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봉

 


[image]
'''Cape of Good Hope'''
한자 : '''喜望峰'''[1]
1. 개요
2. 역사


1.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위치한 .
[image]
아프리카 대륙의 최남단이 희망봉이라고 알려졌지만, 실제 최남단은 아니다. 실제 최남단은 위 지도 우하단에 보이는 아굴라스 곶이고[2] 희망봉은 그 전에 '이제 최남단 도착'이라고 착각하고 붙인 이름이다.
사실 세계지도를 보면 그렇게 명명한 당시 항해사들의 심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유럽에서 출발해 '''장장 1만 km'''에 달하는 지겹디 지겨운 아프리카 서해안을 지나, 대륙이 끝나고 처음으로 동쪽으로 도는 곳이 희망봉이기 때문.

2. 역사


한때는 1488년에 바르톨로뮤 디아스가 비(非)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인으로서는 이곳에 처음 도달했다고 알려졌지만, 현대 역사학계에서 제기된 설 중에는 헤로도토스역사(Historia)에 있는 기록에 따라, 고대 이집트파라오 네코 2세(Necho II)의 명을 받고 항해에 나선 페니키아인들이 기원전에 이미 도달했다는 설도 있다.[3] 요약하자면, 페니키아 항해사들이 이집트 파라오의 명령을 받아 홍해를 출발하여 시계 방향으로 아프리카 대륙을 돌았다는 것. 헤로도토스의 역사에는 페니키아인들이 아프리카의 해안을 따라 적도를 넘어가니 태양이 북쪽(항해사들의 오른쪽)에 떠있었다고 언급했다는 기록이 나오는데, 실제로 남반구에서는 태양이 북쪽에 떠있기 때문에 정말로 희망봉을 돌았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아무튼,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나오는 관련 기록은 다음과 같다.

He, when he had made an end of digging the canal which leads from the Nile to the Arabian Gulf, sent Phoenicians in ships, charging them to sail on their return voyage past the Pillars of Heracles till they should come into the northern sea and so to Egypt. So the Phoenicians set out from the Red Sea and sailed the southern sea; whenever autumn came they would put in and sow the land, to whatever part of Libya they might come, and there await the harvest; then, having gathered in the crop, they sailed on, so that after two years had passed, it was in the third that they rounded the Pillars of Heracles and came to Egypt. There they said (what some may believe, though I do not) that in sailing round Libya they had the sun on their right hand.

해당 부분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그(네코 2세)가 나일강에서 아라비아만까지 운하를 파는 일을 마쳤을 때, 페니키아인들에게 '허큘리스의 기둥'과 북해(지중해)를 지나 이집트로 다시 돌아오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래서 페니키아인들은 홍해를 출발하여 남쪽 바다로 나아갔다. 가을이 오면 그곳이 리비아(아프리카)의 어디가 되었건 정박하여 곡물을 경작하여, 추수하고, 곡식을 비축할 때까지 기다렸다. 이 일을 반복하며 항해를 진행하기를 2년, 드디어 3년째 되던 해에 '허큘레스의 기둥'을 통과하였고, 이집트에 돌아오는 데 성공했다. 그들은 다음과 같은 말을 했는데(누군가는 믿겠지만, 나는 믿을 수 없는 이야기이다), 그들이 아프리카를 돌면서 항해할 때, 태양이 그들의 오른편에 있었다.

여기서 말하는 '허큘레스의 기둥'은 지브롤터 해협을 뜻한다고 보는 해석도 있고, 지브롤터 해협 근처에 있던 페니키아인들의 신전의 기둥을 뜻한다고 보는 해석도 있으며, 오늘날의 카나리아 제도를 지칭한다는 설도 있다. 그리고 아프리카를 돌고 있을 때, 태양이 그들의 오른쪽에 있었다는 기록은 남반구 방향으로 진출한 다음 아프리카 대륙 연안을 타고 희망봉을 돌아서 다시 올라왔다는 결정적인 단서로 읽을 수 있다. 당대의 사람인 헤로도토스의 천문학적 지식으로는 믿을 수 없는 이야기였겠지만, 현재의 과학적인 상식으로 보면 매우 정확한 관측이었던 것.
한편 고대 이집트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기의 그리스인 항해사인 키지코스의 에우독소스는 지브롤터 해협을 지나서 아프리카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서 인도까지 항해하는 여정에 올랐는데[4], 이 때 오늘날의 희망봉으로 추정되는 위치 불명의 곶을 발견했다고 기록을 남겨서 이에 대한 진위 여부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5].
어쨌거나, 1488년에 바르톨로뮤 디아스가 이곳에 도달하였을 때는 '폭풍의 곶'으로 이름 붙였으나 항해를 지원한 포르투갈 왕실의 조언에 따라 희망봉(Cabo da Boa Esperança)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곳을 지나는 항해자들이 인도로 갈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심어 주기 위해서라고 한다. 그리고 전술했듯이 이곳이 아프리카 대륙의 최남단이라고 오해받은 것도 있고, 아프리카 해안의 항해에서 동쪽 방향으로 항해하게 되는 첫 관문이라서[6], 이런 이름이 붙은 것도 있다. 대항해시대유럽 항해사들이 인도로 가기 위한 필수 코스기에 이 지역을 독점하다시피 한 포르투갈이 막대한 이득을 보았다. 이 때문에 스페인에서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에게 신항로를 찾으라는 임무를 주기도 했다. 1652년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케이프타운[7]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식민화하였다. 나폴레옹 전쟁 중이던 1806년에 영국이 점거하였으며, 1814년에 네덜란드와의 협정으로 영국령이 되었다. 근대에 수에즈 운하가 개통되어 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짧은 항로가 생기자 대부분 시장을 잃었고, 현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이름을 날린다.
2019년 현재에는 수에즈 운하의 통행세가 대폭 인상되고, 근처의 해적들 문제도 있고 해서 1600년대처럼 희망봉을 돌아서 유럽으로 가는 배들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라고.
[1] 영어명 '''Good''' Hope를 의역해 '''希'''望峰이 아닌 '''喜'''望峰으로 쓴다.[2] 사실 실제 최남단은 아굴라스 곶에서 서쪽으로 약 1.3km 정도 떨어진 지점에 있다. 구글 지도에서 '아프리카 최남단' 이라고 검색하면 나온다.[3] 아직 정설은 아니다. 이들이 실제로 희망봉에 도달했는지 알 수 있는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탐험 기록은 물리적인 증거가 동반되기 전까지는 불확실하다.[4] 참고로 이 항해는 결국 실패하여, 에우독소스는 북아프리카로 회항했다.[5] 영어 위키백과의 서술에 의하면, 주류 역사학계 내에서는 이 기록에 대해 부정론이 우세하다고 한다. 이 서술대로면 에우독소스는 서아프리카 일대의 비슷한 지형을 보고 착각한 듯하다.[6] 나이지리아 앞바다에서도 동쪽으로 항해하는 부분이 있지만(아프리카 대륙 서부의 움푹 들어간 부분), 거기서 동쪽으로 갔다가 또 남쪽으로 내려가야 되니까 이 일대를 항해하는 이들에게는 딱히 의미 있는 부분은 아니었다. 서아프리카 지역의 부족이나 국가를 상대로 무역하는 이들이면 모를까, 여길 그냥 지나가기만 하는 이들에게는 지루한 항해가 계속 이어지는 곳으로 보였을 터다.[7] 네덜란드어아프리칸스어로는 카프스타트(Kaapstad)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