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8

 





야인시대 64화영사실 폭파 장면
1. 개요
2. 유래 및 활용
3. 기타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홍만길: '''불을 질러 버려라. 이 영사실을 한동안 쓰지 못하게 불을 붙여 태워버려!'''

아구: 예, 알겠습니다!

신영균: 야 됐어! 아구야, 됐다! '''이 수류탄 하나면 돼.'''

신영균: '''우리의 임무는 끝났다.''' (영사실에서 나가기 직전에 수류탄을 던진다.)

홍만길: (서둘러 나가며) 가자!

(신영균 일행이 나간 뒤 영사실이 '''폭☆8'''한다)

야인시대 64화 中 신영균중앙극장 영사실수류탄으로 날려버리기 직전에. [1]

심영을 상영하려는 때 김두한 패거리가 난입, 중앙극장을 아수라장으로 만들고 필름이 있는 영사실을 수류탄으로 폭파시키는 장면이 소스화된 것 자체를 가리키는 말. 폭☆8 또는 폭★8이라고 쓴다.

2. 유래 및 활용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자면, 최초로 심영을 폭발시킨 작품은 2010년 합필갤러 '문희준'이 만들어 전설로 남은 심영물인 '영 좋지않은 곳에 복음 전도를 간 심영과 전도사양반으로 추정[2]되며, 나중에 고두익이 만든 지저분한 장난을 치는 심영에서 처음으로 영사실 폭파 장면이 사용되었다. 이 때는 '폭★8'이라는 단어 없이 그냥 '폭발 엔딩'이라고만 언급되었다. 또한 심영이 폭파를 시도하는 장면에서는 '''좆까네'''라고 외치면서 자막에는 '''썬더볼트'''라고 뜨는 영상도 몇 있었다.
이후 2012년에 합필갤 출신 유튜버 UngMan 제작의 369를 하는 심영에서 '폭8'이라는 용어가 최초로 사용되었으며,[3] 본인의 말에 따르면 '폭8'이라는 용어를 만들어서 심영을 터뜨린 것은 이 작품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것이라고.[4]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방법인 '상하이조가 심영의 고간을 찍어눌러 터뜨리는' 장면이 사용되었으며,[5][6] 폭발 장면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영사실 폭발 장면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심영물의 폭☆8을 가장 먼저 정립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UngMan은 아예 폭발 엔딩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폭파 장면에 심영의 각종 비명소리를 넣은 영상을 공유하고 있다.
2011~12년쯤부터 심영 관련 합성물에서는 마지막 장면을 폭☆8로 끝내는 영상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폭☆8''''이라는 용어는 합필갤러 'A.N.S'로 말미암아 탄생하였고, 이를 유행시킴으로써 명실상부한 '''심영물의 마무리를 담당하는[7] 약방의 감초'''가 되었다. 과부하한 심영이 폭발하거나, 상하이 조가 심영을 권총으로 찍자 심영이 폭발하거나 하는 경우가 많다. OOO가 된 심영 시리즈들 대부분의 작품들이 영사실 폭파 장면으로 마무리되며, 이때 자막에 '폭☆8'을 쓴 것이 유행이 되어 '폭☆8'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폭★8'로 쓰기도 한다. 폭발 장면과 함께 심영의 비명이나 김두한의 단말마를 같이 넣어주는 게 보통.
폭발 엔딩으로 끝나지 않는 창작물을 찾는 게 더 어려울 정도로, 심영과 야인시대 합성물은 폭☆8로 끝나는 것으로 정석화되었다. 굳이 심영이 터지지 않아도 김두한이나 의사양반이 폭발물을 터뜨리거나 김두한이나 심영의 어머니, 의사양반이 터지거나 심영이 먹으려던 피자가 폭8하거나 내레이션이 폭8을 예견하는 등... 결국 꼭 한 가지가 폭8하는 것으로 끝난다. 심영이 이기거나 살아남을 것 같은 합성물에서도 마지막에 뭔가가 터지면서 끝나는 경우가 많다. 폭발이 아니더라도 '''터지기 직전'''의 영사실[8]이 등장하기도 한다. 이렇게. 다만 그 빈도에서 아직 심영이 압도적이기 때문에, 심영을 폭★8물로 취급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대놓고 심영이 직접 자신의 폭★8을 공격 방식으로 쓰기도...[9] 또한, 김두한과 상하이 조는 일종의 뇌관으로 취급된다.
폭★8은 폭★8 엔딩 외에도 합성물 내 등장 인물들의 죽음을 희화화하는 용도로 쓰이기도 한다. 가령 등장인물들이 얻어맞으며 고통을 호소하다가, 폭8 장면이 나오면서 그 캐릭터가 '처형당했다'는 식으로 묘사하는 것. 특히 명확한 사망씬이 없는 심영은 처형될 경우 99% 확률로 폭☆8이 사용된다.
하도 폭8이 많고 대개 그 장소가 백병원이다 보니, 아예 '''의사양반이 잦은 폭8 때문에 거지가 되었다는''' 메타픽션 비슷한 설정도 등장했다. 병원이 폭8하고 나서 의사양반이 특유의 침착한 말투로 내뱉는 ''''Aㅏ, 시발. 내 병원....;;;''''도 일품. 병원 터트려서 돈이 없다는 이유로 알바를 뛴다든지, 폭8을 막기 위해 랩 배틀을 뜬다든지 등. 그만큼 폭★8이 워낙 남발되다 보니, 시청자들 사이에서 폭☆8 자체가 지겹다거나, 이 장면을 마지막에 안 넣었다고 폭☆8이 없어서 실망스럽다(...)는 반응 또한 자주 나오고 있다.
심영이 폭☆8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심영이 궁지에 몰리면 폭☆8을 무기로 협박하거나, 아니면 그냥 터뜨려버릴 때도 있다.
행여나 폭8없이 훈훈하게 끝날려고 하면 '''아예 제작자가 직접 개입해서''' 억지로 폭8시키는 경우도 있다(...).
아이러니한 점은 합성물이 아닌 '''야인시대 드라마 원본'''조차, 허술한 전개나 갑작스러운 사건 전개를 숨기고자 은근히 폭★8을 활용했다는 것이다. 가령 1부의 마지막 회차였던 50회에 후반부에서는 부민관 폭탄의거 사건에 김두한이 의도치 않게 엮여버리는 바람에 난데없이 고초를 겪게 되자 이를 극복하는 전개가 진행이 끝나자마자 원자폭탄이 터지는 씬이 나오면서 갑자기 8.15 광복을 맞아 슬퍼하는 마루오까와 미와/기뻐하는 조선 민중들이 독립 만세를 부르는 장면으로 넘어간다. 시간 대로는 맞는 내용이긴 한데, 장면 전환이 거칠다보니 갑작스럽게 폭8이 일어난 듯한 묘사가 되고 말았다. 또한 해방 후에 일본 해군 무관부를 해산하는 에피소드에서 김두한 패거리는 다이너마이트와 몽둥이로 총든 일본군을 제압하는데, 분명 폭탄을 쓰는데도 김두한은 '저들을 죽거나 다치게 하자는 게 아니다'라고 언급하고, 전매국 창고에서 아편을 강탈하는 장면에선 무고한 경비원들에게 대놓고 다이너마이트를 던져대기까지 했다.

3. 기타


[image]

김두한: 무장을 해제하고, 너희 군대를 이끌고 이 종로를 떠나라! 아니면, '''함께 폭☆4하자'''

야인시대 51~52화

바리에이션으로 '폭☆4'가 있다. 말 그대로 '폭사'. 야인시대 51~52화의 일본 해군 무관부 강제 퇴거씬이 쓰이는데, 합성장인들은 김두한이 다이너마이트에 불을 붙이는 장면을 쓰거나, 다이너마이트의 불붙은 심지를 뜯는 장면을 역재생한 것[10]을 쓰기도 한다. 김두한의 대사인 함께 '폭☆4하자'는 말과 함께 다같이 자폭하는 엔딩. 이게 활용되어 폭☆4+폭☆4=폭☆8이 되기도 한다.

이 엔딩에 대한 안티테제로 냉동 엔딩이 있다고 한다. 다만 폭☆8 엔딩에 비하면 거의 쓰이지 않는 편.
[image]
대부분의 합성물에는 영사실 폭발 장면을 쓰지만, 스케일을 좀 더 키워서, 야인시대 61화 국군준비대 습격 사건에서 나오는 무기고 폭발씬이 폭발 엔딩으로 쓰이기도 한다. 아예 '3단 폭☆8'이라고, 1, 2단은 무기고 폭발씬을, 3단은 영사실 폭발씬을 합성하기도 한다. 스폰지밥과 같이 합성한 경우에 스폰지밥에서의 핵폭발 장면을 폭발 엔딩으로 쓰기도 한다. 그리고 1부에서의 나석주의 동양척식주식회사 폭파 장면도 새로 발굴되었다.
영사실과는 다르게 외부에서 집같이생긴 건물이 폭발하는 걸로 보이기 때문에 안전가족물에 주로 쓰인다.
55화 마지막의 자동차 폭발 장면도 쓰이지만 이쪽은 말그대로 자동차이기 때문에 대개 음주운전이나 난폭운전이나 졸음운전의 결과물로 쓰인다. 주 희생양은 김두한.
이게 유명세를 탄 건지 아니면 심영물을 보는 사람이 많아선지는 모르겠으나, 폭☆8 문서가 백괴사전에 등재되기도 했다.

보통 BGM으로는 야인시대 2부 에피소드가 끝나는 음악이나 전설의 영웅 끝 부분이 쓰인다.
[image]
[11]
다른 곳에서 심영물 요소가 인용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주로 영상을 마치기 위해 폭☆8 및 폭☆4가 인용된다. 범용성이 뛰어나서 그런 것으로 추정된다.

4. 관련 문서



[1] 지금은 저작권에 걸려 재생이 불가능하다.[2] 사용된 영상이 영사실 폭파 장면이 아닌 터미네이터 2의 핵폭발 장면이다.[3] UngMan의 말에 따르면 그 당시의 합성 갤러리 내에서 '폭발'이냐 '폭팔'이냐를 두고 시비를 가린 적이 있는데, 여기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한다.[4] 단, 이때 만들어진 용어의 중간에는 별이 없다.[5] 다만 처음 사용된 것은 UngMan이 만든 이가탄 광고 패러디부터이다.[6] 또한 작중에서 상하이는 심영의 그곳을 '''두 번''' 찍는데, 폭8 장면의 이음매의 경우 두 장면 다 사용한다. 굳이 차이점을 두자면 멀리서 다가오는 첫번째 장면은 중간에 끊기 애매해서인지 확정된(?) 폭8에 주로 사용되고, 급박하게 끝낼 때는 두 번째 장면을 더 사용한다는 점 정도.[7] 시작하자마자 폭8하는 작품도 있긴 하지만, 그 수가 적다.[8] 폭8 장면의 첫 1프레임.[9] 이때, 해당 폭★8에 심영은 보통 면역이다. 다만, 합성물 마지막에 발생하는 폭★8은 어떤 이유로든 심영도 휩쓸려간다. 오직 자신이 유발한 폭★8만 안전하다는 설정(?) 때문인 듯.[10] 마치 김두한이 손에 불을 지펴서 다이너마이트에 불을 붙이는 것 처럼 보인다. 의미심장한 미소(...)를 짓는 김두한의 얼굴이 클로즈업 되는 것 역시 적절함을 더해준다.[11] 위 사진의 인물들은 심영, 볼가 박사, 마이클 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