 목욕하라고 말했는데도 하질 않아 쫓겨나기까지 했다.[3] 특히 이 양반 자기는 마약하면서 남이 마약하는꼴은 못봐주던 사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