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라드

 

1. 개요
2. 느리고 서정적인 음악의 형식
2.1. 한국의 발라드
4. 영화


1. 개요


라틴어의 춤추다(Ballare)라는 뜻에서 생긴 프랑스어로, 영어로는 Ballad라고 쓴다. 서양 고전음악의 한 장르. 본래는 중세시대 음유시인들이 불렀던 시와 노래의 형식을 일컫는 말이었다. 내용은 전설이나 영웅담부터 사랑이나 서정을 다룬 것까지 다양했다.[1] 이 발라드에 대해서는 발라드(음악 양식) 문서 참조.
이후 환상, 전설적이며 자유분방한 분위기의 기악곡(특히 피아노 독주곡)까지 아우르는 용어가 되었다. 유명한 발라드 작곡가는 프레데리크 쇼팽이 있다. 곡들에 대해선 아래 문서를 참조. 고국인 폴란드에 대한 그리움, 애정, 고대 영웅들의 무용담을 담은 시를 읽고 영감을 받아 작곡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쇼팽의 영향을 받아 동시대의 작곡가인 프란츠 리스트도 발라드를 작곡했으며, 그 중 발라드 2번이 가장 널리 연주되는 편이다.

2. 느리고 서정적인 음악의 형식


1에서 파생된 의미로, '발라드'라는 단어가 주로 사랑에 대해 노래하는, 느리고 서정적인 음악 전체를 아우르는 하나의 장르를 나타내는 말로 발전한 것이다. "발라드가 장르로 통용되는 건 일종의 갈라파고스 현상으로, 동아시아 지역에서만 장르로서 명명된다. 서양권에서 발라드라고 하면 1의 의미를 연상하거나 장르로서의 발라드를 떠올리지 못한다."는 말이 어쩐지 정설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영미권을 비롯한 서양 문화권에서도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발라드'라는 뜻 그대로 'ballad'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1의 'ballad'와 비교하기 위해 'sentimental ballad'라고 하기도 한다.

2.1. 한국의 발라드


국내에서는 특히 대중가요의 한 형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장르적으로 보면 블루스 음악의 한 계통으로 보는 것이 가장 적절해보인다는 의견이 있다. 이것은 한국식 발라드가 오랜 세월을 거쳐 외국의 여러 음악 풍조를 받아들이면서 하나의 장르로 완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아닌 게 아니라, 한국에 발라드가 정립되기 이전에, 낭만적이고 서정적인 음악은 거진 '째즈쏭'라고 명칭되었다. 참고로 로큰롤과 이의 파생인 록 음악이나 리듬 앤 블루스 역시 블루스의 계보에 포함된다.
이 장르의 개척자로는 이문세를 꼽을 수 있다. 초기 발라드는 포크송블루스[2] 중심의 서정적인 음악을 구사했다. 그러다 유재하가 여기에 클래식의 색을 입히면서 한국식 발라드는 하나의 장르로 완성되었다고 평가받는다. 따라서 기존에 알려진 발라드나 전신격인 장르와 비교해도 템포가 매우 느리며 악기의 밀도는 앰비언트 뮤직에 준할 정도로 낮으며 보컬에 힘을 실어주는 경우가 많다. 이후 변진섭 등이 대중으로 하여금 '발라드'라는 장르를 자연스럽게 받아드릴 수 있도록 기여하였으며, 신승훈을 비롯하여 조성모, 이승철, 김민종, 김정민, 임창정 등의 가수를 거치며 발라드는 1990년대~2000년대에 전성기를 맞이한다. 보통 노래 분위기와 가사가 구구절절하거나 슬픈 노래가 많은데[3] 호불호가 매우 갈리고 2010년대 들어서 하술한것처럼 음원조작꾼들의 주된 희생양이 되고 있는데도 한국 가요계에서 한국식 발라드의 꾸준히 수요가 있는 이유가 대한민국 TV연속극, 일부 영화에 계속 남아돌고있는 신파극의 잔향과 더불어 한국인 특유 의 정서 때문 아니냐는 이야기가 반 농담으로 많이 돌아다닌다.[4]
발라드는 이승환 등에 의해 록 음악적인 요소가 가미되었고, 이후 김경호, 김민종, 김정민, 야다, 플라워, 엠씨더맥스, 버즈 등으로 대표되는 일명 록발라드 역시 한동안 인기를 끌었다. 김현철재즈적 감성을 더했고, 신승훈은 적인 발라드를 시도했다가 후에 재즈나 맘보 등의 라틴 리듬을 발라드에 접목해서 그 스펙트럼을 넓혔다. 이후 이들의 계보는 김동률, 성시경, 김종국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여성 발라드 시장도 생겼는데 1990년대 후반에 등장한 양파부터 시작해서 왁스, 이수영이 대표적이었고, 이후 백지영으로 연결되었다. 2000년대 중반경에는 한국 가요계에서 댄스곡으로 활동하는 아이돌을 찾아보기 힘들어질 정도로 발라드하고 R&B가 유례없는 강세를 보이기도 했는데, 그 중 당시 유행하던 소몰이창법 발라드는 상당히 비판을 받기도 했다.
결국 이러한 반동 때문이었는지 몰라도 2000년대 후반부터 대중 가요계의 중심에서 발라드 가수들은 사실상 멀어졌고, 이후 대중 가요계의 중심은 댄스 아이돌 그룹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그나마 나오는 발라드 가수들의 인기도 임창정 등 소수에 의해 인기를 끄는 정도이거나 K팝스타와 같은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에다 유희열 계열의 안테나 뮤직이 이끄는 가수들 혹은 가끔 발라드를 선보이는 아이유 정도에 불과할 정도로 장르 자체가 많이 몰락하고 만다. 대신 대부분은 드라마 OST쪽으로 영향력을 넓혀나가기 시작해서 2010년대 드라마 OST를 통해 발라드 가수들의 음원 시장에서의 선전이 이어지기도 하였다.
빠른 템포의 발라드곡은 거의 대부분의 음원사이트에서 댄스곡 내지 힙합으로 장르가 표기되며, 발라드라고 장르가 직접적으로 표기되지는 않지만 사람들 사이에서 발라드로 치부되는 경우가 많다.
2010년대 후반에 2018-2019년 연쇄 음원 사재기 파동이 있었는데, 지목된 곡들의 절대다수가 하나같이 인지도가 떨어지는 가수들의 발라드 곡이었다. 2019년 여름 앨범차트 상위권을 차지한 대다수의 발라드곡들도 모두 사재기 의심곡들이었다. 그것이 알고싶다(#1197)에서 고발된 바로는 음원조작꾼들이 노리기 쉬운 타겟이어서 그렇게 되었다고...

3. 록맨 시리즈




4. 영화



크레용 신짱의 극장판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의 리메이크 실사영화다.

[1] 그래서인지 중국에서는 이 발라드를 ‘서사곡(叙事曲)’이라고 부른다.[2] 리듬 앤 블루스 포함.[3] 물론 그런게 전부는 아니고 부드럽거나 가벼운 연애편지 같은 분위기의 서정적인 발라드도 많다.[4] 다만 이건 일제시대 한국학자인 야나기에 의해 촉발된 전형적인 문화결정론에 입각된 썰이다. 자세한것은 한(감정) 문서 참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