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
'''히보두스'''
|
''' ''Hybodus'' ''' Agassiz, 1837
|
분류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연골어강(Chondrichthyes)
|
아강
| 판새아강(Elasmobranchii)
|
목
| †히보두스목(Hybodontiformes)
|
과
| †히보두스과(Hybodontidae)
|
속
| †히보두스속(''Hybodus'')
|
'''종'''
|
- [ 펼치기 · 접기 ]
†''H. houtienensis''(모식종) †?''H. acutus'' †?''H. aequitridentatus'' †?''H. angulatus'' †?''H. angustus'' †?''H. antingensis'' †?''H. apicalis'' †?''H. austiensis'' †?''H. brabanticus'' †?''H. bugarensis'' †?''H. butleri'' †?''H. carinatus'' †?''H. cloacinus'' †?''H. copei'' †?''H. crassispinus'' †?''H. crassus'' †?''H. curtus'' †?''H. cuspidatus'' †?''H. delabechei'' †?''H. dimidiatus'' †?''H. dorsalis'' †?''H. dubius'' †?''H. ensatus'' †?''H. ensensis'' †?''H. ensis'' †?''H. formosus'' †?''H. fraasi'' †?''H. grewingki'' †?''H. hauffianus'' †?''H. hexagonus'' †?''H. houtienensis'' †?''H. huangnidanensis'' †?''H. inflatus'' †?''H. lawsoni'' †?''H. leptodus'' †?''H. levis'' †?''H. leviusculus'' †?''H. longiconus'' †?''H. mackrothi'' †?''H. major'' †?''H. marginalis'' †?''H. medius'' †?''H. microdus'' †?''H. montanensis'' †?''H. mougeoti'' †?''H. multiconus'' †?''H. multiplicatus'' †?''H. nevadensis'' †?''H. novus'' †?''H. obtusus'' †?''H. pinii'' †?''H. pleiodus'' †?''H. plicatilis'' †?''H. punctatus'' †?''H. rajkovichi'' †?''H. rapax'' †?''H. raricostatus'' †?''H. reticulatus'' †?''H. sasseniensis'' †?''H. shastensis'' †?''H. storeri'' †?''H. striatulus'' †?''H. subcarinatus'' †?''H. sublaevis'' †?''H. sulcatus'' †?''H. tenuis'' †?''H. undulatus'' †?''H. yohi'' †?''H. zuodengensis''
|
[image]
|
프라아시종(''H. fraasi'')의 복원도. 단, 에게르토노두스(''Egertonodus'')라는 별도의 속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
[image]
|
하우피아누스종(''H. hauffianus'')의 화석
|
[clearfix]
1. 개요
고생대 페름기 후기에 등장해
페름기 대멸종을 이겨내고 무려
중생대 백악기 후기
[1] 가장 최근 시기에 해당하는 화석이 발견된 '공룡 공원 층(Dinosaur Park Formation)'은 백악기 후기 샹파뉴절에 해당하는 7690만년 전부터 7580만년 전 사이에 퇴적된 지층이었다.
까지 번성한 원시
연골어류로, 속명은
그리스어로 '혹 모양의 이빨'이라는 뜻이다.
2. 상세
몸길이 약 2.5m 정도로,
크레톡시리나나
메갈로돈처럼 후대에 등장한
상어들만큼은 못해도 최소한 이 녀석이 페름기에 처음 등장한 원시 상어임을 고려하면 제법 현생 상어와 비슷한 생김새를 하고 있다. 다만 턱이 현생 상어들에 비해 조금 앞에 있었다는 점이 다르며, 이 턱의 앞쪽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뒤쪽에는 평평하고 단단한 이빨이 각각 나있었다. 전자는
어류나
오징어 같은 미끄러운 먹이를 잡는데 사용하고, 후자는
갑각류나
성게,
암모나이트 같은 동물의 단단한 껍질을 부숴 잡아먹는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지느러미 앞쪽에는 골질의 가시가 있었으며, 이는 천적을 상대로 위협 내지 방어용으로 쓰인 것으로 보인다. 또 성적 이형도 확인되는데, 수컷의 머리에는 암컷을 유혹하는 용도로 보이는 작은 가시가 나있었고 몸 아래 쪽에는 지느러미다리라고 불리는 한 쌍의 교미기를 가지고 있었다.
1845년
영국에서 최초로 화석이 발견된 이래 세계 각지에서 수많은 화석들이 발굴되었고, 그 덕에 생김새가 잘 알려진 녀석이기도 하다. 이는 히보두스가 유난히 연골 부분이 경화되어있어서 화석으로 남기 쉬웠던 것이 주된 이유가 아닌가 추정된다. 이렇게 많은 화석들이 발견된만큼 히보두스속도 많은 종들을 거느리고 있기는 한데, 문제는 현재 모식종을 제외한 나머지 종들의 입지가 굉장히 애매하다는 것이다.
[2] 일례로 버틀레리종(''H. butleri'')과 몬타넨시스종(''H. montanensis''), 라즈코비키종(''H. rajkovichi'')의 경우 2010년에 이들을 메리스토도노이데스(''Meristodonoides'')라는 별개의 속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만약 이 녀석도
디키노돈이나
프테로닥틸루스처럼 기존에 거느리던 다른 종들이 전부 떨어져나가고 모식종만 남거나 한 자릿수 정도만 남게 된다면, 페름기부터 백악기에 이르는 억소리 나는 기간 동안 살아남았으면서도 정작 속 내에서의 종의 분화는 생각보다 다양하지 않았던 특이한 케이스 중 하나가 될 가능성도 있다.
3. 등장 매체
[image]BBC의
다큐멘터리 공룡대탐험 3부의
쥐라기 바다 편에서
어룡 오프탈모사우루스의 천적으로 등장한다. 산호초 지대에 숨어사는 새끼들이 호흡을 위해 수면으로 올라갈 때를 노리거나,
리오플레우로돈에게 잡아먹힌 오프탈모사우루스의 반토막난 사체가 해저로 가라앉자 이를 뜯어먹으려 서서히 접근하는 등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다만 작중에서 바닷속 최강자로 설정되어있는 리오플레우로돈에게는 이 녀석도 좋은 단백질 공급원 취급되는 듯. 불행인지 다행인지
크립토클리두스와 함께 리오플레우로돈에게 잡아먹히는 장면이 묘사되거나 하지는 않았다.
후속작이라고 볼 수 있는
Sea Monsters에서는 챕터 6에 등장하며, 바닷속 생활에 완전히 적응한 원시
악어인
메트리오린쿠스와 함께 무리에서 낙오된
리드시크티스 한 마리를 뜯어먹는 모습으로 등장했다.
쥬라기 공원 빌더에서 사육 가능한 고생물로 등장한다.
피싱스트라이크에서 아마존강에서 포획가능한 전설어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