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천역

 

'''폐역'''
북천 - - '''횡천'''
'''횡천역'''
목포 방면
하 동
5.4 ㎞ →

'''다국어 표기'''
영어
Hoengcheon
한자
橫川
중국어
横川
일본어
フェンチョン
'''주소'''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경서대로 998-12 (남산리)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진주역 관리 / 코레일 부산경남본부)
'''운영 기관'''
경전선

'''개업일'''
경전선
1968년 2월 8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열차 거리표'''
'''경전선'''
횡 천
橫川驛 / Hoengcheon Station
[image]
이설 전 역사
[image]
이설 후 역사
[clearfix]
1. 개요
2. 역사
3. 일평균 이용객
4. 승강장
4.1. 이설 전 승강장
5. 명예역장
6. 기타


1. 개요


경전선철도역.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경서대로 998-12 (남산리)[1]에 위치해 있다.

2. 역사


이 역 부근의 급경사로 인해서 약 700m 정도의 피난선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2010년 5월에 철거되었다. 경전선을 운행하는 모든 무궁화호 가 정차한다. 2016년 7월 14일 경전선 복선화로 인해 서남쪽으로 약600m 이전했다.
여기는 완전히 무인역이기 때문에 기차를 탈려면 차내에서 차장에게 표를 구매해야 한다. 대신 차내대용권으로 발권하면 코레일 회원의 이용실적 집계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은 알고 갈 것. 그냥 차내대용권 대신 코레일톡 앱을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3. 일평균 이용객


횡천역을 이용하는 일반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무궁화호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36명
50명
54명
54명
52명
49명
49명
51명
53명
37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36명
31명
31명
39명
38명
'''38명'''

4.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북천
1


2
하동
1
경전선
진주·마산·부전 방면
2
경전선
하동·보성·광주송정·목포 방면

4.1. 이설 전 승강장


순천·하동 방향

외측
내측

역사
진주·삼랑진 방향↓
외측
경전선
무궁화호
목포·순천·하동·광주송정 방면
내측
경전선
무궁화호
포항·부전·마산·동대구 방면
특이하게도, 승강장을 번호가 아닌 "측"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교행[2] 등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열차를 외측에 정차시키며 단선으로 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5. 명예역장


명예역장의 활동이 상당히 눈부신 역이었다. 가장 돋보이는 것은 Daum 레일플러스 철도 동호회와 연계해서 열차 도착 안내 전광판을 붙인 것.[3] 관련 내용은 이곳을 참조. 그 이외에도 전자식 온도계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등등, 간이역은 고사하고 시골 보통역에서도 보기 힘든 각종 전자장비들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역사 이전 전날에 모두 철거됐다. 구역사는 스탬프 압인기도 설치되어 있었으나, 역사 이전과 함께 철거되어 폐기되었다가 스탬프는 형태와 크기를 변경하여 임시로 하동역에 비치된 상태.

6. 기타


일본에 한자가 똑같은 역들이 있다.
한 트위터리안이 지속적으로 역 관리를 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5일에 1회 정도 역사가 청소가 되고 스탬프 액 등이 교체가 이루어 지고 있다.
2021년 현재는 진주역에서 매주 일정 기간마다 청소업무를 실시중이다.
2016년 1월 중에 철도갤러리에 올라온 인증글에 의하면 횡천역을 기준으로 진주~횡천 구간과 횡천~광양 구간에서 KR이 발주한 전력설비 공사를 하는 현장사무소가 위치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일부 구간에서는 전차선 지지대가 올라가고 있음도 언급되고 있어서 경전선 진주~광양 구간의 복선전철화가 예상외로 매우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진주~횡천 인증글 횡천~광양 인증글
구 역사에는 피난선이 존재했다. 강원도도 아니고 산인역과 더불어 경상남도에 위치했던 유이한 피난선이다.

[1] 구-역사는 중마길 272 (횡천리)[2] 2016년 7월 13일까지는 부전순천행 무궁화호 1941열차와 목포발 부전행 무궁화호 1954열차가 교행하기도 했다.[3] 이 전광판은 동호인 자체 제작품(#1, #2, #3, #4#5, #6, #7, #8)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