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6세

 


[image]
'''왕호'''
헨리 6세 (Henry VI)
'''출생'''
1421년 12월 6일
버크셔 윈저성
'''사망'''
1471년 5월 21일 (49세)
런던 런던탑
'''장례식'''
1484년 8월 12일
세인트 조지 교회
'''재위'''
잉글랜드의 왕
1차
1422년 8월 31일 ~ 1461년 3월 4일
2차
1470년 10월 3일 ~ 1471년 4월 11일
프랑스 왕국의 왕 (논란)
1422년 10월 21일 ~ 1453년 10월 19일
'''배우자'''
앙주의 마르그리트 (1445년 결혼)
'''자녀'''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
'''아버지'''
헨리 5세
'''어머니'''
카트린 드 발루아
'''서명'''
[image]
1. 개요
2. 태어난지 9개월 만에 왕위에 오르다
3. 잔 다르크와의 악연
4. 패배한 백년전쟁
5. 유배, 그리고 사망
6. 가족관계
7. 사생활

[clearfix]

1. 개요


백년전쟁 말기의 잉글랜드 왕국 국왕.

2. 태어난지 9개월 만에 왕위에 오르다


잉글랜드 왕 헨리 5세프랑스샤를 6세의 딸 카트린 사이에서 태어났다. 헨리 5세 사망 직후 잉글랜드 왕으로 즉위했는데 그때가 1422년이었다(…). 이해가 안 가면 잠시 위의 출생년도를 보자. 그러니까 '''한 살도 되기 전에 잉글랜드 왕이 되었는데 정확하게는 생후 9개월이었다.''' 그리고 잉글랜드 왕이 된 지 2개월이 지나고 나서 외할아버지 샤를 6세가 갑자기 정신병으로 죽어버리는 바람에 트루아 조약에 의거하여 프랑스 왕까지 되었다. 이때 헨리 6세의 나이는 고작 생후 11개월이었다. 흠좀무.
옹알이도 못 하는 나이에 잉글랜드, 프랑스 두 나라의 왕이 된지라, 성년이 될 때까지 베드포드 공 존과 글로스터 공 험프리가 사실상 왕권을 휘어잡고 놀았다.
외숙부인 샤를 7세가 트루아 조약의 비적법성을 주장하며 대관식을 올리자 자기 자신도 1431년 파리로 가서 프랑스 왕 대관식을 올렸는데 이때 나이가 10살이었다(…).

3. 잔 다르크와의 악연


이런 화려한 어린 시절의 스펙과 다르게 헨리 6세의 어린 시절은 잔 다르크와의 안 좋은 추억으로 얼룩져있다(…). 1429년 오를레앙만 함락시키면 사실상 샤를 7세를 굴복시키고 프랑스 전체의 패권을 쥐었을 가능성이 높았을 상황에서 갑자기 17세의 소녀 잔 다르크가 나타나더니 잉글랜드군을 물리치고 연속으로 잉글랜드군이 패전을 거듭, 급기야 잔 다르크가 정식으로 프랑스 왕의 대관식을 할 수 있는 장소인 랭스까지 차지하며 샤를 7세가 정식으로 프랑스왕 대관식까지 해버려서 헨리 6세는 제대로 된 프랑스왕 대관식을 올리지도 못해버리고 트루아 조약은 하늘나라로... 결국 프랑스 지배를 주장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어린 나이인 헨리 6세 본인도 이 상황에 충격을 받았겠지만 이는 당시 왕권을 휘어잡고 있던 베드포드 공과 글로스터 공도 마찬가지, 결국은 이 두 사람과 윈체스터 추기경이 작당해서 프랑스에게 배신당하고 부르고뉴군에게 붙잡혔던 잔 다르크를 종교재판을 통해 마녀, 이단자로 몰아서 화형대로 보냈다. 셰익스피어의 작품 '헨리 6세 1부'에서는 아무리 셰익스피어가 잉글랜드인이고 헨리 6세가 주인공이라고 해도 잔 다르크를 철저히 악마와 결탁한 마녀 내지 악녀로 묘사한다(...). 그런데 정작 헨리 6세는 비중이 별로 없고 잔 다르크가 더 비중이 많아 사실상 진히로인이 되어버렸다(...).
많은 사람이 영화 잔 다르크 덕분에 헨리 6세가 잔 다르크를 화형대로 보내는 데 가장 큰 일조를 한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데, 잔 다르크가 죽은 년도가 1431년, 그러니까 헨리 6세가 성년이 되어 왕권을 잡기도 전의 이야기다. 그러니까 잔 다르크의 이단심문과 화형에 관한 것은 당시 국왕대리였던 베드포드 공과 글로스터 공의 역할이 가장 컸다.
다만 헨리 6세가 잔 다르크의 화형 이후 그녀의 죽음을 발표했고, 잔 다르크가 붙잡혔을 때 그녀에 대해 남장을 하며 성역할을 어기고 계시를 받았다고 허풍을 떨고 백성들을 속이는 못된 여자라고 발표한 것을 볼 때 잔 다르크의 죽음에 아주 책임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물론 기껏해야 주변 어른들에게 휘둘렸던 데다가 그들이 잔 다르크가 그냥 자신의 적도 아니고 나쁜 여자, 마녀라고 세뇌시켜서 그렇게 알고 있었겠지만. 잔 다르크가 루앙 탑에 갇혀있을 당시 헨리 6세가 루앙에 들렀다는 말이 있는데 과연 둘의 만남이 있었는지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알 수 없다. 설령 만났다고 한들 당연히 잔 다르크에게 좋은 말을 했을 리가 없을 듯.
잔 다르크가 화형당해 순교한 뒤에 바로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프랑스왕 대관식을 올렸지만 정식으로 대관식을 하는 장소인 랭스가 잔 다르크에게 빼앗긴 탓에 제대로 된 권위가 없는 대관식이 되어 버렸고, 오히려 파리 주민들[1]에게 반발을 사버렸다(...).
그리고 그 자신의 실패한 대관식 25년 후에 같은 장소, 그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잔 다르크의 명예회복 재판이 열려 헨리 6세의 측근이 열었던 재판은 엉터리였음이 증명되었고 잔 다르크의 명예회복이 공식적으로 선포되었다.[2]

4. 패배한 백년전쟁


이후 성년이 되어 잉글랜드 왕과 프랑스 왕으로서 자리를 잡았지만, 전장에서 능력있는 지휘관이었던 베드포드 공은 헨리 6세가 성년이 되기 전에 사망했고, 글로스터 공은 윈체스터 추기경과의 권력 투쟁 끝에 쫓겨나기에 이르렀으며 인물다운 인물로 새롭게 떠오른 요크 공 리처드는 결국 전황을 뒤집지 못하였다. 거기에다가 잔 다르크가 경건한 자세로 화형에 임하면서 그녀를 이단자, 마녀로 몰아넣은 효과가 무색해지며[3] 오히려 프랑스인들의 반잉글랜드 감정과 단결심만 더 키웠으며, 심지어 여태까지 동맹을 맺고 잔 다르크까지 잡아다가 바쳤던 부르고뉴파는 아라스 조약으로 프랑스 편에 붙어버리고 샤를 7세에게 파리를 들어바치는 바람에[4] 차곡차곡 전투에서 지며 영토를 빼앗기더니 칼레를 제외한 모든 프랑스의 잉글랜드령을 잃으며, '''망했어요.'''
백년전쟁 뒤에는 사자후버프받은 프랑스가 칼레마저 뺏어갈까 두려워서 앙주 등의 비옥하고 부유한 영토를 그냥 거저 돌려주는 등 친프랑스 수준을 넘어 비상식적인 정책을 고수하였는데 문제는 이게 잉글랜드 귀족들의 불만을 사서 장미전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여담으로 칼레는 1558년 메리 1세 때 잃음으로써 결국 잉글랜드는 프랑스 본토 내 모든 영토를 상실하고 만다.

5. 유배, 그리고 사망


장미전쟁 중에는 먼 친척이었던 요크 공 리처드의 아들이자 본인에게는 8촌 동생이 되는 에드워드 4세[5]에게 밀려 잠시 런던 탑에 유폐되기도 했는데, 이때 정신착란 증세를 심하게 보였다고 전해진다. 이후 잠시 세력을 키우는 한편 에드워드 4세의 심복이었던 워릭(Warwick) 백작을 끌여들여 에드워드 4세를 밀어내고 도로 왕좌에 오르기도 하였지만 정신착란의 후유증으로 제대로 된 판단과 통치를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이 정신착란은 외할아버지 샤를 6세에게 물려받았다고 하기도 한다. 물론 유전적인 요인도 있겠지만 백년전쟁에서 패배해서 프랑스 내 영토를 거의 모조리 빼앗기고, 한 때 자기를 괴롭혔던 마녀라고 생각했던 잔 다르크가 교황청에서 정식으로 명예회복이 선포된 꼴[6]도 보고, 반란이 계속해서 일어나는 등, 충격을 연속으로 받는 환경적 요인도 있었을 듯.
결국 다시 에드워드 4세에게 밀려 런던 탑에 유폐되었고 1471년 5월 23일 에드워드 4세 추종세력에 의하여 암살당했다.[7] 참고로 부인 앙주의 마르그리트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외아들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는 전황이 불리해지자 어머니와 함께 외가인 프랑스로 망명, 1470년 워릭 백작 리처드 네빌의 딸 앤 네빌과 혼인하였다. 이후 1471년 다시 잉글랜드로 돌아가 에드워드 4세와 맞서 싸웠으나, 투크스베리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에드워드가 사망하면서 랭커스터 왕조의 후계는 단절되었으며 그의 어머니 마르그리트는 이 때 포로가 되었지만 사촌이었던 프랑스 왕 루이 11세에 의해 석방되어 프랑스로 돌아가 살다 1482년 죽었다.

6. 가족관계


참고로 그의 어머니 카트린은 오웬 튜더와 재혼하여 에드먼드 튜더를 낳았는데 장미전쟁을 종식시키고 튜더 왕조를 연 헨리 7세는 에드먼드 튜더의 아들이다. 에드먼드 튜더는 랭커스터 가 핏줄은 아니지만 그의 이부형이었던 헨리 6세에 의해 왕족으로 인정받았다.[8]
그리고 위의 글을 보면 알겠지만 헨리 7세는 잉글랜드 왕실의 혈통과 거리가 상당히 먼 사람이다.[9] 그러나 자신이 헨리 6세의 이부동생 에드먼드 튜더의 아들로서 조카가 된다는 사실을 계승권 주장의 근거로 삼았기 때문에 헨리 7세로 즉위명을 붙였고, 둘째아들 이름을 다시 헨리로 붙여준 것.

7. 사생활


플레잉 카드를 엄청나게 좋아했다. 그래서 플레잉 카드 K에 자신의 얼굴을 박고 플레잉 카드 Q에 자기 왕비의 얼굴을 박은 뒤 플레잉 카드 J에는 자신이 총애하는 대신 4명의 얼굴을 박아서 널리 배포했다. 그래서 사람들 사이에서는 자신이 모시는 영주들에게 아부를 하기 위해 플레잉 카드에 그 영주의 얼굴을 박아서 선물하는 게 유행했다.

[1] 불과 2년 전에 파리에 접근하던 잔 다르크에게 마녀, 탕녀, 여자의 모습을 한 괴물이라고 돌을 던지고 화살을 쏘며 공격하던 사람들이다.[2] 물론 샤를 7세와 교황청이 재판을 열기는 했지만 잔 다르크를 적으로 만났던 기억을 가지고 있던 파리 시민들도 이에 동의했기에 그곳에서 열릴 수 있었을 것이다.[3] 화형대에서 심장이 타지 않고 남았다던가 비둘기가 날아갔다던가하는 신화적인 소문은 배제하더라도, '''친잉글랜드파''' 도시인 루앙의 시민들마저 잔 다르크의 재판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손가락질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 심지어 '''잉글랜드 병사들과 헨리 6세의 비서까지도 눈물을 흘리며 성녀를 죽였다고''' 탄식할 정도였다. 실제로 잔 다르크의 재판에 관여했던 모든 이들은 평생을 손가락질당했으며, 그 사실을 철저히 숨기거나 고개도 들지 못하고 살았다고 한다. 그에 더해 공교롭게도 당시 재판정에 있었던 재판관 중 편히 죽은 자가 한 명도 없었기 때문에 성녀를 모함한 벌을 받았다는 소문이 더욱 크게 퍼졌다.[4] 잔 다르크가 재판 당시에 7년 안에 오를레앙에서의 패배보다 무서운 재앙이 잉글랜드에 닥칠 거라고 경고성으로 예언했는데 과연 7년 안에 베드포드 공의 사망과 파리의 프랑스 귀속으로 그 예언이 실현이 되어버렸다.[5] 동양에서만 족보를 따진다고 생각하는데, 실제 유럽 왕족들의 혈통과 촌수 구별도 그에 못지 않다. 심지어 팔촌은커녕 왕가와의 혈연이 몇백년 지나도 적법한 자손들이라면 프린스 칭호를 쓸 수 있는 특권이 있다.[6] 사실 프랑스가 백년전쟁에서 최종적으로 승리한 상황이어서 잔 다르크의 명예가 회복될 재판이 다시 열리는 것을 어느 정도 예상은 했겠지만 잉글랜드가 오스만 투르크의 유럽 침입을 막는 데에 지원해줬기 때문에 교황청이 잉글랜드의 눈치를 보고 있어서 그래도 설마 그런 일이 생기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결국 끝내 그나마 믿었던 교황청이 잔 다르크의 명예회복 재판을 열어버려서 헨리 6세와 잉글랜드는 뒤통수를 맞았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크다. [7] 공식적인 사인은 우울증이었으나, 1911년 발견된 헨리 6세의 유골은 두개골에 머리카락이 피로 엉겨붙어 있어 머리를 강한 도구로 찍혀 죽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여담이지만 에드워드 4세의 아들이었던 에드워드 5세와 리처드 형제도 그들의 숙부 리처드 3세에 의해 폐위되어 런던 탑에 갇혔다가 죽음을 당했다. [8] 사실 프랑스 공주 혈통이기 때문인 게 더 중요하다. 당시 유럽 왕가는 외국 출신이어도 신분이 높으면 다른 나라에서도 비슷하게 인정받았다. 프랑스만 하더라도 카페 방계인 부르봉 가문이거나, 기즈 가문, 로렌 가문, 사보이 가문 혈통은 프랑스 궁정에서도 준왕족 취급을 해주었다.[9] 사실 헨리 7세의 어머니인 마거릿 보퍼트의 족보를 거슬러 올라가면 랭커스터 공작 곤트의 존이 헨리 튜더의 어머니 마거릿의 증조부인데, 왜냐하면 보퍼트 가문이 곤트의 존의 사생아 존 보퍼트가 랭커스터 가문에서 분가한 가문이기 때문에 사실 혈통이나 거리가 그렇게까지 멀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