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전후사의 인식
[image]
1979년 10월 15일에 발행된 한국근현대사 분야 단행본. 약칭 '해전사'.
현 대한민국의 처지를 매우 어렵게 만든 도서이며 북한 주민들과 탈북자들이 계속되는 인권탄압에 시달리도록 만든 도서라는 특징이 있다. 또한 국내 보수진영과 진보진영의 갈등을 극대화시킨 원인을 만든 책이기도 하다.
첫 권이 1979년 10월에 출간됐으며, 이후 10년에 걸쳐 전6권으로 완결됐다. 지금까지 모두 합해 50여만부가 판매되었을 만큼 엄청나게 팔렸으며, 많은 사람들이 한국 근현대사 분야 논문을 쓸 때 자주 참고 서적으로 활용한 단행본이기도 하다.
저자들의 면면 또한 매우 화려한데, 전 동아일보 편집국장인 송건호(나중에 1989년에 한겨레 신문 창립), 재야 민주화 운동가이자 시인인 백기완(백범 김구 관련 글), 한국 근현대 사학계의 거목이자 전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인 강만길, 정치학자인 최장집(편집저자) 등이다. 임종국(친일 문제), 박현채(민족경제사), 김윤식(문학사), 또한 이종석,[1] 김명섭, 이완범,[2] 박명림[3] 등 젊은 대학원생들이 쓴 논문도 많이 실렸는데, 이후 이들은 한국-북한 현대사계의 거장이 된다. 안나 루이스 스트롱의 1947년 북한 기행도 다뤘다.
1~3권은 해방 3년사(1948년 정부 수립)를 다뤘다.[4] 4권은 해방 8년사(한국전쟁 종전까지), 5권은 북한 현대사, 6권은 "쟁점과 과제"를 다뤘다.
이 책이 발간 겨우 11일만에 1979년 10.26 사건으로 판금(검열)되었다가 1980년 서울의 봄으로 해금되었다. 하지만 그해 5.17 내란으로 신군부가 정권을 장악하고 다시금 군부 독재가 도래하면서 저자들이 대거 구속되거나 조사받았으며 대학으로부터 쫓겨나는 등 수난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판금에도 불구하고 80년대 군부 독재정권 시기 큰 인기를 얻었다.
이 책의 출판사인 한길사는 2004년 출간 25주년을 맞아 재출간 했다.
이 책은 1980년대에 대학을 다닌 소위 n86세대에게 있어서 '바이블' 같은 존재였으며 이들의 역사인식과 사상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북한에서 주장하는 근현대사를 그대로 답습한 것으로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부분 등의 북한 주장을 세세하게 정리했다. 당시 젊은층은 이 책을 읽고 교과서 속 반공 투사들이 황군이었고, 교과서 속 문인들이 친일파였다는 것에 큰 충격을 받았다. 그리고 그들은 한국엔 친일파와 그 후예들이 떵떵거리며 산다고 믿었고 이 절망감은 국가의 정통성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졌으며 민족 정통성은 친일파를 청산한 북한에 있고 남한은 미국을 새로운 상전으로 모신 친일파의 나라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5] 이런 생각의 정치적 표현이 1980년~1990년대를 지배한 NLPDR 운동이다. 1980년~1990년대 학생운동에서 흔히 들리던 '미 제국주의 타도', '조국해방'[6] 같은 구호들이 바로 이러한 사상적 기반에 있는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런 내용 상당수가 편향적이고 심지어 거짓이기까지 하다는 점에 있다. 실제로 이 책에서 주장한 내용들 중 현재는 완전히 폐기된 경우도 많다. 예를 들면 6.25 전쟁의 발발에 관해서 남침유도설 같은 수정주의적 관점이 대거 수록되어 있었으나, 공산권 붕괴 이후에 구 소련쪽 기밀 문서가 공개되면서 현재 남침유도설은 학계에서 사장되었다.
2017년 이후 다시 정권을 잡은 n86세대 운동권들 또는 그와 궤를 함께하는 인사들이 일반 대중이 이해하기 힘든 발언(예시1, 예시2, 예시3)과 행보를 보이는 이유도 그들의 역사 인식과 관점이 아직까지도 40년 전에 나온 바로 이 책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1. 개요
1979년 10월 15일에 발행된 한국근현대사 분야 단행본. 약칭 '해전사'.
현 대한민국의 처지를 매우 어렵게 만든 도서이며 북한 주민들과 탈북자들이 계속되는 인권탄압에 시달리도록 만든 도서라는 특징이 있다. 또한 국내 보수진영과 진보진영의 갈등을 극대화시킨 원인을 만든 책이기도 하다.
2. 상세
첫 권이 1979년 10월에 출간됐으며, 이후 10년에 걸쳐 전6권으로 완결됐다. 지금까지 모두 합해 50여만부가 판매되었을 만큼 엄청나게 팔렸으며, 많은 사람들이 한국 근현대사 분야 논문을 쓸 때 자주 참고 서적으로 활용한 단행본이기도 하다.
저자들의 면면 또한 매우 화려한데, 전 동아일보 편집국장인 송건호(나중에 1989년에 한겨레 신문 창립), 재야 민주화 운동가이자 시인인 백기완(백범 김구 관련 글), 한국 근현대 사학계의 거목이자 전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인 강만길, 정치학자인 최장집(편집저자) 등이다. 임종국(친일 문제), 박현채(민족경제사), 김윤식(문학사), 또한 이종석,[1] 김명섭, 이완범,[2] 박명림[3] 등 젊은 대학원생들이 쓴 논문도 많이 실렸는데, 이후 이들은 한국-북한 현대사계의 거장이 된다. 안나 루이스 스트롱의 1947년 북한 기행도 다뤘다.
1~3권은 해방 3년사(1948년 정부 수립)를 다뤘다.[4] 4권은 해방 8년사(한국전쟁 종전까지), 5권은 북한 현대사, 6권은 "쟁점과 과제"를 다뤘다.
이 책이 발간 겨우 11일만에 1979년 10.26 사건으로 판금(검열)되었다가 1980년 서울의 봄으로 해금되었다. 하지만 그해 5.17 내란으로 신군부가 정권을 장악하고 다시금 군부 독재가 도래하면서 저자들이 대거 구속되거나 조사받았으며 대학으로부터 쫓겨나는 등 수난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판금에도 불구하고 80년대 군부 독재정권 시기 큰 인기를 얻었다.
이 책의 출판사인 한길사는 2004년 출간 25주년을 맞아 재출간 했다.
3. 영향
이 책은 1980년대에 대학을 다닌 소위 n86세대에게 있어서 '바이블' 같은 존재였으며 이들의 역사인식과 사상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북한에서 주장하는 근현대사를 그대로 답습한 것으로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부분 등의 북한 주장을 세세하게 정리했다. 당시 젊은층은 이 책을 읽고 교과서 속 반공 투사들이 황군이었고, 교과서 속 문인들이 친일파였다는 것에 큰 충격을 받았다. 그리고 그들은 한국엔 친일파와 그 후예들이 떵떵거리며 산다고 믿었고 이 절망감은 국가의 정통성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졌으며 민족 정통성은 친일파를 청산한 북한에 있고 남한은 미국을 새로운 상전으로 모신 친일파의 나라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5] 이런 생각의 정치적 표현이 1980년~1990년대를 지배한 NLPDR 운동이다. 1980년~1990년대 학생운동에서 흔히 들리던 '미 제국주의 타도', '조국해방'[6] 같은 구호들이 바로 이러한 사상적 기반에 있는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런 내용 상당수가 편향적이고 심지어 거짓이기까지 하다는 점에 있다. 실제로 이 책에서 주장한 내용들 중 현재는 완전히 폐기된 경우도 많다. 예를 들면 6.25 전쟁의 발발에 관해서 남침유도설 같은 수정주의적 관점이 대거 수록되어 있었으나, 공산권 붕괴 이후에 구 소련쪽 기밀 문서가 공개되면서 현재 남침유도설은 학계에서 사장되었다.
2017년 이후 다시 정권을 잡은 n86세대 운동권들 또는 그와 궤를 함께하는 인사들이 일반 대중이 이해하기 힘든 발언(예시1, 예시2, 예시3)과 행보를 보이는 이유도 그들의 역사 인식과 관점이 아직까지도 40년 전에 나온 바로 이 책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4. 기타
- 2006년에 나온 뉴라이트 계열 학자들의 논문을 모은 책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은 이 책에 대한 비판을 목적으로 한다.
- 반민특위를 해산시켰다고 이승만을 친일파의 거두로 보지만 정작 일본에서 이승만은 강경한 반일 인사로 통한다. 독립 운동을 했고, 이승만 라인으로 독도를 지켰으며 한국전쟁 중 일본군의 참전에 극렬히 반대했기 때문이다. 애초에 이승만이 미국에서 유명세를 타고 지원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가 일본을 비판하고 진주만 폭격을 예견한 일본 내막기를 출간했기 때문이다. 또한 알려진 것과 달리 이승만이 세운 초대 내각에 친일파의 이름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북한의 초기 정권에는 친일파들이 수두룩하다. 북한의 역사서인 '조선 전사'에서조차 "김일성 동지께서는 지난날 공부나 좀 하고 일제 기관에 복무하였다고 하여 오랜 인텔리들을 의심하거나 멀리하는 그릇된 경향을 비판 폭로하시면서 그들을 새 조국 건설의 보람찬 길에 세워 주시었다."라고 적혀있을 정도다. 한 마디로 남이나 북이나 국가를 건설하는 데에 친일 기술 관료들의 도움이 필요했던 것이다. 북에서도 친일파들은 노동당에 충성하며 출세를 했다. 반면 독립 운동가들은 김일성 유일 체제에 반대하는 한 거기서도 숙청의 대상이었다. 연안파와 소련파, 남로당 계열이 그렇게 사라졌다.
[1] 당시 성균관대 박사과정으로 "북한 지도 집단과 항일 무장 투쟁"을 썼고, 이후 노무현 정부에서 통일부 장관을 역임했다.[2] 당시 연세대 박사과정으로 '해방 3년사의 쟁점'을 썼으며 분단사 관련하여서는 학계 최고 수준의 권위자가 되었다. 국사편찬위원회 연구위원을 거쳐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학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3] "한국전쟁사 쟁점"을 쓴 당시 고려대 박사과정이던 박명림은 이후 저서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을 통해 브루스 커밍스의 소위 수정주의(내전확대설)를 이론적으로 극복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4] 1권이 입문 격이라면 2권은 이념, 정치, 3권과 4권은 노동운동이나 문화적인 측면이 강하다.[5] 물론 이 같은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6] 남한이 미 제국주의의 식민지 상태이기 때문에 거기서 해방되어야 한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