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이명박 대통령 천황 사과 요구
1. 개요
광복절을 하루 앞둔 2012년 8월 14일, 이명박 전 대통령이 독도를 방문한 이후 아키히토 천황에게 사죄를 요구한 사건.
이명박 대통령은 2012년 8월 14일 충북 청원군을 방문한 자리에서 독도 방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는 질문자의 답변에서 "일왕이 한국을 방문하고 싶다면 우선 지난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저질렀던 악행과 만행에 대해서 진심으로 반성해야 한다. 일왕이 독립투사들 앞에서 고개를 숙여서 사죄를 한다면 일왕 방한(訪韓)도 가능했을 것이다" 라며 또 한 번 일본에 대한 직격탄을 날렸다. 이 정도로 끝난 게 아니라서 "통석의 염 뭐가 어쩌고 이런 단어 하나 찾아서 올 거면 올 필요 없다" 고까지 했다. '통석의 염' 은 다름아닌 전 천황 아키히토가 1990년에 일본을 국빈 방문한 노태우 대통령에게 과거사와 관련해서 쓴 표현이다.
2005년 일본이 다케시마의 날 제정을 두고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일 독트린(對日 Doctrine)을 선언하여 일본에 대해서 강경하게 나왔던 적은 있었지만 대한민국 대통령이 그것도 일본 관료나 수상이 아닌 천황을 직접 겨냥하여 사죄하라는 발언을 한 것은 사상 처음 있었던 일이었다. 이는 독립운동가 출신이자 극렬 반일주의자였던 이승만도 한 적이 없는 돌발발언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천황이 한국을 방문하고 싶다면 독립운동을 하다 죽은 독립운동가들에게 진심으로 머리 숙여 사죄하고 과거사를 진심으로 반성하겠다면 천황 방한을 허용하겠다는 말을 하면서 '나는 그동안 일본을 국빈으로 방문한 적이 없다. 일본에게 할 말이 있다면 국빈방문도 가능할 것'[1] 이라는 첨언도 남겼다.
이어 8월 15일 광복절에는 위안부 문제가 인권에 반했던 악행이라는 점을 지적하면서 며칠 사이 3번에 걸쳐 일본에 대한 외교적 공세를 가했다. 결국 일본 내에서 아예 '''"한국을 적국(敵國)으로 보겠다"''' 라는 발언이 나와 양국 사이가 루비콘 강을 건넌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사실 한국에서야 일왕일지 몰라도 일본에서는 천황이기에 한국이 일본과 단교할 셈이 아닌 이상 이게 정상적 발언인지는 논란의 여지도 없는 수준.
관련 발언이 처음 알려진 후 약 1달이 지난 9월 9일 이명박 대통령은 한일 관계 전문가들과의 비공식 간담회에서 "내 발언이 왜곡돼 일본에 전달됐다. 과거 문제가 부상할 때마다 일본과의 관계가 나빠지는 악순환을 일왕의 한국 방문으로 단절할 수 없을까. 일본 총리가 여러 번 사과하는 것보다 일본에서 가장 존경받는 일왕이 말하면 쉽게 해결될 수 있다는 의미였다" 고 말했다고 아사히 신문이 보도했다.
2. 반응
2.1. 일본
당연히 일본은 이에 대해서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일본으로선 한국의 대통령이 '''천황의 방한 이야기조차 없던 시점에서''' 일본의 각료나 총리도 아닌 천황을 향해 고개를 숙이고 사죄를 하라는 것은 그야말로 충격적인 일이자 뜻밖의 일이다. 이 때문에 독도 문제에 별 관심이 없거나 한국에 우호적인 일본인들도 이 발언에 대해선 격분한 사람들이 아주 많다. 이 사건의 여파로 한국을 찾는 일본 관광객이 감소하였다. 1961년에 통계를 시작한 이후로 방한 인구 수 1위는 쭉 일본이었으나, 2013년에 처음으로 그 자리를 중국에게 넘겨주게 되었다.(#) 아베 전 총리도 이 대통령의 발언이 '''"상궤(常軌)[2] 를 벗어났다"'''면서 천황이 '''방한(訪韓)할 환경이 아닌 상태에서''' 이 대통령의 발언은 '''"너무도 예의를 잃었다"'''고 밝혔다.
일본 공산당조차도 '부적절한 발언이다'라고 말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지금의 천황이란 헌법상 정치적 권능을 갖고 있지 않다. 그런 천황에게 식민지 지배의 사죄를 요구하는 것 자체가 애당초 이상하다. 일본의 정치 제도를 이해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에 대하여 식민지 지배의 청산을 요구하는 것은 이해하나, 천황에게 그것을 요구하는 것은 애당초 판단이 다르다'라고 말했다. 천황제를 반대하는 일본 공산당으로서 천황이 '일본을 대표해서' 사죄를 한다면 천황의 권위와 지휘를 인정하는 듯한 조치가 되기에 이런 말을 한 것 같다. 광복 이후로 있던 황실도 다 쫓아내고 입국도 틀어막아 굶겨죽인 한국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힘들지만.
한편 아키히토 천황 본인은 양국의 우호를 위해서라면 한국에 가서 사과할 생각이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고 하지만(#) 애당초 출처가 전문 뉴스 언론이 아닌 여성 일간지이고 다른 일본 언론에서 다루지 않은 것으로 보아 카더라 통신일 가능성이 높다.
2.1.1. 혐한
이 사과 요구로 독도 방문과 함께 동일본 대지진으로 시작한 일본의 우경화가 증폭되었다는 시각이 있다.李明博 天皇陛下侮辱発言(2012年08月22日)
日王は韓国民に心から土下座したいのなら来い、重罪人に相応しく手足を縛って頭を踏んで地面に擦り付けて謝らせてやる。重罪人が土下座もしない、言葉で謝るだけならふざけた話しだ、そんな馬鹿な話しは通用しない、それなら入国は許さないぞ。
이명박 천황폐하 비하발언
일왕은 한국민에게 진심으로 도게자하고 싶다면 오라, 중죄인에 상응하여 손발을 묶고 머리를 밟아 지면에 짓뭉개면서 사과하도록 만들겠다. 중죄인이 도게자도 하지 않고, 말만으로 사과한다면 장난 같은 이야기다, 그런 바보 같은 이야기는 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입국은 허용될 수 없다.
혐한 들은 불에 기름을 더 부으려고 날뛰었으며,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을 계속 꾸준글로 돌리는 중이다. 혐한들은 꾸준글을 올리면서 발언 수위를 훨씬 과격하게 왜곡하고 있는데, '''왜왕은 한국에 와서 도게자를 해서 사죄해야 한다'''는 정도로까지 과장 되어 있다. '고개를 숙인다'는 표현의 오역 정도로는 보기 어렵다.
혐한들은 정상적인 번역을 '언론에서 순화하여 표현한 것'이라고 거짓말하면서 의도적으로 과격하게 만든 것을 그대로 퍼트렸다.참조 심지어 이쪽이 "직역","정확한 내용"이라고 거짓말을 했다.참조 참조 2ch에서는 이외에도 더 많은 것이 존재한다.참조
2014년에는 여기에 더해서 알몸이 되어야 한다느니 하는 더욱 과격한 표현까지 추가된 꾸준글이 돌아다니게 되었다.
애초에 예우 문제 이전에 한국에는 도게자라는 문화가 없기에 말도 안되는 표현이다. "석고대죄를 하라", "무릎꿇고 사죄해라"라면 모를까.(...)
2.2. 국내
국내에서는 2012년에 이명박이 저런 말을 했는지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 게다가 임기 말의 대통령이다 보니 언론이나 정치권이 관심이 대선에 집중되어 있어서 대통령이 저런 말을 한다고 관심 가져주는 것도 없었다.
2.2.1. 평가 및 비판
이에 대한 비판은 한국의 좌파 우파를 가릴것 없이 광범위하게 일어났다.
우파의 경우에도 '''그간 수많은 경제인들과 엔터테이너들이 힘겹게 일궈놓은 한국에 대한 일본의 호의적 이미지를 한순간에 무너뜨려버린 저질 정치선동'''으로 보았으며, 일본의 금기인 천황에 대한 언급이 나온 이후 일본의 반한우익의 여론에 실려 사태가 얼마나 증폭될지 예측 가능했기 때문에 굉장히 곤혹스러워 했다. 더구나 후쿠시마 사태가 터진지 얼마 되지 않은 시기라 일본내 교민들도 크게 불안에 떨었다.
즉 반론의 여지가 없는 반일감정의 정치적 악용 사례 외교적 실익은 전무했던 오로지 정신승리의 일환이자 한일관계가 파탄으로 치닫게 된 주된 원인이라고 혹평한다.
비판하는 쪽은 불과 1달여 전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을 비밀리에 추진하려고 하다가 이 사실이 유출된 후 국민들의 거센 반대 여론으로 여론의 눈치만 살피면서 광복절 기념사를 발표하고 나서도 청와대 참모진에서는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을 계속해서 추진할 것임을 천명한 상태였다가 그야말로 순식간에 정치적 방향이 바뀐 것에 강한 의구심을 갖고있다. 혹은 그것이 아니더라도 간격을 두지 않고 연타석으로 강한 외교적 압박을 가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양국 관계가 냉각되고 지금껏 쌓아온 일본 국민들의 친한적인 감정이 아주 상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 실제로 이전의 양국 간의 여론 조사에서는 한국인은 대체적으로 일본에 대해 '싫다'는 반응을 보인 반면 일본은 한류 등의 영향으로 대체로 한국에 대해 '좋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결국 어마어마한 전환기가 되었다.
다른 일각에서는 이러한 문제 때문에 2013년에 출범한 차기 정부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으며 일부에서는 이를 통해서 한국 내의 민족주의와 국수주의가 더욱 결속력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거나 2012년 대선 때 새누리당에게 유리하게 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한국 내에서 반일 및 혐일 감정도 더욱 오래 가게 될 가능성까지 염두하고도 있다.
위 발언은 그간의 이명박 정부가 일본과 천황에 대해 줄곧 취해온 스탠스와 완전히 상반된다. 2008년 4월 11일 이명박 대통령은 취임 후 한일정상회담 기자회견에서 '''"원론적으로는 천황이 한국을 방문하는 데 굳이 방문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 라고 말하고 그 직후 '''천황을 방문하여 한국에 초청'''했다. 당시 이명박 대통령이 '일왕' 대신 '천황'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에 대해 비판도 있었다. 고유명사라서 문제없다는 의견도 있으나 국민감정상 국내 언론사는 대체적으로 일왕을 사용하는 편이다.
동년 11월 11일 더 타임스와의 인터뷰를 가진 후 ''''천황이 사과해야 한다'라고 말했다고 보도되었을 때에는 청와대가 이를 극구 부인'''한 바 있다. 그리고 이듬해인 2009년 9월 15일에는 교도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일 강제병합 100주년을 맞는 2010년에 천황을 초청할 계획을 거듭 밝혔다. 광복 100주년이 아니라 병합 100주년을 맞아 초청한다는 것도 국민감정을 고려하면 사실 모양새가 좋다고는 할 수 없었다. 심지어 해당 인터뷰 당시에는 ''''천황이 한국 방문을 할 수 있느냐 없느냐 논의한다는 것 자체가 한일 관계에 거리감이 있는 것''''이라며 '''"한일관계가 과거에만 얽매여질 수 없다"'''라고까지 발언했었다. 일본을 향해 보여온 이러한 기조를 감안한다면 일본 언론에서 '레임덕에 빠진 대통령이 돌발적인 무리수를 던진 것'이라고 평가하는 것도 자연스럽다고 할 수 있다. 심지어 일본에서 진보적이라고 평가받는 아사히 신문조차도 이명박의 일왕 사과 발언에 이명박을 비판하는 논조의 논평을 냈을 정도.
다만 '''레임덕에 빠진 이명박의 무리수'''라는 하나의 측면으로만 보기도 무리인 것이, 바로 상단에 언급했지만 이명박은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노무현 정권 때 다소 티격태격하는 면이 있었던 미국, 일본과의 관계 개선과 친교를 내세웠고, 실제로도 한동안 이명박은 일본에도 친근한 모습을 보였다. 일본에서도 간 담화가 나오는 등 양국 관계가 개선되는 듯 했지만, '''독도 문제로 인해 이것이 소용없었다는 것이 문제였다.'''
독도 항목에서 2008년 이후 일본의 행보를 보면 알겠지만, 도리어 '''독도의 영유권 주장을 더욱 강화시켰다.''' 이로 인해 간 담화나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문제로 인해 양국 사이가 다소 우호적인 분위기가 되었다가 계속 틀어지기를 반복했고, '''지곤조기'''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실상 이명박은 이를 자제시킬려고 노력했지만 도리어 일본 언론에게 언플로 사용되기까지 한다. 한국의 진보 언론들이 이걸 그대로 보도한 것도 문제지만.
결국 레임덕이 오면서 독도 문제로 인해 본인이 내세웠던 일본과의 친교 개선이 부작용만 드러내게 되자 이에 대한 실망감이 독도 방문이나 일왕 사과 발언 등으로 표현이 된 것일 확률이 높다. 요약하면 일본의 자업자득도 꽤나 있었다는 이야기.
이명박 정권 내내 일본은 민주당 정권이였고, 민주당 정권은 전에 없이 한일 문제에 전향적이였다. 당시 민주당 정권의 마지막 총리인 노다 요시히코는 실제로 위안부 문제에서 굉장히 진전된 사과를 검토한 적이 있다.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 직전까지 갔었다” 주 내용은 주한 일본대사가 일본 정부를 대표해 피해자들에게 사죄하고, 노다 총리가 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인도적 지원 조치를 설명하며, 보상금 등 인도적 지원은 100% 일본 정부 자금으로 충당한다는 3가지 방안이었으나 이명박 정부가 이를 거부했다고 한다.
다만 저 당시 일본측이 제의한 '사사에안'은 박근혜 정부 시절 합의된 한일 위안부 합의 보다도 세부적인 내용에서 격이 더 낮은 합의안으로 일본 총리도 아닌 주한 일본 대사가 일본 정부를 대표해 피해자들에게 사죄한다는 부분만 봐도 격이 많이 낮은 사죄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박근혜 정부 시절 맺어진 한일 위안부 합의에서는 아베 신조 총리가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으로서 일본 정부를 대표해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마음으로부터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명함"이라고 사죄했다. 링크 기사의 뒷부분에 총리의 친서를 추가했다는 얘기가 있지만 한일 위안부 합의에서는 일본국의 책임이라는 문구로 일본 정부의 책임을 아예 명문화 한 것과 비교해보면 확실히 세부적으로 봤을 때 격이 더 떨어진다.
한일 위안부 합의에 '''매우''' 부정적이었던 문재인 정부의 '위안부 합의 검증 외교장관 직속 검토 TF 보고서'에서도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서 "일본 정부의 책임을 수식어 없이 명시하도록 한 것은, 위안부 제도 운영에 일본 군과 관헌이 관여한 사실을 인정했지만 책임에 관한 언급이 없었던 고노담화와 책임 앞에 '도의적'이 붙어 있었던 아시아여성기금 당시 '''일본 총리 편지(친서)'''와 비교해 진전이라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으며 여기에다 '''"일본 정부로서 책임을 통감한다"'''는 데 더해, 총리의 사죄와 반성의 마음 표명, 그리고 일본 정부의 예산 출연을 전제로 한 재단 설립이 합의 내용에 포함된 것은 '''일본이 법적 책임을 사실상 인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측면이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즉, 한일 위안부 합의에 '''매우''' 비판적인 문재인 정권에서도 박근혜 정부 시절 위안부 합의가 기존의 총리의 친서만 보내오던 일본측의 위안부 사죄안들 보다 더 사죄 강도가 높다고 그 '성과'와 '진전'을 일부 인정한 셈이다. #
결과적으로 일본에서 지난 정권과 다르게 보이고자 전향적으로 나왔을 때 한국은 적절히 받아주지 않고 계속 강경하게 대응하는 형국이 되었고, 중국에 이어 한국과의 관계에서도 삐거덕 대던 민주당 정권이 붕괴하자 유화적으로 나와 봐야 별거 없다는게 판명난 이상 아베는 이쪽을 고려할 것 없이 지 성향대로 강경하게 나간 것이다.
또한 이는 이후 일본의 여론에 크게 작용했는데, 이후 일본인들의 대중적 여론이 '''와, 한국은 우파가 정권을 잡아도 반일이구나.'''라는 한일관계에 대한 절망으로 번져버렸기 때문이다. 물론 이는 현재까지 유효하다.
2.3. 양국의 입장 차이
2018년 이명박 전 대통령 구속 사건이 발생했을 당시 한국에서는 이 발언이 거의 잊혀졌지만 일본에서는 이 발언에 거의 한이 맺혀버렸는지 6년이 지난 그 당시에도 이 사건을 언급하면서 그 주체가 된 대통령이 감옥에 갔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폴란드를 비롯한 유럽 각국에서 아무런 요구를 하지 않았는데도 자발적으로 여러번 사과를 표명하는 독일과 대비되어 한국에서도 사과를 제대로 하지 않는 일본에 한이 맺힌 것은 마찬가지다.
일본은 사과 발언 파문 이후로 '''한국에 대한 대대적인 전방위 공세를 취했다'''. 이미 한일 통화 스와프 축소 검토에 들어간데 이어 한국 국채 매입 취소도 검토되는 상황이라고 한다. 또한 차관급 이상 회담 및 한국 정부 관계자 초청 중단, 민간의 독도 연구 지원은 물론이고 심지어 시마네현 차원에 국한되었던 다케시마의 날을 '''국가적 차원으로 격상시키는''' 것까지 검토된 적도 있다. 일부 외교 전문가들은 독도 방문에서만 그쳐야 한다고 비판했고 청와대와 외교부 내에서는 강경파와 온건파가 격한 논쟁을 벌인 적도 있다.
그리고 2019년 2월 8일, 문희상 당시 국회의장이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아키히토 덴노에게 사죄를 요구하는 발언을 날려, 일본 정계와 언론이 다시금 일제히 강하게 반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