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켓

 

[image]
폴란드의 TKS 탱켓.
[image]
이탈리아군의 L3 계열 탱켓. 크기가 얼마나 작은지 잘 보여주는 사진이다.
1. 개요
2. 역사
3. 탱켓 목록


1. 개요



Tankette. 전차를 닮은 일반 자동차 미만 크기의 무한궤도 장갑차량을 의미한다.
어원은 탱크에 ‘~보다 작은 것’ 이라는 의미를 가진 지소형 접미사 -ette를 붙인 것이다.[1] 일본에서는 마메센샤(豆戦車), 즉 '''콩알전차'''라 부른다.[2] 한국에서는 아직 지정된 국문 명칭이 없기 때문에 보통 원문을 음역하여 '탱켓'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문서에서도 탱켓이라고 표기한다.
그래서 이름대로 경전차보다도 한참 작은 초소형 전차라고 볼 수도 있다. 초경전차[3]나 '''준전차'''로 부르자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준전차로 부르기도 좀 애매한 점이 있는게, 사실상 탱켓이란 전차를 구분하는 명칭이라기보다는 '''작고, 궤도 달렸고, 약간의 무장과 장갑을 두른 차량'''을 포괄적으로 부르는 명칭이기 때문이다. 일부 서적에서는 꼬마전차 등의 표현도 사용한 예가 있다.
운용, 제작국가가 전차취급하지 않거나 탱켓으로 분류하면 탱켓이다. 무게는 중요하지 않다.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의 악명 높은 참호전을 극복하기 위해 투입된 최초의 전차는 분명 전선 돌파라는 역할을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나 그 뒤를 따르는 보병들은 여전히 상대방의 자동화기에 노출되어 있었다. 또한 당시의 전차는 육상전함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육중하고 느릴뿐더러 비싸고 대량생산이 어려워서 보병들을 전부 엄호하기엔 턱없이 부족했다. 따라서 연합군은 전차의 뒤, 그리고 보병의 선두에 '움직이는 방탄 기관총 진지'를 내세워 보병들을 엄호할 목적으로 탱켓을 구상하였다. 하지만 이 구상안은 실현되지 못했고 대신 작고 빠른 2인승 정찰용 장갑차량을 개발하는 쪽으로 방향이 바뀌었다. 이 최초 구상안의 아이디어는 APC로 이어진다.
그리하여 전후 1925년 영국에서 최초의 1인승 전차를 선보였고, 이걸 본 존 카든과 비비안 로이드는 이후 모든 탱켓의 기본 틀을 마련한 2인승 탱켓인 카든-로이드 탱켓을 제작한다. 이후 영국은 이를 전투용이였던 탱켓 보다는 수송용 장갑차에 더 가까운 유니버셜 캐리어로 발전시켰고(수송에 유용하도록 상부 장갑이 없다.), 대공황시기의 다른 국가들은 탱켓의 저렴함을 토대로 중기관총, 대전차소총, 유탄발사기 등을 장착하며 전투용도로 생산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탱켓은 그 체급의 한계상, 갓 출현한 당시에도 본격적인 전쟁용이 아닌 내부치안용이나 식민지용으로 보았을 정도로 화력과 방어력이 빈약할 수밖에 없었다. 대전차 소총은 1차대전 말기에 이미 나온 상태였으며, 보병이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는 소형 대전차포같은 대전차 화기 또한 전간기에 속속 등장했고, 거기에 이후 전차 성능까지 발달함에 따라 탱켓의 입지는 빠르게 좁아졌다. 보병의 입장에서도 중기관총을 사용하거나 바주카같은 물건을 쓰면 탱켓은 픽픽 터져나가기 마련이었기에, 결국 2차 세계 대전 이후 '탱켓'이라는 분류의 병기는 사라진다.
현대에 존재하는 탱켓급의 병기는 비젤 장갑차가 있다. 크기와 무장, 장갑 등에서 상당히 유사하지만 공수용으로 개발된 장갑차라서 어쩔 수 없이 크기가 작아진 것이고 탱켓과는 개념이 다르다.

3. 탱켓 목록


무게에 상관없이 운용국가가 전차로 분류하지 않았으면 탱켓이다.
생산시에는 탱켓이었으나 운용시 전차취급됐거나, 생산시 전차취급했으나 운용시 전차취급을 받지 못했으면
  • 러시아
    • T-27[4]

[1] 참고로 투구를 비롯한 머리를 보호하는 장구를 의미하는 헬멧(Helmet) 또한 원래는 헬름(Helm)보다 작은 것을 가리키는 표현이었다.[2] 일본에서는 작은 것을 뜻하는 의미로 콩을 접두사로 붙인다.[3] 일반적인 중전차보다 더 크고 무거운 전차를 초중전차로 분류하는 방식을 그대로 이용한 것이다. 다만 이쪽 역시 원문에서의 표기가 'Super lignt tank'가 아닌 만큼 올바른 명칭이라 보기는 애매한 면이 있다.[4] 카든-로이드의 면허생산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