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선정문
1. 소개
昌德宮 宣政門
창덕궁 편전 선정전의 정문이다. 1층 목조 문[1] 이다.
이름 뜻은 당연히 '선정전의 문'이다. ‘선정(宣政)’ 자체는 ‘정치와 교육을 널리 펼친다’는 의미이다.
2. 역사
1405년(태종 5년) 창덕궁 창건 때 편전 조계청(朝啓廳)을 세우면서 같이 건립했다. 1461년(세조 7년) 12월에 세조가 조계청 이름을 선정전으로 바꾸면서 조계청 정문의 이름 역시 선정문으로 개칭했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08년(광해군 원년)에 복구했으나, 인조반정 때 다시 화재를 입어 1647년(인조 25년)에 재건했다.
조선시대 당시 선정전 행각은 남쪽으로 두 겹이 있었다. 현재 선정전 행각 밖에 또 다른 행각이 있었고 그 행각에 선정문이 있었다. 그리고 조선 후기 들어 선정전을 혼전[2] 으로 자주 쓰면서 선정전과 선정문 일곽에 복도각을 만들었는데, 선정문의 서쪽 칸과 안쪽 행각 출입문인 돈례문(敦禮門)의 중앙 칸을 복도로 연결시켰다.
그러나 바깥 행각은 일제가 철거했다. 이후 안쪽 행각을 개조하고 돈례문[3] 을 평삼문으로 고친 뒤 그 문에다 선정문 현판을 달았다.
안쪽 행각과 돈례문은 1980년대 후반 조선시대 모습으로 복원했는데 바깥 행각과 본래의 선정문은 복원하지 못했다. '''즉, 원래 선정문은 현재 없고, 조선시대 당시 돈례문이 선정문을 대신하는 것이다.'''
3. 구조
※ 현재의 선정문을 기준으로 한다.
- 문 본채를 따로 만든 것은 아니고 행각의 일부분을 문으로 삼았다. 장대석을 4벌 깐 기단을 놓고 그 위에 행각과 문을 만들었으며 역시 4벌 깐 계단을 각 칸마다 하나씩, 총 3세트를 두었다. 문만 놓고보면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좌, 우 협문은 신하들이 다니고 가운데는 왕이 다니는 어칸(御間)으로 두었다. 현판은 어칸의 외부에 걸려있다.
어칸의 경우, 왕이 다니는 문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좌, 우 칸과 차이가 있다. 지붕을 높여 솟을대문 형식으로 만들었고 칸의 높이 역시 좌, 우 신하들이 다니는 칸보다 높게 지었으며 문 인방 위에 안상의 모양대로 풍혈을 뚫은 7개의 궁판이 놓여있고 그 위에 홍살을 놓았다. 다만, 선정전이 혼전일 때엔 선정문의 어칸은 신이 다니는 문이 되기 때문에 왕과 신하들은 협문으로 다녔다.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용마루의 양쪽 끝에 취두를 놓았고, 처마는 홑처마이며, 공포는 간결한 초익공 양식이다. 주춧돌과 기둥은 네모난 형태이며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칠했다.[4]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했다.
[1] 보통 한옥의 경우 1층보다는 단층(單層)으로 말한다.[2] 魂殿. 임금이나 왕비의 국장 뒤 3년 동안 신위(神位)를 모시던 전각.[3] 앞서 언급했듯 조선 후기 들어 선정전이 혼전이 되면서 돈례문의 현판을 뗀 듯하다. 19세기에 그려진 《동궐도》엔 이름이 적혀있지 않다.[4] 부재 끝부분에만 문양을 넣고 가운데는 긋기로 마무리한 단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