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n Telco

 

[image]
1. 개요
2. 배경
3. 선정 기준
4. 국가별 현황
5. 목록
6. 관련 문서


1. 개요


미국 국무부가 발표한 '''5G 통신망에 화웨이중국 공산당이 운영하는 기업의 장비를 배제한 통신회사'''의 목록이다. 5G 장비는 LTE 장비와의 연동이 필수이기 때문에, '''이 목록에 있는 통신사는 LTE 장비도 화웨이를 포함한 중국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다.'''

2. 배경


중국 공산당 산하 통신장비 제조사인 화웨이ZTE전세계에서 이용중인 자사 제품들의 백도어를 활용하여 비밀리에 첩보 및 정보수집 활동을 하고 있으며, 미국 정부는 이에 대응하여 백악관 행정명령 13873호를 발령,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정부와 연계된 통신장비 제조사를 국가 차원에서 규제하기 시작했다. '''중국 통신장비를 이용하는 회선은 중국 공산당이 언제든지 감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20년 4월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미국의 모든 재외공관에서 '깨끗한 5G 통신망'(5G Clean Path)을 제공하는 통신사의 회선만을 이용하도록 강제하겠다고 밝혔고, 이 과정에서 전세계의 통신회사를 "신뢰할 수 있는 통신사"(Clean Telco, Clean Carriers)와 "신뢰할 수 없는 통신사"(Untrusted IT Vendors)로 구분하였다.
국무부에서 사용하는 공식 용어는 '5G Clean Carriers'이지만, 현지 언론에서는 폼페이오 장관이 기자회견 중 사용한 'Clean Telco'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3. 선정 기준


5G 통신망 구축 시 '''중국 공산당이 운영하는 장비 제조사의 제품을 배제'''하였느냐를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5G 장비는 LTE 장비와의 연동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 목록에 있는 통신사는 LTE 장비도 화웨이를 포함한 중국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다.'''

4. 국가별 현황


한국: LG U+가 화웨이 장비를 사용중이기 때문에, 해당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았다. 하지만 여기 포함된 KT와 SKT도 화웨이의 저가 공세에 혹했는지 2010년대에 유선 백본망을 구성할 때 화웨이 장비를 도입하고 말았다.
일본: 처음 발표시에는 소프트뱅크[1]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나, 이후 화웨이 LTE 장비 철거가 완료되어 추후 포함되었다. 그 후 신규사업자인 라쿠텐 모바일까지 리스트에 포함되어 일본의 4대 통신회사는 전부 중국 통신장비를 사용하지 않게 되었으며, MNVO(알뜰폰) 사업자들은 이 4대 통신사의 회선/대역을 빌려쓰므로 '''일본의 모든 통신사는 전부 중국 통신장비를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미국: 주요 통신4사 전부 포함되어 있다.
캐나다: 주요 통신3사 전부 포함되어 있다.
스웨덴: TELE2는 목록에 포함되었다가 화웨이 장비 도입을 결정한 것인지 최종 목록에서 삭제되었다.
독일: 상기한대로 T-모바일도 최종 명단에 포함되어있다.

5. 목록


현재 전세계 31개 통신사가 등재되어 있다.
중국 장비를 사용한적이 있는 경우 ♤표기 바람.
미국 국무부 홈페이지에 명단이 수시로 업데이트 되고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5.1. 한국



5.2. 일본



5.3. 대만


  • 중화전신(中華電信, CHT, Chunghwa Telecom)
  • 대만대가대(台灣大哥大, TWM, Taiwan Mobile)
  • 원전전신(遠傳電信, FET, Far Eas Tone)
  • 대만지성(台灣之星, T STAR, Taiwan Star Telecom)
  • 아태전신(亞太電信, APT, Asia Pacific Telecom)

5.4. 인도


  • Reliance Jio

5.5. 독일



5.6. 미국



5.7. 캐나다



5.8. 호주



5.9. 영국



5.10. 프랑스



5.11. 스페인



5.12. 핀란드



6. 관련 문서



[1] 일본 통신사 중 유일하게 화웨이 장비를 사용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