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改'''고칠 개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イ
'''일본어 훈독'''
あらた-める, あらた-ま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gǎi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정보
3. 용례
3.2. 고사성어
3.3. 서브컬처계에서의 改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고칠 개(改). '고치다', '수정하다' 등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한자이다.

2. 상세정보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 고치다
'''음''' : 개
'''일본어'''
'''음독''' : カイ
'''훈독''' : あらたまる·あらためる
'''중국어'''
'''표준어''' : gǎi
광동어 : goi2
객가어 : kói
민난어 : kái / kóe / ké
우어 : ke (T2)
'''베트남어'''
cải
(몸 기) 자와 자((칠 복)의 변형)가 합쳐져 만들어진 글자로, 회의자로 보는 시각이 있고, 형성자로 보는 시각이 있다. 회의자로 보는 시각에서는 왼쪽에 있는 己 자는 무릎을 꿇은 아이를 본떴고, 오른쪽에 있는 攵 자는 손에 회초리를 들고 있는 모습이라고 풀이한다. 즉 아이를 회초리로 때려 잘못된 행실을 고친다는 뜻에서 '고치다'라는 뜻이 생겼다는 설이다. 형성자로 보는 시각에서는 己(혹은 , 이미 이) 자가 성부로 가지고 攵를 형부로 가진다고 풀이한다. Zhengzhang Shangfang의 상고음 재구에는 이러한 시각이 반영되어 있다.
유니코드에는 U+6539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ㄍㄞˇ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尸山人大(SUOK)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5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중국과 일본, 한국식 한자의 자형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일본, 한국식 자형은 세번째 획이 乚 모양이지만 중국 자형은 レ 모양이다. 물론 세세한 차이이므로 유니코드가 따로 배당되어 있거나 하진 않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3.3. 서브컬처계에서의 改


서브컬쳐계에서 간혹 작품명이나 아이템 따위의 이름 뒤에 改가 붙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개정판 혹은 개량형이라는 의미이다. 작품명 뒤에 改가 붙으면 주로 리메이크, 개정판 등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으며, 온라인 게임에서 改가 붙은 아이템들은 이전보다 더 업그레이드되고 강화되었다는 의미가 있다. 국내에선 익숙한 표현이 아니라 공식 번역에서는 대부분 의역되는 편. 대표적인 예시로 이나즈마 일레븐에서는 改는 무조건 2로 더빙됐다. 다이아몬드 에이스의 애니플러스의 번역에서는 '커스텀'으로 의역하기도 했다.

4. 유의자


  • (고칠 경/다시 갱)
  • (고칠 료/치료할 료)
  • (다스릴 치)
療와 治는 '병을' 고친다는 뜻이므로 의미가 상대적으로 좁다.

5. 모양이 비슷한 한자