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c Rap Battles of History/시즌 3 Episode 8
원본
비하인드
ERB 위키
'''손오공''' VS '''슈퍼맨'''
시즌 3.5의 두번째 배틀로, 많은 사람들이 원하던 배틀 중 하나다.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고, 어떤 모종의 이유로 지구에서 자라게 된 두 외계인들의 대결이다.
나중에 보바 펫을 연기하게 된 유명 유튜버 Ray William Johnson이 손오공 역으로 나온다. 두 랩퍼의 파워를 반영하듯 힘이 넘치는 배틀이 일품이다.
손오공의 배경으로 쓰는 건물 간판의 일본어 '歷史の壮大なヒップホップの戦い'는 해석하자면 '역사의 장대한 힙합 싸움'이며, of history를 歷史の로, epic rap battles를 壮大なヒップホップの戦い로 번역한 듯하다. 비슷한 예로 2019년에 나온 김정일 VS 헐크 호건의 리에딧 버전에서 '서사시 랩'이라는 한국어가 나오기도 한다.
1. 가사
[1] 드래곤볼에서 싸울 때 기를 모으거나 하면서 손오공이 으아아아 하고 소리지르는 것을 변비가 걸렸다고 디스하는 것이다.[2] 손오공이 일본에서 만들어진 캐릭터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슈퍼맨은 미국을 대표하고 손오공은 일본을 대표하니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를 뜻하는 것일수도 있다.[3] 오리지널 갱스터[4] 슈퍼맨의 팬인 지미 올슨이 카메라를 들고 나타나 슈퍼맨을 외친다.[5] 크리링은 드래곤볼의 조연이자 손오공의 가장 친한 친구지만, 아무래도 능력자들이 넘쳐나는 드래곤볼의 세계에서 강한 인간은 별로 도움이 안되는지, 작중 가장 많이 죽고 부활하게 된다. 슈퍼맨은 자신에게 덤빈다면 손오공은 크리링 따위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하는것이다.[6] 손오공의 종족인 사이어인들의 이름은 모두 채소로 되어있다. 손오공(카카로트) - Carrot(당근), 베지타 - Vegetable(채소) 등. 사이어(사이야) 라는 이름 자체도 일어로 채소라는 뜻을 가진 야사이(채소)를 아나그램하여 나온 단어다.[7] 손오공은 스토리의 대부분을 무천도사류 도복과 함께 했는데, 슈퍼맨이 그 도복을 마치 MC 해머의 "You Can't Touch This"에 나오는 바지 같다고하며 그 작은 것을 숨기려고 그런 큰 바지를 입은 것이냐고 하는 것이다.[8] 슈퍼맨이 속한 히어로 단체인 저스티스 리그를 이용한 운율이다.[9] 치치는 손오공의 아내다.[10] 슈퍼맨의 능력 중 하나는 냉동 입김으로, 상대를 얼리는 방식으로 무력화 시킨다.[11] 이것은 동시에 행성 베지터와 사이어인을 몇명 제외하고 거의 멸종시킨 악당 프리더에 대한 말장난으로, 프리더의 이름 Frieza는 냉장고라는 뜻인 Freezer에서 온것이기 때문이다.[12] 참고로, one breath라는 말은 직역 그대로 '한 호흡'으로도 해석할 수 있으며, 래퍼들이 가사에 '한 호흡에 완벽히 뱉어낸다'는 구절을 종종 넣기도 한다.[13] 손오공은 손오반 할아버지에 의해 발견되어 숲에서 길러졌으며, 할아버지가 죽고 난 후 파오즈 산에서 혼자 살았다. 그래서 그런지 의식적으로 도덕을 습득한 적이 없고, 정의로우면서도 기본 상식이 없는 듯한 모습을 보여준다. 사이어인은 꼬리가 달린 종족이므로 원숭이에서 덜 진화됐다고 하는 것이기도 하다.[14] 위에 언급되었듯이, 사이어인들의 이름은 모두 채소로 되어있으며 손오공의 본명인 카카로트(Kakarot)는 당근이라는 뜻의 Carrot에서 따온 이름이다.[15] 슈퍼맨 영화화를 보면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슈퍼맨 리턴즈, 맨 오브 스틸 등을 함께 보면 슈퍼맨이 매번 달라 보인다. 물론 원작 DC 만화 또한 탄생 이래로 수많은 작가들이 다른 이야기를 썼기 때문에 설정이 일정하지가 않다.[16] 슈퍼맨은 1938년에 제리 시걸에 의해 만들어진 DC 코믹스 역사상 최초의 슈퍼 히어로이다. 손오공은 슈퍼맨이 만들어졌을 때부터 지루했다고 하는 것이다.[17] 손오공의 조력자인 크리링이 나타나 뒤에서 소리친다. 참고로 지미 올슨과 크리링은 둘다 피터가 연기했다.[18] 슈퍼맨의 능력 중 하나는 눈에서 발사하는 열시선(Heat Vision)으로, 어마어마한 온도를 낼 수 있으며, 철을 녹이거나 증발시키는 건 예삿일이다.[19] 여기서 손오공은 슈퍼맨의 열시선을 튕겨내고 초사이어인으로 변신한다. 다만, 드래곤볼에서 손오공은 초사이어인이 될 때 초록 눈으로 변하지 파란 눈으로는 변하지 않는다.[20] 드라이빙 미스 데이지는 1989년작 미국 영화로, 툭하면 차 사고를 내는 데이지 여사에게 아들이 흑인 기사를 고용해주고, 흑인과 백인이 같은 화장실도 쓸 수 없던 1950년대에 유대인 마님과 흑인 기사가 우정을 쌓아간다는 영화다.[21] 슈퍼맨의 힘의 원천은 지구의 태양이다.[22] Kaio-ken은 계왕권을 뜻하는데, 여기선 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라는 뜻의 I can get it done에서 can을 계왕권의 Ken으로 발음한 말장난이다.[23] 크립토나이트는 녹색 방사능이 뿜어져 나오는, 슈퍼맨의 고향 행성 크립톤이 폭발하면서 생긴 물질으로 슈퍼맨의 힘을 약화시키고 1시간 이상 노출되면 사망에 이르게 만드는 슈퍼맨의 가장 유명한 약점 중 하나이다.[24] 허나 골드 프라임이나 CA 슈퍼맨 부터는 크립토나이트는 안먹힌다. 골드 프라임 슈퍼맨은 태양에서 15000년 동안 몸을 담궈서 태양 애너지를 받은 상태라 약점이나 물리, 마법 공격은 통하지 않는다. CA 슈퍼맨은 슈퍼맨이 생각 로봇에 탑승해 조종하는 슈퍼맨이라 미래의 모든 위험에 적응 할수 있는 특성 있으며. 한번 당한 공격은 두번은 안통한다.[25] and Superman that ho는 소울자 보이의 노래 'Crank That'에서 나오는 가사에서 따온 것으로, 슈퍼맨처럼 그녀를 가지고 놀 것이라는 뜻이다.[26] 로이스 레인은 슈퍼맨의 애인이다. 로이스 레인에게 제보하겠다(report)는 말은 그녀가(클라크 켄트와 마찬가지로) 기자이기 때문이다.[27] It's over 9000은 서양의 인터넷 유행어로, 드래곤볼 캐나다 더빙판에서 베지터가 스카우터로 오공의 전투력을 측정하고는 "전투력이 9000이 넘어!"라고 외치는 것이 원조이다. 여기서는 드래곤볼에서의 싸움이 과장되었다는 뜻이다.[28] 무천도사는 드래곤볼에 나오는 무도가로, 주로 거북선인으로 불리며, 여자를 무척 밝히는 호색한이다. 천하제일무술대회에서는 크리링이 팬티를 던지자 그걸 보고 달려들다가 장외패를 당할 뻔하기도했다.[29] 드래곤볼(Dragonball)의 Ball이 고환을 뜻하는 은어임을 이용했다.[30] 프랭크 밀러 작 배트맨 만화 다크 나이트 리턴즈에서 정부의 꼭두각시가 되버린 슈퍼맨을 배트맨이 크립토나이트를 이용하여 패면서 쓰러뜨리는 장면이 있다. 배트맨은 슈퍼히어로임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능력이(부를 제외한다면) 없다.[31] 크리스토퍼 리브는 1980년대에 슈퍼맨 역을 맡아 슈퍼맨의 아이콘이 되었으나, 1995년에 승마 사고로 인해 중상을 입어 전신 마비를 선고받아 목 아래를 움직일 수 없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