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허하오터시
呼和浩特
몽골어 ᠬᠥᠬᠡᠬᠣᠲᠠ 후흐허트
영어 Hohhot
1. 개요
중국 북부 내몽골 자치구의 성도이다.
바오터우에서 서쪽으로 150km, 다퉁에서 서북으로 120km 떨어진 평원에 위치해 있고 인구는 290만 명이다.
2. 상세
이 도시의 원래 이름은 후흐허트(Хөх хот)로 몽골어로 '푸른 도시'라는 뜻이다. 후허하오터는 중국어식 발음이다.
왕소군의 묘가 있는 것으로 보아 흉노 때부터 도시가 있던 것으로 여겨진다. 한나라의 군현제 당시에는 운중군(雲中郡)으로 칭하였으나 실제적으로는 흉노 세력권이었으며 한 군현은 사실 흉노를 통제하고자 설치한 명목상의 것일 뿐이었다. 오늘날 후허하오터시의 직접적인 기원은 몽골 제국과 원나라를 계승한 북원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6세기 중엽 북원의 알탄 칸에 의해 지어진 구시가지는 귀화성(歸化城)[1] , 청나라 대에 지어진 신시가지는 수원성(綏遠城)으로 불렸는데, 이 두 지명이 합쳐져 귀수(歸綏), 즉 구이쑤이로 불렸다. 애초 사막 한가운데 척박한 지역이라 한족이 원래 살지 않았으나 알탄 칸이 대원제국의 부활을 외치고 스스로를 중국 천자 자리를 되찾겠다고 선언하며 베이징을 포위하는 경술의 변을 일으키고 더 나아가 산서성, 허베이성 일부를 수복, 이 지역 한족들을 내몽골로 이주시킨 후 한족식 도시를 만든 게 귀수성이었다. 그 덕분에 내몽골 외곽인 엘렌호트 등과 달리 후흐허트는 원래부터 한족이 더 많았다.
이후 만주족의 청나라가 혼인동맹으로 만주-몽골을 일체화하자 이 지역은 당시 후금이라 불리던 청나라에 편입되며 만리장성 방면으로 중국을 쳐들어가는 기점이 된다. 청의 지배 후에는 중화민국의 쑤이위안성을 거쳐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만든 내몽골자치구의 수부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3. 기후/환경
전형적인 사막성 기후이다. 연 강수량이 약 300mm로 매우 건조한 환경이다. 겨울철 실내에 빨래를 널면 2시간만에 마른다. 원체 건조한지라 비는 구경도 힘들고 비가 내려도 금방 마르기 때문에 길가에 배수구가 없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이처럼 비가 많이 내리지 않아서 중국에서 가장 물이 부족한 도시 중 하나로 꼽히지만, 황하 및 요하에서 물을 끌어오는 덕분에 생활에는 불편함이 없다.
대륙성 기후라서 낮에 덥고 밤에 춥다. 마찬가지로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춥다. 대신 건조하기 때문에 낮이라도 그늘만 가면 비교적 시원한 편이다. 애초 몽골 기후가 다 이렇다. 짧은 여름엔 섭씨 40도까지 올라가고 긴 겨울에는 영하로 -50도까지 떨어진다. 조드라는 강풍은 덤이다. 조드 한방에 부자도 망한단 몽골 속담이 괜히 있는 게 아니다. 그래서 몽골인의 주택인 게르의 경우 여름 더위와 겨울 추위에 모두 대비가 되어 있도록 설계했으며 강풍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점은 같은 사막에 사는 동계 유목민인 튀르크계 유목민들의 유르트도 똑같다.
여름이 짧은 편이라 호텔 같은 건물 제외, 대학이나 기숙사, 가정집, 식당 등에 에어컨이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기온이 들쭉날쭉하여, 5월에 난데없이 30도까지 올랐다가 12도까지 떨어지기도 한다. 벚꽃피는 계절에는 벚꽃 위에 눈이 내려앉기도 한다. 햇빛은 굉장히 강한 편이라 선글라스 없이 다니기 힘들다.
또한 기압이 아주 낮아서 강풍이 심하다. 비행기도 내몽골 상공 비행 시 강풍에 심하게 흔들려서 몽골 고원을 통과하는 비행은 난이도가 꽤 높다. 내몽골이 어찌나 강풍이 심한지 바이킹을 타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비행기가 수직하강과 상승을 반복하기도 한다. 북극항로 개척이 늦었던 이유 중 하나가 이렇게 까다로운 난이도의 기류대를 통과해야 하는데 비해 몽골, 중국, 러시아 3국의 관제시스템이 열악해서 그런 게 컸다.
의외로 황사는 짧다. 대신 심한 경우 공기에서 모래 내음을 맡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가 매우 좋다. 흐린 날이 드물고 하늘은 높고 푸르다. 우리나라의 가을 하늘을 연상하면 된다.
4. 음식
"北咸南甜、东酸西辣"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음식이 매우 짜다.
원나라 시대 이 지역에 이주한 한족들에게선 전통적으로 감자 재배가 일반적이었다고 하는데, 이는 기후가 원인으로 보인다. 2010년대부터 도시 외곽에 우후죽순 생긴 신도시 지구가 1980년대~1990년대에는 전부 광활한 감자밭이었다는 얘기가 있다.
이 지역은 엄연히 내몽골 지역인지라 중국의 최대 소수민족을 이루는 몽골족, 즉 몽골인들이 많이 들어와 있기 때문에 몽골 요리도 자주 접할 수 있다. 독립국 몽골 즉 외몽골과 약간 다른 내몽골식 몽골 요리인데 이 내몽골식 요리가 만주 요리, 그리고 북방 중국 요리인 베이징 요리 등에 큰 영향을 끼쳤다.
5. 관광
원나라, 북원, 청나라 등 유목민 왕조 시대에 지어진 티베트 불교 사원들[2] 과 역시 이 지역 토착민인 회족에 의해 지어진 이슬람 사원 청진사[3] , 흉노에 끌려간 한나라 궁녀 왕소군의 묘인 소군묘 등이 관광지이다.
시내 동쪽에 바이타 국제공항이 있으나 철도 교통이 애용된다. 바이타 국제공항 인근에는 요나라대 중후기에 세워진 白塔[4] 가 있는데, 시내버스가 통하지 않는다. 시내버스 종점에서 도보로 50분 거리인데 인도가 없다.
내몽골 박물원도 규모가 크고 이 지역을 차지, 개발한 유목민 왕조인 요, 금, 원, 청대 및 흉노와 돌궐 시대 역사 유물을 다량 소장하고 있어 볼 만 하다. 특히 한국에서 보기 힘들고 잘못하면 터키 이스탄불까지 가서 봐야 하는(...) 돌궐 유물들을 여기서 대거 볼 수 있다.
6. 교통
후허하오터 지하철이 있으며, 2개 노선이 개통된 상태이다.후허하오터 바이타 국제공항이 있다.대한민국에서 직항은 없으므로, 베이징 등지에서 환승해서 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