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와이파이

 


통신 3사 Wi-Fi 서비스



[image]
T 와이파이
T wifi
1. 개요
2. 특징
3. 이용 방법
4. 공용 와이파이
4.1. 무선 AP 제조사
4.1.1. Wi-Fi 6 (T wifi AX) 무선 AP
4.1.2. Wi-Fi 5 (T giga wi-fi) 무선 AP
4.1.3. Wi-Fi 4 (T wifi zone) 무선 AP
5. 관련 항목


1. 개요


'''T 와이파이''' (T wifi)는 SK텔레콤Wi-Fi 서비스이다. SK텔레콤에서 유통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의 경우 와이파이 목록에 기본으로 저장되어 있으며 저장 안함의 선택이 불가능하다.

2. 특징


KT 와이파이와 마찬가지로 대중교통인 지하철광역버스 등에도 설치 되어 있다. 유선랜을 기반으로한 AP에서는 유선망 못지 않게 제법 준수한 속도를 보이며, KT 기가와이파이 만큼은 아니더라도 T 기가와이파이도 제법 보인다. 하지만, 지하철, 버스 등에 설치된 AP는 WiBro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이라서 서비스 품질은 그리 좋지 않은 편. 현재 와이브로 서비스가 종료되어 대중교통에 설치된 와이파이가 LTE 기반 와이파이로 변경되어 과거 와이브로를 사용했던 때보다 접속 품질이 안정적이고 속도도 조금 빨라졌다.
2011년 초만 해도 이동통신사에 관계없이 와이파이 접속이 가능했지만, 2011년 하반기부터 자사 이용고객만 이용할 수 있게 변경되었다. 그러다가 T Free WiFi Zone 가 개설되어 다시 이동통신사에 상관없이 T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1].
또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에 설치된 와이파이의 경우 Free 와이파이가 없어도 비보안 AP (T wifi zone) 에 연결하여 이동통신사와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게 해둔 와이파이도 일부 있다[2].
2002년 NESPOT 때부터 와이파이를 깔아댔던 KT 와이파이에 비해서 커버리지가 적다. 그래도 웬만한 프랜차이즈 음식점이나 카페, 편의점, 패스트푸드, 병원, 대학교, 공공장소 등에 설치되어 있으며, T wifi zone이 설치되어 있는 대표적인 매장은 롯데리아, VIPS 등이 있다. 그 밖의 설치 현황은 여기에서 검색할 수 있다. 차량도 검색이 가능한데, 그냥 '중앙선 열차'(...)처럼 간략하게 노선명만 기재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우진교통버스 410-1번 대구 70자 ****', '태영버스 1004번 부산 71자 ****'처럼 번호까지 자세히 등록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주소는 차량사업소나 차고지가 위치한 곳으로 되어 있다. 보통 수도권과 광역시 지역권이라면 대부분의 전동차/버스 내부에 T 와이파이가 설치되어 있다.
이쯤되면 KT 와이파이에 비해 '''T 와이파이'''가 전국 시내버스와 지하철 전동차에 더 많이 깔려있다는 걸 느낄 수 있는데, 이는 olleh 와이브로는 개인 가입자가 어느정도 있는 반면, T 와이브로는 가입자가 거의 없어 방송통신위원회에서 T 와이브로에 사용 중인 주파수를 강제로 회수하려 하자 그 동안 와이브로에 투자한 게 아까운 SK텔레콤은 강제회수 조치를 당하지 않으려고 T 와이브로가 가능한 지역권의 대중교통에 엄청나게 설치하여 이용회선을 늘렸다는 게 정설이다. 실제 T 와이브로에 사용 중인 주파수를 재할당 받을 시기인 2011년 와이브로 지역권에서 운행되는 대중교통에 폭발적으로 설치되었으며, T 와이브로 개인 단말기를 월 5,500원에 30GB 특별 프로모션을 제공하여 가입자가 일시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주파수 재할당에 성공한 후 프로모션은 폐지되었다. SK텔레콤 고객 입장에선 이동하면서도 무료로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어서 좋고, 기업 입장에선 대중교통에 SK텔레콤을 광고하여 간접적으로 고객 유치를 할 수 있는데다 3G, LTE 데이터 트래픽을 와이브로로 분산시켜 통화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으니 고객과 기업 모두 윈윈인 셈.
그러나 T 와이브로 항목을 봐도 알겠지만, 지하철 전동차/버스 내부에 설치된 T wifi zone은 일반적(지하철 플랫폼 등)인 T 와이파이 품질과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절대 안 된다. 그저 데이터요금이 안 나간다는 데 만족해야만 한다. 속도가 매우 느리고, 와이파이가 잡혀있어도 인터넷이 안 되거나, 안 터질 때도 다반사다. 실제 T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권은 전국적으로 설치된 게 아닌 동 단위 대도시로 한정되어 있고, 그마저도 관리가 잘 이뤄지지 않아 불통지역이 상당히 많아 사용하기가 몹시 불편하다.
하지만 이것도 옛말인 게 2017년 9월 말부터 전국 지하철 객실 내의 와이파이가 LTE 재송신 방식으로 바뀌고 있으며 2018년 10월 2일 기준 확인 결과 전국 도시철도에 LTE 라우터 방식의 공유기로 설치가 완료됐다. 평균 업다운 속도가 50Mbps(약 6.25MB/s)를 넘어가고 끊김 없이 사용할 수 있다. #
다만, 위의 내용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졌기 때문에 객실 내 와이파이 접속자가 과거에 비해서 증가했다. 그로 인해 수도권 전철 및 지하철의 경우 이용객이 많은 출퇴근 시간엔 접속이 원활하지 않을 때도 있다. 이는 지하철 와이파이의 백본망인 LTE에 QoS (속도제한) 가 걸린 것도 있지만 와이파이 AP의 접속 용량이 일시적으로 포화되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어디까지나 T 와이브로 기반 와이파이에 비해 품질이 좋다는 뜻.
시내버스의 경우 T 와이파이가 대부분 철거되고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개방형 와이파이 (Public wifi Free) 로 변경되고 있다[3]. 도시철도와 다르게 통신사별 와이파이가 아닌 개방형 와이파이로 제공되고 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시즌에 맞춰 현재는 차세대 802.11ax (Wi-Fi 6) 규격으로도 와이파이를 송신하고 있다. 일명 '''T 와이파이 AX''' (T wifi AX). 코엑스 등에 이미 설치가 완료되어 일부 장소에서도 T wifi AX 를 즐길 수 있다. SK브로드밴드 에서 제공하는 가정용 AP 를 주로 제조하는 HFR 사에서 T wifi AX AP 를 제조하고 있다.

3. 이용 방법


현재 '''T 와이파이'''는
  • T wifi zone[4], T wifi zone_secure[5], SK Telecom[H], 역시 품질은 SKT![H] (SKT 고객용 T 와이파이)[6]
  • T Free WiFi Zone (공공 T 와이파이 타 통신사 가입자 사용 가능)
위 3개의 SSID로 서비스 중이다.
비보안 전파 (T wifi zone)와 EAP 보안 전파(T wifi zone_secure)를 동시에 송신한다. 비보안 버전의 경우 과거에는 '''모든 이용자 무료 사용 가능'''이라는 가히 혜자 수준의 자비로움을 자랑했다. 때문에 지하철 전동차/버스 내부에서 통신사 와이파이를 제공하지 않는 LG U+[7]의 고객들이 T 와이파이를 자주 이용했으나, 2011년 7월 1일부터 SK텔레콤 고객만 이용이 가능하도록 바뀌었다.
최근들어 T Free WiFi Zone라는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전 통신사 상관없이 무조건 무료라고 한다. 연결하는 법은 와이파이 로그인창에 "항상연결"(안드로이드 기준)을 눌러야 하고, 웹 브라우저로 인터넷에 접속하면 '무료 Wi-Fi 사용하기'를 누른 후 3초 뒤에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아이폰, 아이패드 유저의 경우 사용하기가 상당히 불편하다. 아이폰의 경우에는 로그인창에서 "항상연결"이 없기 때문에 화면이 꺼질 때마다 와이파이 연결이 끊겨 재연결을 해야한다. 아이패드는 브라우저로 연결이 안되는 경우가 많아서 사실상 사용이 안된다고 보면 된다.
KTLG U+와 달리 SK텔레콤 가입자는 표준·선불 요금제를 포함한 모든 요금제에서 T wifi zone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사 커스텀이 없던 외산 단말기나 넥서스 시리즈는 넥서스 5X/넥서스 6P에서야 SIM 인증이 가능해져 그 이전까지는, 즉 넥서스 5까지는 MAC 주소를 등록해서 비보안(자물쇠 없는) T wifi zone을 써야 한다. 당연히 자물쇠 달린 T wifi zone_secure는 사용 불가.[8]
SK텔레콤을 통해 (위탁)유통한 외산 단말기는 이미 MAC주소가 등록되어있어서 개통 즉시 자물쇠 안 달린 T wifi zone에 접속할 수 있다. 하지만 해외 직구 등 자급제용 단말은 공식대리점/지점을 찾아가서 MAC주소를 등록할 필요가 있다. 물론 단말기가 EAP-AKA를 지원한다면 굳이 안 그래도 된다. 자물쇠 달린 T wifi zone_secure를 선택해서 인증 유형을 PEAP 대신 AKA를 선택하면 된다. 즉, 접속 방법은 KT 와이파이와 동일하다.

4. 공용 와이파이


Public WiFi FREE / PublicWiFi@Seoul / Seoul WiFi 같은 공용 와이파이는 대부분 SK브로드밴드에서 인터넷을 공급받고 있으며, Wi-Fi 공유기 장비 또한 T wifi zone 공유기 제조사와 동일한 엘테크 사의 공유기를 사용한다.
다만 Public WiFi FREE 와 Public WiFi Free 가 다르다. Public WiFi Free 는 KT 에서 제공 중. 또한 같은 Public WiFi FREE 라도 LG U+ 에서 제공해주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코엑스 에서 어떤 곳은 Public WiFi FREE 를 잡으면 인터넷 사업자가 LG U+ 로 뜨는데 어떤 곳은 SK브로드밴드로 뜨는 것이다.

4.1. 무선 AP 제조사



4.1.1. Wi-Fi 6 (T wifi AX) 무선 AP


HFR (에이치에프알) 에서 제조한다. 최대속도 4.8Gbps 구현 가능.

4.1.2. Wi-Fi 5 (T giga wi-fi) 무선 AP


  • MMC Technology (현 휴맥스)
  • KISAN TELECOM
  • Seohwa Telecom (서화정보통신, SKYMOONS)
  • L-TECH Corporation (옥외용 AP 제조)

4.1.3. Wi-Fi 4 (T wifi zone) 무선 AP


  • MMC Technology
  • MERCURY CORPORATION

5. 관련 항목



[1] 단, T Free WiFi Zone 의 경우 일부 구형 AP에서는 뜨지 않을 수도 있다.[2] 이 경우 개인정보를 입력해야만 이용할 수 있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의 경우 2014년 3월부터 협의를 통해 T wifi zone 에 무료로 개방하였다. 2019년 LTE 송신용 와이파이로 변경되면서 T 와이파이가 모두 철거되고 Public wifi Free로 구축되어 있다. 물론 예전처럼 통신사 상관없이 이용 가능하다.[3] 과거에는 SK텔레콤이 와이브로를 거의 공짜에 가깝게 대중교통에 설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였지만, 지금은 단가가 비싼 LTE로 와이파이를 제공해야 되다 보니, 특정 통신사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와이파이보단 모든 이용자가 고루고루 이용할 수 있게 정부에서 세금을 들여 개방형 와이파이로 보급하고 있다.[4] 비보안 Wi-Fi. 자급제폰은 MAC 등록 필요.[5] 보안 Wi-Fi. EAP-AKA 인증 사용.[H] A B Hotspot 2.0[6] 그냥 SKT 고객들은 내수용 기기에 공식적으로 저장되어 있으니 연결만하면 된다. 다른 통신사의 기기를 사용하여도 SKT의 유심을 사용할때는 전파만 잡히면 연결은 된다.[7] 2017년 3월 3일부터 서울 및 일부 지역 지하철에 한하여 LG U+자사 와이파이가 설치되기 시작하였으며 와이브로가 없는 LG U+ 특성상 LTE 네트워크에 QOS (속도제한) 을 걸어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LTE를 사용하는 덕분에 와이브로를 이용한 와이파이를 제공하는 타사에 비해 속도와 연결이 안정적이고 음영지역이 훨씬 적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T 와이파이와 KT 와이파이도 현재 와이브로에서 LTE 재송신형으로 모두 교체되어 옛 이야기가 되었다.[8] 반면 iPhone 시리즈는 진작에 EAP-AKA를 지원했기 때문에 자물쇠 달린 T wifi zone_secure에 바로 접속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