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관련 정보
1. 개별 언어 관련 정보
1.1. 자연언어
가나다 순에 의한 간단한 목록은 외국어를 참조.
※ 앞에 '†'가 붙은 항목은 사멸한 언어.
※ 뒤에 '(✍)'가 붙은 항목은 일상어로서 통용되지 않고 문헌 기록 및 종교 전례상으로 통용되고 있는 언어.
※ ''C'' : 크리올어(Creole), ''lf'' : 링구아 프랑카(''lingua franca'')
1.1.1. 니제르콩고어족
- 만데어파
- 세네감비아어군
- 볼타콩고어파
1.1.2. 아프리카아시아어족
1.1.3. 나일사하라어족
- 코무즈어파
- 사하라어파
- 송가이어파
- 푸르어파
- 마바어파
- 쿠나마어파
- 베르타어파
- 중부 수단어파
- 동부 수단어파
1.1.4. 코이산 제어
1.1.5. 인도유럽어족(인구어족)
- 동로망스어
- 이탈로-서로망스어
- 남로망스어
- 인도이란어파
- 인도아리아어군
- 중인도아리아어군
- 중동인도아리아어군
- 동인도아리아어군
- 벵골어(방글라데시)
- 북인도아리아어군
- 힌디어(인도 북부)
- 우르두어(파키스탄)
- 펀자브어
- 네팔어
- 다르드어군
- 카슈미르어
- 남인도아리아어군
- 산스크리트어(범어)
- 싱할라-몰디브어군
- 싱할라어
- 디베히어
- 롬어
- 이란어군
- 페르시아어(이란)
- 타지크어
- 쿠르드어
- 파슈토어
- 누리스탄어군
- 켈트어파
- 대륙 켈트어군(†)
- 갈리아어(†)
- 도서 켈트어군
- 고이델어
- 아일랜드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맨어
- 브리튼어군
- 브르타뉴어
- 웨일스어
- 콘월어
- 발트어파
- 동발트어군
- 라트비아어
- 리투아니아어
- 서발트어군(†)
- 프로이센어
- 알바니아어
- 아나톨리아어파(†)
- 아르메니아어
- 토하라어파(†)
- 팔레오발칸어파(†)
- 고대 그리스어(✍ 아티케, 이오니아 방언)
1.1.6. 드라비다어족
1.1.7. 남서카프카스어족(카르트벨리어족)
1.1.8. 북서카프카스어족
1.1.9. 북동카프카스어족
1.1.10. 우랄어족
- 사모예드어군
- 핀우고르어군
1.1.11. 중국티베트어족(한장어족)
1.1.12. 일본어족
1.1.13. 몽몐어족
1.1.14. 튀르크어족
- 동남튀르크어파
- 서남튀르크어파
- 서북튀르크어파
- 동북튀르크어파
- 오구르어파
1.1.15. 크라다이어족
1.1.16.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비엣어파(Vietic)
- 크메르어(캄보디아)
- 카시팔라웅어파
- 카시어(Khasi)
- 문다어파
- 몬어파(Monic)
- 아슬리 제어(Aslian)
- 바나르어파(Banharic)
- 제찌엉어(Jeh-Trieng)
1.1.17. 오스트로네시아어족(남도어족)
각 사용 지역별로 우세한 언어를 분류하면 이하와 같다. 어군 단위 분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문서 참조.
- 대만 원주민 제어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마인어(말레이어 - 인도네시아어)
- 자바어 (인도네시아 자바섬 중/동부 지역)
- 순다어 (인도네시아 자바섬 서부 지역)
- 마두라어 (인도네시아 마두라섬)
- 미낭카바우어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서부 지역 및 말레이시아 느그리슴빌란주)
- 아체어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부 지역)
- 발리어 (인도네시아 발리섬 및 롬복섬 서부)
- 사삭어 (인도네시아 롬복섬)
- 반자르어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섬 남동부 해안 지역)
- 부기스어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남부 지역)
- 마카사르어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남부 지역)
- 미나하사어군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북부 지역)[3]
- 타갈로그어 - 필리핀어
- 일로카노어 (필리핀 루손섬 북부)
- 카팜팡안어 (필리핀 루손섬 중부 팜팡아주)
- 비콜어군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비콜 반도, 카탄두아네스주, 마스바테주를 포함한 비콜 지방)
- 와라이어 (필리핀 레이테섬, 사마르섬을 포함한 동비사야 지방)
- 힐리가이논어 (필리핀 네그로스섬 북서부, 파나이섬 남동부 일로일로주)
- 세부아노어 (필리핀 세부섬과 민다나오섬 북서부, 네그로스섬 남동부를 포함하는 필리핀 남부 여러 지역)
- 마긴다나오어 (필리핀 민다나오섬 중부)
- 아클라논어 (필리핀 파나이섬 북서부 아클란주)
- 말라가시어 (마다가스카르)
- 테툼어 (동티모르)
- 차모로어 (괌, 북마리아나 제도)
- 폴리네시아 제어
- 멜라네시아 제어
- 피지어 (피지)
- 미크로네시아 제어
1.1.18. 몽골어족
- 중앙몽골어군
- 서몽골어군
- 북몽골어군
- 동북몽골어군
- 동남몽골어군
- 중남몽골어군
- 서남몽골어군
1.1.19. 퉁구스어족
1.1.20. 예니세이어족
1.1.21. 파마늉안어족
1.1.22. 고시베리아 제어
고시베리아 제어(Paleosiberian languages)는 시베리아에 존재하는 여러 언어를 통칭하는 지리적 분류이다. 이에 속하는 어족들은 어느 정도 언어학적 특성을 공유하지만, 상위 어족을 설정할 수 있을 정도로 확실히 입증된 기존 어족 간 계통관계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1.1.23. 파푸아 제어
- 트랜스뉴기니어족
- 마이라시어족
- 동츤데라와시어족
- 레이크플레인어족
- 토르-퀘르바어족
- 님보라어족
- 스코어족
- 경계어족
- 아라이-퀌타리어족
- 세나기어족
- 토리첼리어족
- 세픽어족
- 라무-저지세픽어족
- 유아트어족
- 피아위어족
- 중남부파푸아어족
- 동트랜스플라이어족
- 바이닝어족
- 남부갠빌어족
- 북부갠빌어족
- 중앙솔로몬어족
1.1.24. 아메리카 원주민 제어
1.1.25. 한국어족/한국어
1.1.26. 고립어
1.1.27. 우랄 알타이 제어
학술적 목적으로 분류하는 가상의 어족. 현재 학계에서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지 않다. 특히 우랄어족은 정식으로 실재하는 것으로 인정받지만, 알타이 제어는 아직까지도 근거가 부족한 가설로 평가한다. 더욱이 우랄-알타이 제어는 현 학계 관점에서 통합하기 무리가 있는 가설로 본다. 가설로서 참고만 할 것.
1.2. 혼성어
1.3. 인공어
1.3.1. 국제 공용어를 목표로 만든 언어
1.3.2. 예술어
1.3.3. 공학언어
2. 문자 관련 정보
3. 언어학 관련 정보
- 개음절(열린낱내) / 폐음절(닫힌낱내)
- 무성음(안울림소리) / 유성음(울림소리)
- 된소리(경음)
- 경구개음(센입천장소리)
- 구개수음(목젖소리)
- 국제음성기호(IPA)
- 권설음(혀말이소리)
- 성문음(울대문소리)
- 순치음(입술잇소리)
- 양순음(두입술소리)
- 연구개음(여린입천장소리)
- 인두음(목구멍소리)
- 제기음
- 치경구개음(잇몸입천장소리)
- 치경음(잇몸소리)
- 치음(잇소리)
- 후두개음(울대머리마개소리)
- 묵음
- 초분절 음소
- 비교언어학
- 언어동조대
- 기본어휘
- 거짓짝
- 인류언어학
- 역사비교언어학
- 어원학
- 어원
- 사전
- 불규칙 활용
- 음운론
- 두음 법칙
- 몬더그린
- 변이음
- 성조
- 스푸너리즘
- 악센트
- 어두 경음화
- 중간발음
- 분포: 상보적 분포, 중복적 분포, 동시적 분포, 포괄적 분포
- 사회언어학
- 방언 - 방언연속체
- 양층언어
- 정치적 올바름
- 과도교정
- 응용언어학
- 전산언어학
- 법언어학
- 언어습득론
- 언어발달론
- 언어교수법
- 언어인류학
- 고사성어
- 명언
- 속담
- 신경언어학
- 심리언어학
- 나 먼저 원리
- 부바키키 효과
- 제2언어습득론 (모어가 아닌 외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에 대한 학문이다.)
- 이중언어
- 폴리글롯 - 다중언어자
- 구어 / 문어
- 번역
- 통역
3.1. 언어학, 국어학 관련 인물
- 남광우
- 놈 촘스키
- 니콜라이 마르
-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
- 레이 제켄도프
- 로만 야콥슨
- 세종대왕
- 스티븐 핑커
- 옌스 예스페르센
- 움베르토 에코
- 조안 브레즈넌
- 조지 레이코프
- 주시경
- 최현배
- 페르디낭 드 소쉬르
- 허웅
4. 국문법 관련 정보
- 외국어의 품사 명칭
- 한글학회
- 조선어학회 사건
- 한국어의 존비어 문화
- 한국어의 높임법
- 존댓말 - 격식 : 하소서체 / 합쇼체 / 하오체 | 비격식 : 해요체
- 반말 - 격식 : 하게체 / 해라체 | 비격식 : 해체
4.1. 외래어 관련 정보
- 일본어의 외래어
- 현지화/중국
- 문체
- 번역체 문장
- 일본식 한자어
- 일본어 잔재론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외래어 표기법
- 외래어 표기법/일본어
- 외래어 표기법/중국어
- 외래어 표기법/러시아어
- 외래어 표기법/독일어
- 외래어 표기법/언어별 미비점
- 자주 틀리는 외래어
- 자주 틀리는 외래어/영어
5. 언어학 관련 학문
언어학의 하위 범주는 아니지만 언어학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학문들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음성학을 언어학의 하위 학문이 아닌 별개의 학문으로 보기도 한다.
6. 관련 문서
- 공용어
- 과도교정
- 말버릇
- 어학연수
- 받아쓰기
- 상표의 보통명사화
- 음차
- 음역(번역)
-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 언어재활사
- 축약어
- 두문자어
- 잰말놀이
- 모국어
- 다언어 구사
- 제2외국어
- 동음이의어
- 동음반의어
- 수어
6.1. 속어/유행어
속어 유행어 관련 정보 참조 바람.
[1] 현대 이집트와는 다른 언어. 현대 이집트는 아랍어를 사용하고 있다.[2] 독일어 방언을 바탕으로 해서 히브리어의 어휘와 표현을 대폭 받아들인 유대인의 언어다.[3] 하나의 언어는 아니다. 다른 인도네시아 지역 우세어들과 달리 필리핀어군에 속한다.[4] 축치캄차카어족과의 계통적 연관성을 주장하는 축치캄차카아무르어족(Chukokto-Kamchatkan-Amuric) 가설이 있다.[5] 일부 문헌에서 고시베리아 제어로 함께 묶인다. 그러나 다른 고시베리어 제어와 묶어 상위 계통 분류를 주장하는 유력한 가설은 없으며, 기껏해야 니브흐어와 약간의 역사적 언어 교류가 있었다는 정도가 지적되고 있다.[6] 19세기 중반 사멸[7] 북아메리카에서 사용되는 나데네어족과의 계통적 연관성을 주장하는 데네예니세이어족(Dene-Yeniseian) 가설이 있다.[8] 다른 고시베리아 제어 언어들 외에도 북아메리카에서 사용되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과의 언어학적 유사성이 종종 지적되고 있다.[9] 18세기 사멸[10] 18세기 사멸[11] 우랄어족과의 계통적 연관성을 주장하는 우랄유카기르어족 가설이 있다.[12] 알래스카 일부 지역에서 2008년 1월 21일에 마지막 원어민 사용자인 마리 스미스 존스가 죽으면서 사어가 되었다. 그가 죽기 전부터 학자들은 그를 통해 에야크어 자료를 얻었고, 그보다 훨씬 앞선 1960년대부터 Michael Krauss가 Anna Nelson Harry라는 사람을 통해 에야크어로 된 음성 자료 및 기록 자료를 축적하였기에 에야크어 자료가 비교적 여럿 존재한다.[13] 고립어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나, 일부에서 한국어와 제주어(제주도 방언)를 별개의 언어로 보고 한국어족을 설정하기도 한다.[14] 프로그래밍 언어/종류 참조.[15] 데바나가리문자와 싯다마트리카 문자(실담자)는 각각 범자(梵字)의 이서체(異書體)라고 판단하여 항목이 개설되지 않은 후자를 제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